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11,435 바이트 제거됨 ,  2015년 9월 2일 (수) 13:34
잔글
편집 요약 없음
26번째 줄: 26번째 줄:       −
= 역사 =
+
== 역사 ==
== 창단 ==
+
: ''이 글의 본문은 [[경남 FC의 역사]]입니다.''
도에 프로 클럽이 없어 [[진주고등학교]], [[거제고등학교]] 등 도내 학원축구의 유망한 선수들이 타지로 떠나는 것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다 [[2002년 한일 월드컵]]을 계기로 창단이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2003년 경상남도를 강타해 엄청난 피해를 입힌 태풍 매미때문에 창단 준비가 어그러지게 되었다. 태풍 피해가 어느 정도 복구된 뒤인 2005년 경남 FC 창단추진위원회가 결성되고 구단 운영의 전체적인 틀이 결정되었다. 2006년 초 공식 창단식을 가진 경남은 [[한국프로축구연맹]]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K리그]] 14번째 클럽이 되었다.
      +
[[2002년 한일 월드컵]]을 계기로 창단이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2003년 경상남도를 강타해 엄청난 피해를 입힌 태풍 매미로 인하여 창단이 지연되었고, 태풍 피해가 어느 정도 복구된 뒤인 2005년이 되어서야 구단 구성의 틀이 잡혔다. 연맹 이사회의 결의를 거쳐 [[삼성 하우젠 K-리그 2006|2006시즌]]부터 K리그 14번째 클럽으로 대회에 참가하게 되었다.
 +
창단 2년차인 2007년, [[까보레]], [[뽀뽀]] 등의 외국인 선수와 [[김효일]] 등 국내 선수의 조화로 정규 리그 4위를 기록하는 파란을 일으켰다. 2008년에는 [[조광래]] 감독이 부임하여 그 해 FA컵 준우승을 기록하며 무서운 신예로 자리매김하였다. 2010년 [[창원축구센터]]로 홈 경기장을 옮기고, 팀 상징을 모두 교체하며 제 2의 창단 수준의 변혁을 겪었다. 2011년 부임한 [[최진한]]은 주전들의 이탈, 구단주의 사임, 재정난에도 리그컵 3위, FA컵 준우승 등 준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2013년 [[안종복]]이 신임 대표이사로 부임하며 내홍을 겪었고, 최진한 감독이 경질되었다. 2014시즌 부진한 끝에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2015|승강 플레이오프]]에서 [[광주 FC]]에 밀려 강등되었다. 승강 플레이오프가 치러지는 도중 구단주가 부진한 성적에 해체 가능성을 시사하며 논란을 샀다. 2015시즌을 앞두고 [[박성화]] 감독이 선임되었으나 리그 하위권에 머물러 있다.
   −
== 2000년대 ==
+
== 홈 구장 ==
[[경상남도]] [[산청군]] 출신으로 [[2002 한일 월드컵]]에서 [[거스 히딩크]] 감독을 보좌하며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4강 신화를 썼던 지도자 [[박항서]]가 초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2006시즌 리그에서는 부진했으나, 월드컵 휴식기에 치러진 [[삼성 하우젠컵 2006]]에서 [[김진용2|김진용]], [[산토스2|산토스]] 등을 앞세워 3위를 기록하며 미래를 기약했다. 2007시즌에는 핵심 선수인 [[김진용2|김진용]]이 고질적인 발목 부상으로 시즌 내내 뛰지 못했지만 [[브라질]] 전지 훈련지에서 영입한 [[까보레]]와 [[부산 아이파크]]에서 검증된 미드필더 [[뽀뽀]], [[전남 드래곤즈]]에서 [[하나은행 FA컵 2006]] 트로피를 들어올리며 [[FA컵 MVP]]에 선정된 [[김효일]] 등 준척급 선수들을 영입하여 창단 2년 만에 리그 4위로 [[K리그 챔피언십]]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룩하였다. 하지만 포항과의 1라운드에서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패하였으며, 시즌 말 [[전형두]] 대표이사와 [[박항서]] 감독 간 알력 싸움으로 두 사람이 동반 사임하며 미래가 불투명해졌다.
+
: ''이 글의 본문은 [[창원축구센터]]입니다.''
 +
