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버른 하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정예정) |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 현재시즌 = [[멜버른 하트 2012-2013]] | | 현재시즌 = [[멜버른 하트 2012-2013]] | ||
}} | }} | ||
| − | '''멜버른 하트'''는 2010년부터 [[A-리그]]에 참가하고 있는 [[오스트레일리아]]의 프로 축구 클럽이다. 홈 경기장으로는 [[멜버른]]의 [[AAMI 파크]]를 사용하며, [[A-리그]] 최고 인기 클럽인 [[멜버른 하트]]와 치열한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 + | '''멜버른 하트'''는 2010년부터 [[A-리그]]에 참가하고 있는 [[오스트레일리아]]의 프로 축구 클럽이다. 홈 경기장으로는 [[멜버른]]의 [[AAMI 파크]]를 사용하며, [[A-리그]] 최고 인기 클럽인 [[멜버른 하트]]와 치열한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클럽의 상징색인 붉은색과 흰색은 멜버른 시 깃발의 색으로, 지역의 상징성을 나타낸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번째 줄: | 51번째 줄: | ||
== 선수단 소개 == | == 선수단 소개 == | ||
| − | :2012년 | + | :2012년 7월 14일 기준 |
=== 스탭진 === | === 스탭진 === | ||
| − | |||
---- | ---- | ||
* 감독 | * 감독 | ||
| − | : {{국기그림| |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존 알로이시]] |
---- | ---- | ||
* 수석 코치 | * 수석 코치 | ||
| − | : {{국기그림| |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조 멀렌]] |
---- | ---- | ||
* 컨디셔닝 코치 | * 컨디셔닝 코치 | ||
| − | : {{국기그림| |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톰 레딘 |
---- | ---- | ||
* GK 코치 | * GK 코치 | ||
| − | : {{국기그림| |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피터 조이스]] |
---- | ---- | ||
* 트레이너 | * 트레이너 | ||
|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벨린다 파셀라 |
---- | ---- | ||
| 59번째 줄: | 73번째 줄: | ||
---- | ---- | ||
{{클럽팀 선수명단 시작}} | {{클럽팀 선수명단 시작}} |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1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GK |이름=[[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1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GK |이름=[[클린트 볼튼]] }}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2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DF |이름=[[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2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DF |이름=[[마이클 마론]] }}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3 |국적=오스트레일리아 | 포지션=DF |이름=[[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3 |국적=오스트레일리아 | 포지션=DF |이름=[[브렌단 하밀]] }}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4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DF |이름=[[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4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DF |이름=[[사이먼 콜로시모]] [[파일:Captain.svg|15픽셀]] }}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5 |국적=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5 |국적=브라질 |포지션=DF |이름=[[에우베르트 프레데리쿠 카레이로 자 시우바|프레드]] }}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6 |국적=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6 |국적=라이베리아 |포지션=MF |이름=[[패트릭 은예마 저하르트|패트릭 저하르트]] }} |
|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8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MF |이름=[[매트 톰슨]] }} |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8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MF |이름=[[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13 |국적=아르헨티나 |포지션=MF |이름=[[호나탄 헤르마노]] }}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14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FW |이름=[[골골 메브라투]] }} |
| − | |||
| − |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14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 | ||
| − | |||
{{클럽팀 선수명단 중간}} | {{클럽팀 선수명단 중간}} |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15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FW |이름=[[데이비드 윌리엄스]] }}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16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DF |이름=[[아지즈 비하이치]] }} |
|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17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MF |이름=[[제이슨 호프만]] }} |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19 |국적=아일랜드 |포지션=MF |이름=[[스티븐 그레이]] }}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22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MF |이름=[[닉 칼마]] }}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22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23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MW |이름=[[마테 두간지치]] }} |
|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30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GK |이름=[[앤드류 레드메인]] }} | |
|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 |국적=크로아티아 |포지션=FW |이름=[[요시프 타디치]] }} |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 | ||
