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편집 요약 없음
[[파일:FECG.png|썸네일|250픽셀|Far Eastern Championship Games 로고]]
[[파일:FECG.png|썸네일|250픽셀|Far Eastern Championship Games 로고]]
'''극동선수권대회'''(極東選手権大会, Far Eastern Championship Games)는 20세기초 [[극동아시아]]에서 열린 아시아 최초의 국가간 종합 스포츠 대회<ref>극동지역에 한정된 대회임에도 불구하고 당시 아시아에서 중화민국, 일본, 타이 외에는 독립국이 아닌 식민지 상태였으므로 아시아 전체를 아우르는 대회라고 할 수 있다.</ref>로, 1934년 [[인도]] 뉴델리에서 개최되었던 서아시아 경기 대회(West Asian Games)와 더불어 현재의 [[아시아 경기 대회]]의 모태라 할 수 있다.<ref>http://www.incheon2014ag.org/main/publish/view.jsp?menuID=002001001001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Asian Games originated from the Far Eastern Championship Games (the Oriental Olympics) and the West Asian Games.</ref>
'''극동선수권대회'''(極東選手権大会, Far Eastern Championship Games)는 20세기초 [[극동아시아]]에서 열린 아시아 최초의 국가간 종합 스포츠 대회<ref>극동 지역에 한정된 대회임에도 불구하고 당시 아시아에서 중화민국, 일본, 타이 외에는 독립국이 아닌 식민지 상태였으므로 사실상 아시아 내 국가 전체를 아우르는 대회라고 볼 수 있었다.</ref>로, 1934년 [[인도]] 뉴델리에서 개최되었던 서아시아경기대회(West Asian Games)와 더불어 현재의 [[아시아경기대회]]의 모태라 할 수 있다.<ref>[http://www.incheon2014ag.org/main/publish/view.jsp?menuID=002001001001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Asian Games originated from the Far Eastern Championship Games (the Oriental Olympics) and the West Asian Games.]</ref>
극동선수권대회는 1회 대회는 '''동양올림픽'''(Oriental Olympics)라고 불리기도 했으며, '''극동경기대회'''(極東競技大会, Far East Games), 극동선수권경기대회, 극동올림픽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려졌다.
== 개요 ==
== 개요 ==
'''극동 선수권 대회'''는 1912년, 당시 마닐라 카니발 행사를 준비하던 필리핀 체육협회 회장 겸 필리핀 YMCA 회장 엘우드 S. 브라운이 [[일본]]과 [[중화민국]]을 돌며, 극동 올림픽 경기 대회의 개최에 대해 제안하고, 당시(1911년~1913년) 필리핀 아마추어 체육협회 회장이던 윌리엄 카메론 포브스 총독이 극동 올림픽 협회(Far Eastern Olympic Association)를 설립하게 되면서 구체화되었다.
'''극동선수권대회'''는 1912년, 당시 마닐라 카니발 행사를 준비하던 필리핀 체육협회 회장 겸 필리핀 YMCA 회장 엘우드 S. 브라운(Elwood Stanley Brown)이 [[일본]]과 [[중화민국]]을 돌며 극동 올림픽 대회의 개최에 대해 제안하며 태동하였고, 당시(1911년~1913년) 필리핀 아마추어 체육협회 회장이던 윌리엄 카메론 포브스(William Cameron Forbes) 총독이 극동올림픽협회(Far Eastern Olympic Association)를 설립하게 되면서 구체화되었다. 이후 1913년 2월, 카니발 기간동안 마닐라 카니발 그라운드(현재는 Rizal Memorial Sports Complex라 불린다.)에서 첫대회가 제1회 동양 올림픽 경기 대회(Oriental Olympics)라는 이름으로 열리게 되었다. 