본래 경남은 [[창원 시청 축구단|창원]]과 함께 [[창원 종합 운동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였다. 당시 클럽의 상징 색이 엠블럼 컬러가 주황색과 흰색의 세로 줄무니였기 대문에 팬들은 창원 종합 운동장을 '''오렌지 스타디움'''이라고 불렀다. 월드컵 유치 잉여금과 창원시의 자금으로 [[창원 축구센터]]가 건립된 이후에는 주 경기장의 사용 문제로 [[경상남도]]와 [[창원시]]의 대립이 심화되었다. 하지만 경남 팬들의 강한 반발과 함께 구단 운영진, 팬들의 노력으로 결국 축구센터 주 경기장을 무상으로 임대하는 데 성공하였다.
   −
2008시즌을 앞두고 [[경상남도]] [[진주시]] 출신의 [[조광래]] 감독이 2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시즌 준비 기간, 까보레가 수많은 논란 끝에 결국 [[J리그]] 클럽 [[FC 도쿄]]로 이적했지만 부상에서 돌아온 김진용과 방출 명단까지 올랐다 기사회생한 [[김동찬]] 등 국내파 공격수들의 활약이 돋보였다. 신인 [[서상민]]은 신인 최초로 개막전에 데뷔하여 멀티골을 기록한 선수가 되며 데뷔 시즌에 팀의 중심이 되었고, [[김동찬]]은 [[FA컵 득점왕]]을 수상하며 팀의 [[하나은행 FA컵 2008]] 준우승을 이끌었다. 2009시즌 준비 기간, 팀의 [[프랜차이즈 스타]]로 평가받던 김진용이 [[김동현3|김동현]]과 1:1 트레이드로 [[성남 일화 천마]]로 이적하였다. 이에 팬들은 팀의 스타를 보내는 조광래 감독의 결정을 이해할 수 없다고 강하게 반발하였고, 구단은 2009시즌동안 김진용의 등번호인 18번을 결번처리하기로 하였다. 2009시즌에는 [[이용래]], [[김태욱]], [[김주영2|김주영]] 등 많은 신인들이 기용되어 데뷔 시즌임에도 준수한 실력을 보여주어 [[조광래 유치원]]이라는 신조어가 탄생하기도 하였다. 2010시즌을 앞두고 [[엠블럼]]과 클럽송, 주 경기장, 유니폼을 변경하며 창단 5년 차에 제 2의 창단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만 한 변화를 겪었다. 시즌 준비를 하는 동안 과거 [[K리그]] 비하 발언으로 곤욕을 치른 바 있는 공격형 미드필더 [[윤빛가람]]을 영입하였고, [[루시오2|루시오]]를 영입하며 공격을 강화한 경남은 리그 우승이 꿈이 아닐 정도로 아름다운 경기력을 보여주었지만 [[조광래]] 감독이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에 임명되며 리그 우승의 꿈을 접어야 했다.
      +
== 팀 상징 ==
 +
=== 엠블럼 ===
 +
[[파일:GFC_old_emblem.png|150px|thumb|2006~2009 엠블럼]]
   −
== 2010년대 ==
  −
경남의 3대 감독으로 2002년 히딩크 사단의 일원이었던 [[최진한]] 감독이 선임되었다. 2011시즌을 앞두고 전임 대표이사였던 [[전형두]]가 구단에 복귀하는 것에 대해 낙하산 인사라는 비판이 있었다. 한편, 2011시즌 [[K리그 컵]] 3위에 오르고, [[K리그 챔피언십]]에도 진출하는 등 가능성을 보였지만 2012시즌을 앞두고 일어난 [[윤빛가람]]과 [[김주영2|김주영]] 이적 논란에 팬들의 걱정을 사기도 했다. 거기에 2012시즌 중반, 주 후원사였던 [[STX]]가 경영난으로 후원금액을 삭감하고, 당시 구단주였던 [[김두관]] 도지사가 대선 출마를 이유로 도지사직에서 내려와 팀의 결재권자가 사라지는 등 고난 속에서도 [[하나은행 FA컵 2012]]에서 준우승을 기록하였고, 리그에서는 극적으로 상위 스플릿에 진출하는 등 놀라운 투혼을 보여주었다.
     −
2013시즌 중반 최진한 감독이 성적 부진을 이유로 사임하고, [[안종복]] 대표이사의 연으로 [[세르비아]] 출신 감독 [[페트코비치]]가 감독 자리에 올랐고, 주 후원사가 [[대우조선해양]]으로 바뀌었다. 페트코비치 체제의 첫 경기였던 [[대전 시티즌]]과의 홈 경기에서 6-0 대승을 거두며 기대를 모았지만 팀은 하반기 내내 성적을 내지 못하며 강등권까지 떨어졌다. 강등에 대한 불안감이 퍼지던 2013년 11월 27일, [[대전 시티즌]]과의 [[현대오일뱅크 K리그 클래식 2013]] 39라운드에서 [[강종국]]의 동점골로 1-1로 무승부를 거두며 잔류에 성공하였다. 2013시즌 종료 후, 페트코비치가 경질된 뒤, 차기 감독은 누가 될 것인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당시 언론에서 거론되던 인물은 [[광저우 에버그란데]] 등 [[중국 수퍼리그]] 클럽에서 지도력을 인정받은 [[이장수]]와 창단 때 부터 감독직 물망에 꾸준히 올라 온 [[이흥실]]이었고, 팬들 사이에서 거론되던 인물은 [[조광래]]와 [[장외룡]] 등이었다. 하지만 [[안종복]] 대표이사는 모두의 예상을 뒤덮고 야인 생활을 하던 [[이차만]] 감독을 선임하였고, [[수석코치]]에 [[이흥실]]을, [[스카우트]] 겸 전력강화부장에 2군 코치 [[박양하]]를 임명하였다.
