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째 줄: |
1번째 줄: |
| [[File:노형구.jpg|섬네일|300픽셀|수원 시절 노형구]] | | [[File:노형구.jpg|섬네일|300픽셀|수원 시절 노형구]] |
− | '''노형구'''(1992년 4월 29일 ~ )는 [[대한민국]]의 축구선수로, 2011년부터 활동 중인 [[중앙 수비수]]다. | + | '''노형구''' (1992년 4월 29일 ~ )는 [[대한민국]]의 축구선수로, 2011년부터 [[K리그]] 및 [[K3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는 [[중앙 수비수]]이다. |
| | | |
| |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 포지션 : [[센터백]] | | * 포지션 : [[센터백]] |
| | | |
− | * 현 소속팀 : - | + | * 현 소속팀 : {{국기그림|대한민국}} [[부여 FC]] |
| | | |
| * [[등번호]] : - | | * [[등번호]] : - |
52번째 줄: |
52번째 줄: |
| 수원에 입단한 후, 다른 새내기들과 달리 자주 1군 무대 벤치에 앉으며 프로 데뷔 기회를 노리던 노선수는, 2011년 6월 29일 [[SK 유나이티드]]와의 컵대회 4강전에서 선발출장, 1군 무대에 데뷔하였다. 이후 2011시즌 2경기를 소화하며 향후 성장을 기대하게 만들었으나, 2012년에는 1경기도 모습을 드러내지 못하였고, 결국 2012시즌 종료 후 수원을 떠나게 되었으며, 2013시즌을 앞두고 J2리그 팀인 구마모토 로쏘로 이적하며 해외파에 이름을 올렸다. 하지만 구마모토에서도 별다른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 노형구 선수는 2014년 2월 중국 프로축구팀인 하얼빈 이텅에 입단하였다. | | 수원에 입단한 후, 다른 새내기들과 달리 자주 1군 무대 벤치에 앉으며 프로 데뷔 기회를 노리던 노선수는, 2011년 6월 29일 [[SK 유나이티드]]와의 컵대회 4강전에서 선발출장, 1군 무대에 데뷔하였다. 이후 2011시즌 2경기를 소화하며 향후 성장을 기대하게 만들었으나, 2012년에는 1경기도 모습을 드러내지 못하였고, 결국 2012시즌 종료 후 수원을 떠나게 되었으며, 2013시즌을 앞두고 J2리그 팀인 구마모토 로쏘로 이적하며 해외파에 이름을 올렸다. 하지만 구마모토에서도 별다른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 노형구 선수는 2014년 2월 중국 프로축구팀인 하얼빈 이텅에 입단하였다. |
| | | |
− | 이 팀은 과거 [[조윤환]] 감독이 잠시 지휘봉을 잡고, [[왕정현]] 등이 활약한 팀으로도 알려져있으며, 2013시즌 중국 갑급리그에서 승격에 성공하여 14시즌부터 CSL에서 활동하게 된 팀이기도 하다. 하지만 하얼빈 이텅은 14시즌 중국 슈퍼리그에서 최하위를 면치못하며 부진을 거듭하였고, 노선수는 14시즌 전반기 한경기도 소화하지 못하며 팀에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결국 2014년 5월 노형구 선수는 하얼빈에서 방출되었고, 그 빈자리를 [[최현연]] 선수가 채우게 되었다. 하얼빈에서 방출된 뒤로 모습을 보이지 않았으나 이듬해 2015년에 [[K리그 챌린지]]의 [[충주 험멜]]로 이적을 확정지었다. 이적 후 초반에 컨디션 난조로 경기에 출전하지 못하였으나 4월 25일 [[대구 FC]]와 경기에 선발출전을 시작으로 주전 멤버에 포함되며 팀에 녹아들기 시작했다. 6월 24일에는 [[2015 KEB하나은행 FA컵]]에서 [[전남 드래곤즈]]를 상대로 전반 15분에 코너킥 상황에서 헤딩 선취 득점에 성공하며 자신의 프로 경력에서의 첫 골을 성공시키기도 하였다. 