| − | |||
| − |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GK |이름=[[ |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 |국적= | ||
{{클럽팀 선수명단 끝}} | {{클럽팀 선수명단 끝}} | ||
---- | ---- | ||
| 92번째 줄: | 97번째 줄: | ||
== 구단 제반 사항 == | == 구단 제반 사항 == | ||
=== 구단 운영진 === | === 구단 운영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역대 감독 및 주장 === | === 역대 감독 및 주장 === | ||
| 108번째 줄: | 105번째 줄: | ||
|- | |- | ||
! 순번 !! 성명 !! 재임 | ! 순번 !! 성명 !! 재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3번째 줄: | 112번째 줄: | ||
|- | |- | ||
! 순번 !! 성명 !! 재임 | ! 순번 !! 성명 !! 재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6번째 줄: | 117번째 줄: | ||
=== 역대 주요 선수 === | === 역대 주요 선수 === | ||
| − | : | + | : 멜버른 하트에서 뛰었던 모든 선수를 확인하려면, [[:분류:멜버른 하트의 선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col-begin}} | {{col-begin}} | ||
{{col-3}} | {{col-3}}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존 알로이시]]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존 알로이시]] | ||
|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 |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일라이 바발]] |
| − |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마이클 부샴]] | |
| − |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딘 헤퍼난]] | |
| − |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사이먼 콜로시모]] | |
| − |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아지즈 비하이치]] | |
| − |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조시프 스코코]] | |
| − |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매트 톰슨]] | |
|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마이클 | ||
|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 | ||
|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 | ||
|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 | ||
|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 | ||
|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 | ||
| − | |||
{{col-3}} | {{col-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l-end}} | {{col-end}} | ||
| 196번째 줄: | 159번째 줄: | ||
| − | {{A-리그}}{{ | + | {{A-리그}}{{멜버른 하트}} |
| + | |||
| + | [[분류:멜버른 하트]] | ||
2012년 7월 13일 (금) 22:22 판
| 멜버른 하트 | |
|---|---|
![]() | |
| 기본정보 | |
| 정식명칭 | 멜버른 하트 FC |
| 원어명 | 로마 : Melbourne Heart FC |
| 별명 | 하트 |
| 클럽색 | 빨강 하양 |
| 창단년도 | 2008 |
| 홈경기장 | AAMI 파크 (30,050석) |
| 연고지 | 빅토리아 주 멜버른 |
| 운영 | |
| 운영법인 |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연맹 |
| 구단주 | |
| 감독 | |
| 소속리그 | A-리그 |
| 홈페이지 | melbourneheartfc.com.au |
| 현재시즌 | |
| 멜버른 하트 2012-2013 | |
멜버른 하트는 2010년부터 A-리그에 참가하고 있는 오스트레일리아의 프로 축구 클럽이다. 홈 경기장으로는 멜버른의 AAMI 파크를 사용하며, A-리그 최고 인기 클럽인 멜버른 하트와 치열한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클럽의 상징색인 붉은색과 흰색은 멜버른 시 깃발의 색으로, 지역의 상징성을 나타낸다.
역사
형성
2003년 오스트레일리아 내셔널 사커 리그가 해체된 뒤, 새로운 프로 리그 형성에 대한 논의 과정에서 멜버른을 연고로 하는 클럽이 2개는 있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던 적이 있다. 하나는 시 북동부, 하나는 남서부를 기반으로 하여 인구의 절반씩을 커버하려는 의도였다. 하지만 A-리그 출범 당시,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연맹은 멜버른을 연고로 하는 클럽의 라이선스를 멜버른 빅토리 단 하나에만 허용하였다. 그 이유는 초창기 A-리그 클럽들이 부실한 기반에서 오는 재정난 등 어려운 상황에 처할 것이 자명하였으므로, 5년의 기간 동안 멜버른의 축구 저변 확대를 꾀하기 위한 것이었다. 2007년, AAMI 파크가 건설이 시작되면서 새로운 멜버른 클럽의 창설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졌다. 그것은 당시 에티하드 스타디움과 이용 계약이 되어 있던 빅토리가 그들의 계약을 조기에 끝내고 AAMI 파크로 옮기는 것을 우려하였기 때문이다. 반면, 2007년 2월 12일, NSL 시절 강팀으로 군림하였던 사우스 멜버른 FC가 사우던 크로스 FC라는 이름으로 A-리그 클럽 라이선스를 획득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2008년 3월 1일에는,, 칼튼 풋볼 클럽 부회장 출신인 콜린 디러티스가 멜버른 연고 클럽의 A-리그 참가에 대한 관심을 표명했다. 그는 멜버른 시티라는 이름의 클럽을 창설하고 리그 라이선스를 획득하는 것을 목표로 FFA와 협상을 시도한 바 있다. 그러던 2008년 5월, FFA의 대표이사 벤 버클리는 2009/10시즌 전후로 A-리그 클럽을 8개에서 12개로 확대할 가능성을 제기하였고, 또한 멜버른 시티에 이어 피터 시드웰이 주도하는 멜버른 하트를 경쟁에 참가시켜 총 세 개의 클럽이 라이선스 획득 경쟁을 하도록 하였다. 2008년 7월 25일, 멜버른 시티의 제안은 중도 거절되었고, 동년 9월, 하트가 결국 리그의 11번째 클럽 라이선스를 획득할 최종 클럽으로 선정되었다. 그리고 2009년 6월 12월, 가입이 완벽하게 승인될때 까지 조율이 계속되었다.
A-리그
선수단 소개
- 2012년 7월 14일 기준
스탭진
- 감독
- 수석 코치
- 컨디셔닝 코치
- GK 코치
- 트레이너
선수단
|
|
구단 제반 사항
구단 운영진
역대 감독 및 주장
|
|
역대 주요 선수
- 멜버른 하트에서 뛰었던 모든 선수를 확인하려면, 분류:멜버른 하트의 선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제휴 구단
킷 서플라이어 및 메인 스폰서
| 기간 | 킷 서플라이어 | 메인 스폰서 | 서브 스폰서 |
|---|---|---|---|
| 2010-2011 | 리복 | 웨스트팩 | PKF |
| 2011-2012 | ISC | ||
| 2012-2013 | 카파 | 미정 |
우승 기록
- 기타 클럽 기록을 보시려면 멜버른 하트 역대 기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같이 보기
외부링크
각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