+
=== 상징색 ===
 +
[[파일:경남_06-08_H.JPG|200px|thumb|2006년 유니폼]]
   −
야심차게 시작한 2014시즌이었지만 전반기 단 2승에 그치며 지독한 무승에 시달렸다. 여름 휴식기 무렵, 이흥실이 2군 감독으로 내려가고, J리그와 유럽에서 지도자 생활을 한 [[브랑코 (1950년)|브랑코]]를 기술자문으로 영입하며 코칭 스태프 개편에 들어갔다. 하지만 이흥실 수석코치 체제에서 2승을 기록했던 것에 비해 단 1승도 거두지 못하며 리그 최하위로 떨어지고야 말았다. 성적 부진을 이유로 이차만 감독이 사의를 표명했으나, 구단은 사표 수리를 즉각 하지 않았다. 결국 사표가 수리되었고, 브랑코 기술자문의 감독 대행 체제로 남은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2014년 8월 16일 [[상주 상무 피닉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3-1로 승리를 거두며 143일만에 승리를 기록했으나 팬들의 시선은 아직 싸늘하기만 하다. 결국 시즌 막바지까지 롤러코스터같은 경기력을 보이던 경남은 리그 11위로 시즌을 마감하였다. 정규 리그 종료 이후 치러진 [[광주 FC]]와의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종합 스코어 2-4로 1무 1패를 기록하여 강등되었다.
+
== 팬 ==
 +
[[파일:GFC_Supporters_Union.jpg|200px|thumb|경남 FC 서포터즈 연합회]]
 +
[[2002 FIFA 월드컵]]이 유치된 후, 우수한 선수들을 많이 배출한 [[경상남도]]에 프로 클럽이 없다는 것이 문제가 되었고, 이는 [[붉은 악마]] 경남 지부 회원들이 주축이 된 '''FC 경남 창단 추진 위원회'''(가칭)와 '''FC GNS'''의 결성으로 이어졌다. 추진위원회는 창단을 위한 지지 서명운동을 벌이는 등 지역 클럽의 창단에 힘쓰고 있던 상황이었다. FC GNS는 추진위원회와 노선은 달랐지만, 역시 연고 클럽의 창단을 위해 노력했다. 그렇게 창단이 가시화될 무렵인 2003년, 태풍 매미가 전국을 휩쓸었고, 경남은 전국에서도 손꼽히는 피해를 입게 되었다. 태풍 피해 복구에 신경을 쏟느라 자연히 클럽 창단은 우선 순위에서 밀려났고, 창단이 지연되자 축구팬들의 가슴은 타들어 갔다.
   −
2014시즌 승강 플레이오프 2차전을 앞둔 상황에서 구단주인 [[홍준표]] 지사가 자신의 SNS을 통해 해체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리고 경남의 강등이 확정된 다음날 기다렸다는 듯이 특별감사를 실시하였으며, [[안종복]] 대표이사를 포함한 구단 임직원 전원에게 사표를 받으라는 명령을 내렸다. 경남 팬 뿐만 아니라 수많은 리그 팬들이 강등을 이유로 팀을 해체시키려는 홍준표 경남도지사의 행보에 비판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으며, 정말로 구단주가 강등을 이유로 팀을 해체하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발생할 지의 여부가 이슈가 되었다. 2014년 12월
+
복구가 어느 정도 끝난 2005년, 드디어 모두가 고대하던 클럽 창단이 결정되고 모든 일정이 잘 풀리면서 대표적인 이름을 걸고 지지자 모임을 결성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그것이 [[울트라스]]를 표방하였던 '''The Ultra Nuclears 2005'''와 '''단디'''다. 당시 단디는 구단과 유착 관계를 형성하여 물품을 지원받는 등 지지자로서의 순수성을 잃었다는 비판을 받고 있었다. 이에 내분이 일어나 단디의 일부 멤버들이 탈퇴하여 '''Crazy Rate Extreme Winning''' (이하 C.R.E.W)를 결성하게 되면서 골대 뒤엔 세 가지 모임이 공존하게 되었다.
