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53 바이트 추가됨 ,  2017년 2월 23일 (목) 09:37
편집 요약 없음
9번째 줄: 9번째 줄:     
= 헌병감실 축구단 =
 
= 헌병감실 축구단 =
'''현병감실 축구단'''은 한국전쟁으로 인해 입대하게 된 축구선수들의 선수 활동을 보장하기 위해, 1953년 창단되어 5ㆍ60년대를 풍미했던 축구단으로 '''헌병감실''' 혹은 '''헌병사령부''', 약칭으로는 '''헌감'''이라 불렸다. 군대 내 감찰을 담당한다는 점에서 [[특무대]]와 부딪히는 일이 많아서인지, 축구에서도 헌병감실 축구단과 특무대 축구단은 라이벌 구도를 이루었다. 이후 1965년을 기점으로 예산 상의 문제로 더이상 육군 내에 부대별로 축구팀 운용이 불가능하다고 판단, [[방첩부대|방첩부대(특무대)]] 축구단과 함께 해체되어 [[공병단]] 축구단에 흡수ㆍ통합되어 '육군 대표'라는 이름으로 새출발하게 되었다.<ref>이후 공병단 축구단은 69년 병참단에 합병되어 진정한 육군 대표 축구단이 되었다가, 1982년 육해공이 모두 통합되어 [[상무체육부대]]로 재편되기에 이른다.</ref>
+
'''현병감실 축구단'''은 한국전쟁으로 인해 입대하게 된 축구선수들의 선수 활동을 보장하기 위해, 1953년 창단되어 5ㆍ60년대를 풍미했던 축구단으로 '''헌병감실''' 혹은 '''헌병사령부''', 약칭으로는 '''헌감'''이라 불렸다. 군대 내 감찰을 담당한다는 점에서 [[특무대]]와 부딪히는 일이 많아서인지, 축구에서도 헌병감실 축구단과 특무대 축구단은 라이벌 구도를 이루었다. 이후 1965년을 기점으로 예산 상의 문제로 더이상 육군 내에 부대별로 축구팀 운용이 불가능하다고 판단, [[방첩부대|방첩부대(특무대)]] 축구단과 함께 해체되어 [[공병단]] 축구단에 흡수ㆍ통합되어 '육군 대표'라는 이름으로 새출발하게 되었다.<ref>이후 공병단 축구단은 69년 병참단에 합병되어 진정한 육군 대표 축구단([[충의]])이 되었다가, 1982년 [[육군체육지도대]]를 거쳐 1984년 육해공이 통합된 [[국군체육부대]]의 설립으로 이어지게 된다.</ref>
     
익명 사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