이후 리그에서 선발과 교체를 오가며 수비수로 활약하였고 후반기에는 [[황재원]]의 주전 수비수로 자리를 잡아가면서 선발에서 밀리는 듯 보였으나 11월 14일 [[대구 FC]]와 경기까지 총 23경기에 출전하였다. 그러나 시즌 종료 후 충주에서 퇴단하였으며 2016년에는 소속팀이 없는 상황이다. | + | 이 팀은 과거 [[조윤환]] 감독이 잠시 지휘봉을 잡고, [[왕정현]] 등이 활약한 팀으로도 알려져있으며, 2013시즌 중국 갑급리그에서 승격에 성공하여 14시즌부터 CSL에서 활동하게 된 팀이기도 하다. 하지만 하얼빈 이텅은 14시즌 중국 슈퍼리그에서 최하위를 면치못하며 부진을 거듭하였고, 노선수는 14시즌 전반기 한경기도 소화하지 못하며 팀에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결국 2014년 5월 노형구 선수는 하얼빈에서 방출되었고, 그 빈자리를 [[최현연]] 선수가 채우게 되었다. 하얼빈에서 방출된 뒤로 모습을 보이지 않았으나 이듬해 2015년에 [[K리그 챌린지]]의 [[충주 험멜]]로 이적을 확정지었다. 이적 후 초반에 컨디션 난조로 경기에 출전하지 못하였으나 4월 25일 [[대구 FC]]와 경기에 선발출전을 시작으로 주전 멤버에 포함되며 팀에 녹아들기 시작했다. 6월 24일에는 [[2015 KEB하나은행 FA컵]]에서 [[전남 드래곤즈]]를 상대로 전반 15분에 코너킥 상황에서 헤딩 선취 득점에 성공하며 자신의 프로 경력에서의 첫 골을 성공시키기도 하였다. 이후 리그에서 선발과 교체를 오가며 수비수로 활약하였고 후반기에는 [[황재원]]의 주전 수비수로 자리를 잡아가면서 선발에서 밀리는 듯 보였으나 11월 14일 [[대구 FC]]와 경기까지 총 23경기에 출전하였다. 그러나 시즌 종료 후 충주에서 퇴단하였으며 2016년 여름까지 소속팀 없이 지낸 후, 2016년 7월 [[강정훈1|강정훈]] 감독이 이끄는 [[K3리그]]에 참가하는 신생팀 [[부여 FC]]에 입단하였다. |
| | | |
| | | |
69번째 줄: |
69번째 줄: |
| | 2011 ~ 2012 || {{팀/수원}} || [[K리그]] || | | | 2011 ~ 2012 || {{팀/수원}} || [[K리그]] || |
| |- | | |- |
− | | 2013 || {{국기그림|일본}} 구마모토 로쏘 || [[J2리그]] || | + | | 2013 || {{국기그림|일본}} 구마모토 로쏘 || [[J리그 디비전2]] || |
| |- | | |- |
| | 2014.02 ~ 2014.05 || {{국기그림|중국}} 하얼빈 이텅 || [[중국 슈퍼리그]] || | | | 2014.02 ~ 2014.05 || {{국기그림|중국}} 하얼빈 이텅 || [[중국 슈퍼리그]] || |
| |- | | |- |
| | 2015.03 ~ 2015.12 || {{팀/충주}} || [[K리그 챌린지]] || | | | 2015.03 ~ 2015.12 || {{팀/충주}} || [[K리그 챌린지]] || |
| + | |- |
| + | | 2016.07 ~ 현재 || {{국기그림|대한민국}} [[부여 FC]] || [[K3리그]] || |
| |} | | |} |
| | | |
84번째 줄: |
86번째 줄: |
| | | |
| | | |
− | [[분류:1992년생]][[분류:매탄고등학교의 선수]][[분류:2011년 드래프트 지명자]][[분류: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선수]][[분류:해외진출 선수]][[분류:충주 험멜의 선수]] | + | [[분류:1992년생]][[분류:매탄고등학교의 선수]][[분류:2011년 드래프트 지명자]][[분류: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선수]][[분류:해외진출 선수]][[분류:충주 험멜의 선수]][[분류:부여 FC의 선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