15일부터 진행된 특별감사를 통해 경남 FC가 존속되는 것이 확정되었다. <ref>[http://www.idomin.com/?mod=news&act=articleView&idxno=469089 (경남도민일보-조재영) (속보)경남도, 경남FC 계속 운영하기로 결정. 2014년 12월 23일.]</ref>
     −
2015시즌을 앞두고 [[박성화1|박성화]] 감독이 선임되었다. [[진주고등학교]]에서 감독으로 일하던 [[조정현]]을 1군 [[수석코치]]로 승격 시키고, 이전에 팀에서 일했던 [[박철우]]를 골키퍼 코치로 영입하는 코칭 스태프 개편을 거쳤다. 새 주장으로 [[진경선]], 부주장으로 [[김준엽]]이 임명되었다.
+
그 뒤, 경기장을 [[창원축구센터]]로 옮기고, 엠블럼과 팀 로고송을 모두 교체하며 새로운 창단 수준의 변혁을 겪은 구단의 상황에 발맞추어 [[경남 FC 서포터즈 연합회]]의 결성이 추진되었고, 2010시즌 세 모임 모두 연합회의 이름으로 활동하게 되었다. 연합회가 된 이후에는 이전보다 연령층이 많이 낮아진데다 인원도 늘어나면서 다양한 자체 행사를 여는 활발한 활동을 보여주고 있다.  
      −
= 선수단 소개 =
+
== 역대 성적 ==
== 스탭진 ==
+
: ''이 글의 본문은 [[경남 FC 역대 기록]]입니다.''
 +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 style="background:#C0C0C0"
 +
! rowspan=2|시즌
 +
! rowspan=2|리그명
 +
! rowspan=2|클럽 수
 +
! colspan=9|리그
 +
! rowspan=2|FA컵
 +
! rowspan=2|컵대회
 +
! rowspan=2|아챔
 +
! rowspan=2|감독
 +
|-
 +
! width=25|경기
 +
! width=25|승
 +
! width=25|무
 +
! width=25|패
 +
! width=30|득
 +
! width=30|실
 +
! width=30|득실차
 +
! width=30|승점
 +
! 순위
 +
|-
 +
|[[경남 FC 2006|2006]]||[[K리그]]
 +
|14||26||7||5||14||22||35||-13||26||12위|| ||bgcolor=bronze|'''3위'''|| –
 +
|rowspan="2"|{{국기그림|대한민국}} [[박항서]]
 +
|-
 +
|[[경남 FC 2007|2007]]||[[K리그]]
 +
|14||26||13||5||8||41||31||10||44||4위|| ||조별예선|| –
 +
|-
 +
|[[경남 FC 2008|2008]]||[[K리그]]
 +
|14||26||10||5||11||35||39||-4||35||8위||bgcolor=silver|'''준우승'''||조별예선|| –
 +
|rowspan="2"|{{국기그림|대한민국}} [[조광래]]
 +
|-
 +
|[[경남 FC 2009|2009]]||[[K리그]]
 +
|15||28||10||10||8||38||32||6||40||7위|| ||조별예선|| –
 +
|-
 +
|[[경남 FC 2010|2010]]||K리그
 +
|15||28||13||9||6||41||32||9||48||6위||||4강|| –
 +
|{{국기그림|대한민국}} [[조광래]]<br />{{국기그림|대한민국}} [[김귀화]](대행)
 +
|-
 +
|[[경남 FC 2011|2011]]||K리그
 +
|16||30||12||6||12||41||40||1||42||8위||||bgcolor=bronze|'''3위'''|| –
 +
|rowspan="2"|{{국기그림|대한민국}} [[최진한]]
 +
|-
 +
|[[경남 FC 2012|2012]]||K리그
 +
|16||44||14||8||22||50||60||-10||50||8위||bgcolor=silver|'''준우승'''||rowspan="4"| 일시폐지 || –
 +
|-
 +
|[[경남 FC 2013|2013]]||K리그 클래식
 +
|14||38||8||13||17||42||55||-13||37||11위||8강|| -
 +
| {{국기그림|대한민국}} [[최진한]]<br />{{국기그림|세르비아}} [[일리야 페트코비치|페트코비치]]
 +
|-
 +
|[[경남 FC 2014|2014]]||K리그 클래식
 +
|12||38||7||15||16||30||52||-20||36||11위(강등)||3라운드|| -
 +
| {{국기그림|대한민국}} [[이차만]]<br />[[브랑코 (1950년)|브랑코]](대행)
 +
|-
 +
|[[경남 FC 2015|2015]]||K리그 챌린지
 +
|||||||||||||||||||||||-
 +
|{{국기그림|대한민국}} [[박성화1|박성화]]
 +
|-
 +
|}
 +
 
