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편집 요약 없음
= 학교 소개 =
= 학교 소개 =
1955년 개교한 덕화중학교가 모태로, 청구대학과의 합병으로 생긴 청구학원에서 1964년 개교했다.<ref>청구대학은 이후 [[삼성]] 이병철의 대구대학(현 대구대학교와는 별개)과 함께 박정희에 진상되어 현재의 영남대학교가 되었다. 청구대학이 분리되어 나갔으므로 영남대학교와 청구고등학교는 이젠 상관없는 별개의 법인이 되었다.</ref> 동구 신천동에 위치해 있어 학군에 있어 그리 유리한 편이 아니었으나(학군별로 배정되지 못한 학생들이 모이는 조절학군이기도 했다.) 1981년 학력고사, 2001년 수능 전국 수석을 배출하는 기현상을 보이기도 했다. 청구고 하면 축구밖에 생각안날 정도로 유명한데 축구가 교기이다.
1955년 개교한 덕화중학교가 모태로, 청구대학과의 합병으로 생긴 청구학원에서 1964년 개교했다.<ref>청구대학은 이후 [[삼성]] 이병철의 대구대학(현 대구대학교와는 별개)과 함께 박정희에 진상되어 현재의 영남대학교가 되었다. 청구대학이 분리되어 나갔으므로 영남대학교와 청구고등학교는 이젠 상관없는 별개의 법인이 되었다.</ref> 동구 신천동에 위치해 있어 학군에 있어 그리 유리한 편이 아니었으나(학군별로 배정되지 못한 학생들이 모이는 조절 학군이기도 했다.) 1981년 학력고사, 2001년 수능 전국 수석을 배출하는 기현상을 보이기도 했다. 청구고 하면 축구밖에 생각안날 정도로 유명한데 축구가 교기이다.
= 청구고등학교 축구부 =
= 청구고등학교 축구부 =
1972년 11월 11일 동년 9월 해체된 서울 성남고등학교 축구부 선수단을 흡수하면서 창단되었다.<ref>여담으로 해체 당시 성남고 축구부 코치를 맡고 있었던 사람이 [[박종환]]이었다. 이 때 선수단과 함께 청구고로 내려왔으면 박종환과 대구의 인연은 30년을 앞당길수 있었을지도..</ref> 창단 당시 코치는 [[대한중석]] 트레이너로 활동한 김두선 씨. 창단 직후부터 여러 대회에 우승하면서 두각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1977년 입학 동기인 [[변병주]], [[박경훈]], [[백종철]], [[백치수]] 등이 3학년이던 1979년 청룡기, 대통령금배, 문화체육부장관기 등 시즌 5관왕을 달성하는 등 전성기를 누렸다. 한 고교의 동기생들이 이렇게 국가대표나 프로축구팀, 지도자 생활에서 동시에 활약하는 경우가 지금껏 없을 정도. 이후 84년생 [[김동현]], 85년생 [[박주영]], [[이승현]],[[한재광]]이 활약하던 2000년대 초반 다시 제2의 전성기가 찾아왔다. 박주영은 당시 고교시합 33경기에 출장해 47골 (경기당 1.42골)을 기록하며 고교 대회 4개의 득점왕<ref>금강대기(12골), 문광부장관기(9골), 대통령금배(6골), 춘계고교축구연맹전(12골)을 각각 기록했다.</ref>을 차지하는 괴력을 선보이기도 했다.
1972년 11월 11일 동년 9월 해체된 서울 성남고등학교 축구부 선수단을 흡수하면서 창단되었다.<ref>여담으로 해체 당시 성남고 축구부 코치를 맡고 있었던 사람이 [[박종환]]이었다. 이 때 선수단과 함께 청구고로 내려왔으면 박종환과 대구의 인연은 30년을 앞당길수 있었을지도..</ref> 1972년 당시까지만 해도 대구시에는 고교 축구부가 전무한 상황이었는데,<ref>일제시대, 대구를 넘어 전국 최강급 전력을 자랑했던 [[계성고등학교]] 축구부는 태평양전쟁기를 거치면서 해체되어 되살아나지 못한 상태였고, 1972년 11월 기준 대구시에는 고교 축구부가 없고 [[쌍용그룹]]의 후원을 받는 달성군 [[현풍고등학교]]에는 축구부가 있는 상황이었다.</ref> [[한양공고]] 교사 출신인 서경윤 씨가 교장으로 부임하면서 축구부 창단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창단 당시 코치는 [[대한중석]] 트레이너로 활동한 김두선 씨. 창단 직후부터 여러 대회에 우승하면서 두각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1977년 입학 동기인 [[변병주]], [[박경훈]], [[백종철]], [[백치수]] 등이 3학년이던 1979년 청룡기, 대통령금배, 문화체육부장관기 등 시즌 5관왕을 달성하는 등 전성기를 누렸다. 한 고교의 동기생들이 이렇게 국가대표나 프로축구팀, 지도자 생활에서 동시에 활약하는 경우가 지금껏 없을 정도. 이후 84년생 [[김동현]], 85년생 [[박주영]], [[이승현]], [[한제광]]이 활약하던 2000년대 초반 다시 제2의 전성기가 찾아왔다. 박주영은 당시 고교시합 33경기에 출장해 47골 (경기당 1.42골)을 기록하며 고교 대회 4개의 득점왕<ref>금강대기(12골), 문광부장관기(9골), 대통령금배(6골), 춘계고교축구연맹전(12골)을 각각 기록했다.</ref>을 차지하는 괴력을 선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박주영 스카우트 파동]] 이후 현재 청구고 축구부는 다소 침체된 상황이다.
하지만 [[박주영 스카우트 파동]] 이후 현재 청구고 축구부는 다소 침체된 상황이다.
* [[박중천]] - [[SK united|SK]]소속 골키퍼.
* [[박중천]] - [[SK united|SK]]소속 골키퍼.
* [[남준재]] - [[인천 유나이티드]]소속.
* [[남준재]] - [[인천 유나이티드]]소속.
:<small>이외 청구고등학교 출신 선수들은 [[:분류:청구고등학교의 선수]]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small>
: 이외 청구고등학교 출신 선수들은 [[:분류:청구고등학교의 선수]]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