이 대회에는 [[필리핀]], [[중화민국]], [[일본제국]], [[말레이시아|영국령 동인도(현, 말레이시아)]]<ref>[[위키백과]]의 영어, 한국어 문서에는 영국 동인도 회사(British East India Company)라고 표기되어 있으나 영국 동인도 회사는 1874년 해체되었으므로 관련이 없으며, 영국령 동인도나 인도차이나 또는 영국령 말라야(말레이시아의 옛이름)가 맞다.</ref>, [[타이|시암(현, 타이)]], [[홍콩|영국령 홍콩]]이 참가했다.<ref>그러나 실제 1회 대회에는 필리핀, 중화민국 2개국만 참여한 것으로 되어 있다. 회원국이 2개국 뿐이었기 때문. 나머지 참가자들은 회원국 자격이 아닌 개인 자격으로 참가하였다. 일본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아, 1회 대회 당시 필리핀에 있던 메이지대학 야구팀과 2명의 육상 선수 등 총 13명의 선수만 1회 대회에 개인 자격으로 참가하였다. 한편 필리핀에서는 104명의 선수가 출전하였으며, 중화민국에서는 칭화대 학생과 상해, 광둥 YMCA에서 40명의 선수가 참여하였다.</ref>
이후 [[1913년]] 2월 [[필리핀]] 마닐라 카니발 기간동안 마닐라 카니발 그라운드(현, 리살기념 종합운동장(Rizal Memorial Sports Complex))에서 첫대회가 제1회 동양 올림픽 경기 대회(Oriental Olympics)라는 이름으로 열리게 되었다. 이 대회에는 [[필리핀]], [[중화민국]], [[일본제국]], [[말레이시아|영국령 동인도(현, 말레이시아)]]<ref>[[위키백과]]의 영어, 한국어 문서에는 영국 동인도 회사(British East India Company)라고 표기되어 있으나 영국 동인도 회사는 1874년 해체되었으므로 관련이 없으며, 영국령 동인도나 인도차이나 또는 영국령 말라야(말레이시아의 옛이름)가 맞다.</ref>, [[타이|시암(현, 타이)]], [[홍콩|영국령 홍콩]]이 참가했다.<ref>그러나 실제 1회대회에는 필리핀, 중화민국 2개국만 참여한 것으로 되어 있다. 회원국은 2개국 뿐이었다.</ref> 일본의 경우, 첫번째 대회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아 그 시기 필리핀에 있던 메이지대학 야구팀과 다른 2명의 육상선수 등 총 13명의 선수가 경기에 참여했으나 극동 올리픽 협회의 회원국이 아니라 참가국에 포함되지 않았다. 기타 다른 국가도 회원국이 아니었기 때문에 개인자격으로 참여한 상황으로 보인다. 필리핀에서는 104명의 선수가 출전하였으며, 중화민국에서는 칭화대 학생과 상해, 광둥 YMCA에서 40명의 선수가 참여하였다.
1회 대회가 개최된 후, 격년에 한번씩 대회를 개최하기로 하였는데 1929년 열려야할 대회가 1년 미뤄져 1930년 오사카에서 개최되었으며, 이후부터는 4년에 한번씩 대회를 개최하기로 결정하였다. 1934년 10회 대회는 [[만주국]]의 참여 문제로 중국과 일본이 첨예하게 대립하였는데 결국 만주국은 참여하지 못했다. 이어 1938년에 개최 예정이었던 11회 오사카 대회는 1937년 노구교사건으로 발발된 중일전쟁으로 인해 개최되지 못했다. 결국 이후로는 태평양전쟁의 격화로 동아시아 전체가 전쟁터가 되면서 극동선수권대회는 다시 개최되지 못했고, 일본제국은 1940년과 1942년 일제와 일제 산하 괴뢰국끼리 모이는 [[동아경기대회]]를 개최하였으나 역시 42년 대회를 끝으로 전황의 악화로 경기대회를 개최하지 못하였다. 이후 아시아 국가간 스포츠 제전은 1951년 [[아시안게임]] 개최때까지 잠정 중단 상태에 놓이고 만다.
* [[농구]]
* [[농구]]
* [[배구]]
* [[배구]]
* [[사이클]] (1 회 ~ 3 회)
* [[사이클]] (1회 ~ 3회)
* [[권투]] (종목에서 제외되는 경우도 있음)
* [[권투]] (종목에서 제외되는 경우도 있음)
! 날짜
! 날짜
! 개최국
! 개최국
! 개최도시
! 개최 도시
! 참가국
! 참가국
|- bgcolor=#DDEEFF
|- bgcolor=#DDEEFF
|
|
|}
|}
== 축구 ==
== 축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