 +
 
 +
 
 +
== 선수단 소개 ==
 +
=== 스탭진 ===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style="background:#E80000"
 
|- style="background:#E80000"
72번째 줄: 140번째 줄:  
|}
 
|}
   −
== 선수단 ==
+
=== 선수단 ===
 
{{클럽팀 선수명단 시작}}
 
{{클럽팀 선수명단 시작}}
 
{{클럽팀 선수명단|번호= 1 |국적=대한민국 |포지션=GK |이름=[[김교빈]]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 1 |국적=대한민국 |포지션=GK |이름=[[김교빈]] }}
111번째 줄: 179번째 줄:  
----
 
----
   −
== 2015년 이적 상황 ==
+
=== 2015년 이적 상황 ===
=== 군입대 선수 ===
+
==== 군입대 선수 ====
 
{{군복무 선수명단 시작}}
 
{{군복무 선수명단 시작}}
 
{{군복무 선수명단|포지션=MF |이름={{국기그림|대한민국}} [[조재철]] |소속팀=[[경찰 축구단]] |전역일= 2016년 }}
 
{{군복무 선수명단|포지션=MF |이름={{국기그림|대한민국}} [[조재철]] |소속팀=[[경찰 축구단]] |전역일= 2016년 }}
123번째 줄: 191번째 줄:       −
=== 시즌 전 이적 ===
+
==== 시즌 전 이적 ====
 
{{이적 상황 영입}}
 
{{이적 상황 영입}}
 
{{이적 상황|포지션=DF|이름={{국기그림|대한민국}} [[최성환]] |팀=[[광주 FC]]}}
 
{{이적 상황|포지션=DF|이름={{국기그림|대한민국}} [[최성환]] |팀=[[광주 FC]]}}
139번째 줄: 207번째 줄:  
{{이적 상황|포지션=MF|이름={{국기그림|대한민국}} [[박성열]] |팀=[[진주고등학교]] (대학진학) }}
 
{{이적 상황|포지션=MF|이름={{국기그림|대한민국}} [[박성열]] |팀=[[진주고등학교]] (대학진학) }}
 
{{이적 상황|포지션=FW|이름={{국기그림|대한민국}} [[전현근]] |팀=[[진주고등학교]] (대학진학) }}
 
{{이적 상황|포지션=FW|이름={{국기그림|대한민국}} [[전현근]] |팀=[[진주고등학교]] (대학진학) }}
   
{{이적 상황 이적}}
 
{{이적 상황 이적}}
 
{{이적 상황|포지션=DF|이름={{국기그림|세르비아}} [[스레텐]] |팀=계약 만료}}
 
{{이적 상황|포지션=DF|이름={{국기그림|세르비아}} [[스레텐]] |팀=계약 만료}}
166번째 줄: 233번째 줄:       −
=== 시즌 중 이적 ===
+
==== 시즌 중 이적 ====
 
{{이적 상황 영입}}
 
{{이적 상황 영입}}
 
{{이적 상황|포지션=DF|이름={{국기그림|대한민국}} [[송주한]] |팀=[[대전 시티즌]]}}
 
{{이적 상황|포지션=DF|이름={{국기그림|대한민국}} [[송주한]] |팀=[[대전 시티즌]]}}
175번째 줄: 242번째 줄:  
{{이적 상황|포지션=MF|이름={{국기그림|대한민국}} [[김선우3|김선우]] |팀=[[SK 유나이티드]] (임대)}}
 
{{이적 상황|포지션=MF|이름={{국기그림|대한민국}} [[김선우3|김선우]] |팀=[[SK 유나이티드]] (임대)}}
 
{{이적 상황|포지션=GK|이름={{국기그림|대한민국}} [[김형록]] |팀=[[SK 유나이티드]]}}
 
{{이적 상황|포지션=GK|이름={{국기그림|대한민국}} [[김형록]] |팀=[[SK 유나이티드]]}}
   
{{이적 상황 이적}}
 
{{이적 상황 이적}}
 
{{이적 상황|포지션=FW|이름={{국기그림|대한민국}} [[한의권]] |팀=[[대전 시티즌]]}}
 
{{이적 상황|포지션=FW|이름={{국기그림|대한민국}} [[한의권]] |팀=[[대전 시티즌]]}}
181번째 줄: 247번째 줄:  
{{이적 상황|포지션=DF|이름={{국기그림|대한민국}} [[최성민]] |팀=[[부천 FC 1995]]}}
 
{{이적 상황|포지션=DF|이름={{국기그림|대한민국}} [[최성민]] |팀=[[부천 FC 1995]]}}
 
{{이적 상황|포지션=FW|이름={{국기그림|대한민국}} [[송수영]] |팀=[[SK 유나이티드]] (임대)}}
 
{{이적 상황|포지션=FW|이름={{국기그림|대한민국}} [[송수영]] |팀=[[SK 유나이티드]] (임대)}}
   
{{이적 상황 끝}}
 
{{이적 상황 끝}}
   −
= 기록 =
+
== 업적 및 수상 ==
: 이 글의 본문은 [[경남 FC 역대 기록]]입니다.
+
* [[대한민국 FA컵]] 준우승 : 2회 (2008, 2012)
 
