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번째 줄: |
2번째 줄: |
| 현재 한국에는 국가기관에서 관리하는 국철밖에 없는 상황이지만..일제시대때는 국철외에 일반회사가 소유한 사철도 존재했는데.. | | 현재 한국에는 국가기관에서 관리하는 국철밖에 없는 상황이지만..일제시대때는 국철외에 일반회사가 소유한 사철도 존재했는데.. |
| 사철중 조선철도도 존재했기 때문에 조선철도와 조선철도국은 다른 의미입니다. 조선철도국은 일제 강점기 한반도의 철도 운영을 책임지던 조선총독부 산하의 기관을 뜻하며..조선철도는 사철회사의 명칭이므로 조선철도국 또는 철도국 축구단으로 정확히 명시해야 합니다. [[사용자:칫통|칫통]] 2011년 6월 19일 (일) 06:45 (KST) | | 사철중 조선철도도 존재했기 때문에 조선철도와 조선철도국은 다른 의미입니다. 조선철도국은 일제 강점기 한반도의 철도 운영을 책임지던 조선총독부 산하의 기관을 뜻하며..조선철도는 사철회사의 명칭이므로 조선철도국 또는 철도국 축구단으로 정확히 명시해야 합니다. [[사용자:칫통|칫통]] 2011년 6월 19일 (일) 06:45 (KST) |
| + | |
| + | == 코레일 축구단의 창단년도는? == |
| + | |
| + | {{col-begin}} |
| + | {{col-3}} '''한국철도 역사''' |
| + | <small> |
| + | * 1910년 10월 1일 - 한일강제병합으로 '''조선총독부 철도국''' 설치. |
| + | * 1917년 7월 31일 - 남만주철도에 국영철도의 경영 위탁. |
| + | * 1919년 8월 20일 - 총독부의 관제개정으로 인해 철도국이 '''철도부'''로 변경. |
| + | * 1925년 4월 1일 - 남만철도에의 경영위탁 해제, 다시 '''조선총독부 철도국'''설치. |
| + | * 1933년 10월 1일 - 청진 이북의 노선을 남만주철도에 위탁. |
| + | * 1943년 12월 1일 - 총독부의 관제개정에 따라 철도국을 '''교통국'''으로 변경. |
| + | * 1945년 9월 6일 - 해방후 미군이 진주하여 미군정청 교통국 설치. |
| + | * 1946년 1월 1일 - 미군정청 교통국을 '''운수국'''으로 개칭. |
| + | * 1946년 3월 29일 - 운수국을 '''운수부'''로 개편. |
| + | * 1946년 5월 1일 - 조선철도, 경춘철도, 경남철도 등의 사철이 국철에 흡수. |
| + | * 1948년 8월 15일 - 정부 수립후 운수부를 '''교통부'''로 개편. 초대 장관은 민희식. |
| + | * 1963년 9월 1일 - 교통부로부터 외청인 '''철도청'''으로 독립. |
| + | * 1969년 2월 10일 - 경부선에 특급 "관광호"운행. 1974년 새마을호로 명칭변경. |
| + | * 1974년 8월 15일 - 수도권(서울-인천/구로-수원)전철개통. |
| + | * 1998년 7월 31일 - 철도청 서울 용산청사에서 대전정부청사로 이전. |
| + | * 1999년 9월 18일 - 한국철도 100주년 '철도의 날' 기념식. |
| + | * 2004년 1월 1일 - 철도청 시설보유 및 건설부분이 한국철도시설공단으로 분리. |
| + | * 2004년 4월 1일 - KTX 개통. |
| + | * 2005년 1월 1일 - '''한국철도공사''' 출범 |
| + | * 2009년 9월 18일 - 대전 공동사옥 입주(동-Korail, 서-한국철도시설공단)</small> |
| + | {{col-3}} |
| + | '''한국철도 스포츠의 역사''' |
| + | <small> |
| + | |
| + | </small> |
| + | {{col-en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