바뀜

7 바이트 추가됨 ,  2011년 6월 6일 (월) 16:05
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7번째 줄:  
1999년 당시, 한국의 여자실업축구팀은 [[INI 스틸 여자 축구단]]과 [[헤브로 여자 축구단]] 단 2개만이 존재하던 시절이라 숭민 원더스의 창단은 여자축구계에 새바람을 불어오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특히 선수단 평균 연봉이 2000만원에 달할 정도로 대우가 좋아서 여자축구계의 유명 선수들은 모두 숭민 원더스에 입단할 지경이었다. 덕분에 숭민 원더스는 2001년 여왕배 우승 등 짧은 기간동안 3개 대회를 석권하였고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에 여자축구 국가대표를 5명이나 배출하는 등, 여자축구계의 강호로 군림하기에 이른다. 하지만, 2002년 8월 숭민그룹 회장인 이광남씨가 다단계 판매를 이용한 횡령과 사기 혐의로 구속되면서 스폰서를 잃은 숭민 원더스는 휘청거리기 시작하였고 결국 2002년 11월 [[전국체전]] 참가를 마지막으로 해체되었다.
 
1999년 당시, 한국의 여자실업축구팀은 [[INI 스틸 여자 축구단]]과 [[헤브로 여자 축구단]] 단 2개만이 존재하던 시절이라 숭민 원더스의 창단은 여자축구계에 새바람을 불어오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특히 선수단 평균 연봉이 2000만원에 달할 정도로 대우가 좋아서 여자축구계의 유명 선수들은 모두 숭민 원더스에 입단할 지경이었다. 덕분에 숭민 원더스는 2001년 여왕배 우승 등 짧은 기간동안 3개 대회를 석권하였고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에 여자축구 국가대표를 5명이나 배출하는 등, 여자축구계의 강호로 군림하기에 이른다. 하지만, 2002년 8월 숭민그룹 회장인 이광남씨가 다단계 판매를 이용한 횡령과 사기 혐의로 구속되면서 스폰서를 잃은 숭민 원더스는 휘청거리기 시작하였고 결국 2002년 11월 [[전국체전]] 참가를 마지막으로 해체되었다.
   −
[[박종환]] 씨와 [[한국여자축구연맹]]의 흑역사.<ref>사실상 한국여자축구연맹이 축구협회 여성분과위에서 연맹으로 발돋움한 공로(?)는 이광남 씨에게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 여자축구연맹 고문으로 재임하며 1억원을 찬조금으로 내놓으며 한국여자축구연맹 설립에 기여했다. 그게 올바르게 번 돈이면 문제가 안될테지만, 판매원들 등처먹어서 모은 돈이니 문제지..</ref>
+
[[박종환]] 씨와 [[한국여자축구연맹]]의 흑역사.<ref>사실상 한국여자축구연맹이 축구협회 여성분과위에서 연맹으로 발돋움한 공로(?)는 이광남 씨에게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 여자축구연맹 고문으로 재임하며 1억원을 찬조금으로 내놓으며 한국여자축구연맹 설립에 기여했다. 그게 올바르게 번 돈이면 문제가 안될테지만, 판매원들 수입을 횡령해서 모은 돈이니 문제지..</ref>
     
익명 사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