+
* [[K리그 컵]] 3위 : 2회 (2007, 2011)
== 역대 경남 FC 시즌 기록 ==
  −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 style="background:#C0C0C0"
  −
! rowspan=2|시즌
  −
! rowspan=2|리그명
  −
! rowspan=2|클럽 수
  −
! colspan=9|리그
  −
! rowspan=2|FA컵
  −
! rowspan=2|컵대회
  −
! rowspan=2|아챔
  −
! rowspan=2|감독
  −
|-
  −
! width=25|경기
  −
! width=25|승
  −
! width=25|무
  −
! width=25|패
  −
! width=30|득
  −
! width=30|실
  −
! width=30|득실차
  −
! width=30|승점
  −
! 순위
  −
|-
  −
|[[경남 FC 2006|2006]]||[[K리그]]
  −
|14||26||7||5||14||22||35||-13||26||12위|| ||bgcolor=bronze|'''3위'''|| –
  −
|rowspan="2"|{{국기그림|대한민국}} [[박항서]]
  −
|-
  −
|[[경남 FC 2007|2007]]||[[K리그]]
  −
|14||26||13||5||8||41||31||10||44||4위|| ||조별예선|| –
  −
|-
  −
|[[경남 FC 2008|2008]]||[[K리그]]
  −
|14||26||10||5||11||35||39||-4||35||8위||bgcolor=silver|'''준우승'''||조별예선|| –
  −
|rowspan="2"|{{국기그림|대한민국}} [[조광래]]
  −
|-
  −
|[[경남 FC 2009|2009]]||[[K리그]]
  −
|15||28||10||10||8||38||32||6||40||7위|| ||조별예선|| –
  −
|-
  −
|[[경남 FC 2010|2010]]||K리그
  −
|15||28||13||9||6||41||32||9||48||6위||||4강|| –
  −
|{{국기그림|대한민국}} [[조광래]]<br />{{국기그림|대한민국}} [[김귀화]](대행)
  −
|-
  −
|[[경남 FC 2011|2011]]||K리그
  −
|16||30||12||6||12||41||40||1||42||8위||||bgcolor=bronze|'''3위'''|| –
  −
|rowspan="2"|{{국기그림|대한민국}} [[최진한]]
  −
|-
  −
|[[경남 FC 2012|2012]]||K리그
  −
|16||44||14||8||22||50||60||-10||50||8위||bgcolor=silver|'''준우승'''||rowspan="4"| 일시폐지 || –
  −
|-
  −
|[[경남 FC 2013|2013]]||K리그 클래식
  −
|14||38||8||13||17||42||55||-13||37||11위||8강|| -
  −
| {{국기그림|대한민국}} [[최진한]]<br />{{국기그림|세르비아}} [[일리야 페트코비치|페트코비치]]
  −
|-
  −
|[[경남 FC 2014|2014]]||K리그 클래식
  −
|12||38||7||15||16||30||52||-20||36||11위(강등)||3라운드|| -
  −
| {{국기그림|대한민국}} [[이차만]]<br />[[브랑코 (1950년)|브랑코]](대행)
  −
|-
  −
|[[경남 FC 2015|2015]]||K리그 챌린지
  −
|||||||||||||||||||||||-
  −
|{{국기그림|대한민국}} [[박성화1|박성화]]
  −
|-
  −
|}
  −
 
     −
== 경남 FC 클럽부문 주요기록 ==
  −
=== 대회 주요 기록 ===
  −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 style="background:#C0C0C0"
  −
!대회명 !! 순위 !! 연도
  −
|-
  −
| '''[[K리그 컵대회]]''' || bgcolor=bronze|'''3위''' || 2006, 2011
  −
|-
  −
| '''[[FA컵]]''' || bgcolor=silver|'''준우승''' ||  2008, 2012
  −
|}
      +
== 구단 운영진 ==
 +
* 구단주 : {{국기그림|대한민국}} [[홍준표]]
 +
* 대표이사 : {{국기그림|대한민국}} [[박치근]]
 +
* 이사
   −
== 경남 FC 개인부문 주요 기록 ==
+
== 역대 감독 ==
=== 개인 수상 ===
  −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 style="background:#C0C0C0"
  −
! 기록부문 !! 이름 !! 포지션 !! 시즌 !! 기록 !! 비고
  −
|-
  −
|rowspan="3"|'''[[K리그 시즌 베스트 일레븐]]''' || {{국기그림|브라질}} [[까보레]] || FW || 2007 || 경기 골 도움 || 데뷔 시즌 선정
  −
|-
  −
|rowspan="2"| {{국기그림|대한민국}} [[윤빛가람]] || rowspan="2"| MF || 2010 || 경기 골 도움 ||rowspan="2"|2년 연속 수상
  −
|-
  −
| 2011 || 경기 골 도움
  −
|-
  −
|'''[[K리그 득점왕]]''' || {{국기그림|브라질}} [[까보레]] || FW || 2007 || 경기 18골 || 데뷔 시즌 득점왕
  −
|-
  −
|'''FA컵 득점왕''' ||{{국기그림|대한민국}}  [[김동찬]] || FW || 2008 ||  경기 6골 || 준결승 [[국민은행 축구단|국민은행]]전 4득점
  −
|-
  −
|'''[[K리그 신인왕]]''' ||{{국기그림|대한민국}}  [[윤빛가람 ]] || MF || 2010 || 경기 골 도움 ||
  −
|-
  −
|}
  −
 
  −
 
  −
== 인물 관련 사항 ==
  −
=== 역대 구단주 명단 ===
  −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 style="background:#C0C0C0"
  −
! 순서 !! 재임 기간 !! 성명 !! 특이 사항
  −
|-
  −
| 초대 || 창단 ~ 2010 || {{국기그림|대한민국}} [[김태호 (정치인)|김태호]] || 창단 구단주
  −
|-
  −
| 2대 || 2011 ~ 2012 || {{국기그림|대한민국}} [[김두관]] || 18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도지사직 사퇴
  −
|-
  −
| 3대 || 2012 ~ 현재 || {{국기그림|대한민국}} [[홍준표]] ||
  −
|}
  −
 
  −
 
  −
=== 역대 대표이사 명단 ===
  −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 style="background:#C0C0C0"
  −
! 순서 !! 재임 기간 !! 성명 !! 특이 사항
  −
|-
  −
| 초대 || 창단 ||{{국기그림|대한민국}}  [[박창식]] || 창단 대표이사<br />당시 경남 상공회의소 회장
  −
|-
  −
| 2대 || 2007 ||{{국기그림|대한민국}}  [[전형두]] || 5대 대표이사 역임<br />2013년 3월 25일 별세
  −
|-
  −
| 3대 || 2008 || {{국기그림|대한민국}} [[김영조]] || 당시 경남도 도의원
  −
|-
  −
| 4대 || 2008 ~ 2010 || {{국기그림|대한민국}} [[김영만 (언론인)|김영만]] || [[GFC-TV]] 개국<br />[[진주고등학교]]를 U-18 팀으로 지정
  −
|-
  −
| 5대 || 2011 ~ 2012 || {{국기그림|대한민국}} 전형두 || 국내 최초의 구단 직영 상설 매장 [[GFC 메가스토어]]의 개장
  −
|-
  −
| 6대 || 2012 || {{국기그림|대한민국}} 권영민 ||
  −
|-
  −
| 7대 || 2013 ~ 2014 || {{국기그림|대한민국}} [[안종복]] || K리그 클래식에서 강등
  −
|-
  −
| 8대 || 2015 ~ 2015.7 || {{국기그림|대한민국}} [[김형동]] ||
  −
|-
  −
| 9대 || 2015.7 ~ 현재 || {{국기그림|대한민국}} [[박치근]] ||
  −
|-
  −
|}
  −
 
  −
 
  −
=== 역대 감독 명단 ===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style="background:#C0C0C0"
 
|- style="background:#C0C0C0"
346번째 줄: 283번째 줄:       −
=== 역대 주장 명단 ===
+
=== 역대 주장 ===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style="background:#C0C0C0"
 
|- style="background:#C0C0C0"
377번째 줄: 314번째 줄:     
== 역대 주요 인물 ==
 
== 역대 주요 인물 ==
=== 현재 주요 인물 ===
+
=== 현재 ===
 
{{col-begin}}
 
{{col-begin}}
 
{{col-3}}
 
{{col-3}}
394번째 줄: 331번째 줄:  
{{col-end}}
 
{{col-end}}
   −
=== 과거 주요 인물 ===
+
=== 과거 ===
 
{{col-begin}}
 
{{col-begin}}
 
{{col-3}}
 
{{col-3}}
441번째 줄: 378번째 줄:  
* {{국기그림|대한민국}} [[이재안]]
 
* {{국기그림|대한민국}} [[이재안]]
 
{{col-end}}
 
{{col-end}}
  −
= 구단 제반 사항 =
  −
== 홈구장 ==
  −
[[File:창원축구센터주경기장.jpg|섬네일|250픽셀|창원축구센터 전경]]
  −
본래 경남은 [[창원 시청 축구단|창원]]과 함께 [[창원 종합 운동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였다. 당시 클럽의 상징 색이 엠블럼 컬러가 주황색<del>단감</del>과 흰색의 세로 줄무니였기 대문에 팬들은 창원 종합 운동장을 '''오렌지 스타디움'''이라고 불렀다. 월드컵 유치 잉여금과 창원시의 자금으로 [[창원 축구센터]]가 건립된 이후에는 주 경기장의 사용 문제로 [[경상남도]]와 [[창원시]]의 대립이 심화되었다. 하지만 경남 팬들의 강한 반발과 함께 구단 운영진, 팬들의 노력으로 결국 축구센터 주 경기장을 무상으로 임대하는 데 성공하였다. 2010시즌을 앞두고 축구센터로 경기장을 이전하면서 엠블럼, 로고 송, 유니폼 등을 바꾸며 제2의 창단 수준의 변화를 겪은 경남은 축구센터에서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면서 어느 팀도 무시할 수 없는 중상위권 클럽으로 거듭났다.
  −
  −
  −
== 엠블럼 ==
  −
<gallery>
  −
File:GFC old emblem.png|2006 ~ 2009년<br/>경남 FC 엠블럼<br />
  −
File:gfc_emblem.png|2010년 ~ 현재<br/> 경남 FC 엠블럼<br />
  −
</gallery>
  −
  −
  −
== 유니폼 ==
  −
<gallery>
  −
File:경남 06-08 H.JPG| 2006 ~ 2008년 <br /> 홈 유니폼 <br />
  −
File:경남 06-08 A.jpg| 2006 ~ 2008년 <br /> 어웨이 유니폼 <br />
  −
File:경남 09 H.jpg| 2009년 <br /> 홈 유니폼 <br />
  −
File:경남 09 A.jpg| 2009년 <br /> 어웨이 유니폼 <br />
  −
File:gfc.png| 2010 ~ 2011년 <br /> 홈/골키퍼/어웨이 유니폼 <br />
  −
File:경남 12.jpg| 2012년<br />홈/어웨이/서드/스플리트 어웨이 유니폼<br />
  −
File:경남 13.jpg| 2013년<br />홈/어웨이 유니폼<br />
  −
File:경남 14.jpg| 2014년<br />유니폼
  −
</gallery>
  −
창단 당시 엠블럼 디자인을 살린 주황색 흰색 스트라이프는 클래식한 유니폼의 전형적인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09시즌엔 리그 팬들로부터 광고판이라는 오명을 쓰게 되지만 어웨이 유니폼은 그래도 호평을 받은 듯. 09시즌의 [[흑역사]]를 거쳐 10시즌 스페인 브랜드 켈미와 계약한 경남은 엠블럼, 클럽송과 함께 팀 이미지를 변경, 거기에 최신 축구전용구장까지 사용하게 되어 여느 팀 못지않은 퀼리티를 갖추게 되었다. 2012시즌에는 [[K리그]] 클럽 최초로 필드플레이어 4종, 골키퍼 3종으로 총 7종의 셔츠를 발매하며 화제를 불러 일으켰고, 팀의 상징과 엠블럼을 잘 살린 디자인이 상당히 호평을 받았다. [[풋볼리스트]]에서 패션 종사자들에게 설문 조사한 결과 설문자 전원에게 만점인 별점 5점을 받기도 하였다.<ref>[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occer&ctg=news&mod=read&office_id=260&article_id=0000000478 (풋볼리스트-서형욱) 2012 K리그 '패션왕' 유니폼은? 2012년 3월 2일.]</ref>
  −
  −
  −
== 마스코트 ==
  −
[[File:ci_img2.gif]]
  −
  −
진취적이고 강인함을 형상화 한 캐릭터로, 시속 400km로 비행하는 바닷새 군함조를 형상화 하였다. 본래 남성 캐릭터인 '''군함이'''가 있었으나 어느샌가 분홍빛(!) 여성 캐릭터 '''경남이'''까지 가세해서 경기장에서 부농질로 염장을 질렀지만 경남이는 언제부터인지 사라져버렸다.
  −
  −
[[File:경남신마스코트.jpg]]
  −
  −
2013시즌 중반 군함이를 대체할 새로운 마스코트가 발표되었다. 팬들은 그야말로 충격에 휩싸였다. <del>충격과 공포다 그지 깽깽이들아</del> 신임 대표이사와 단장이 선임되며 팀에 많은 변화가 찾아왔고, 신규 관중의 유입에만 정신에 팔려 팀의 역사와 상징을 경시하여 기존에 경기장을 꾸준히 찾던 팬들이 경기장을 찾는 것을 꺼리게 한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일어났다.
  −
      
== 킷 서플라이어 및 주 후원사 ==
 
== 킷 서플라이어 및 주 후원사 ==
544번째 줄: 444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창원스포츠파크종합운동장]]
 
* [[창원스포츠파크종합운동장]]
* [[창원 시청]]
+
* [[창원시청 축구단]]
 +
* [[김해시청 축구단]]
 
* [[KNN 더비]]
 
* [[KNN 더비]]
* [[창원 더비]]
   
* [[조광래 유치원]]
 
* [[조광래 유치원]]
  

편집

3,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