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31 바이트 추가됨 ,  2012년 10월 26일 (금) 17:06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 이름 = 경북대학교
 
| 이름 = 경북대학교
 
| 정식명칭 = 경북대학교
 
| 정식명칭 = 경북대학교
| 원어이름 =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BR>慶北大學校<!-- 한국내 대학의 경우 원어명에 로마자,한자명을 기입합니다.-->
+
| 원어이름 =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BR>慶北大學校<!-- 한국내 대학의 경우 원어명에 로마자,한자명을 기입합니다.-->
 
| 그림 = 경북대학교.jpg
 
| 그림 = 경북대학교.jpg
 
| 설명문 =  
 
| 설명문 =  
| 별칭 = 경대, 민족경북대, 민족복현, KNU
+
| 별칭 = 경대, 민족경북대, 민족복현<br/>KNU
 
| 정식명칭 =  
 
| 정식명칭 =  
 
| 이전이름 =  
 
| 이전이름 =  
14번째 줄: 14번째 줄:  
| 폐교 =
 
| 폐교 =
 
| 총장 = 함인석
 
| 총장 = 함인석
| 위치 = [[대구광역시|대구]] 북구 산격동 1370번지 (본캠)<Br> 대구 중구 동인동 (의전,간호)<BR>대구 중구 삼덕동 (치전)<BR> [[경상북도|경북]] [[상주시]] 가장동 (상주캠)
+
| 위치 = [[대구광역시|대구]] 북구 산격동 1370번지<Br> 대구 중구 동인동 (의전,간호)<BR>대구 중구 삼덕동 (치전)<BR> [[경상북도|경북]] [[상주시]] 가장동 (상주캠)
 
| 규모 = 4캠퍼스, 16대학, 14대학원
 
| 규모 = 4캠퍼스, 16대학, 14대학원
 
| 학생수 = 학부: 28,170명 (2010)<br>대학원: 6,640명 (2010)
 
| 학생수 = 학부: 28,170명 (2010)<br>대학원: 6,640명 (2010)
20번째 줄: 20번째 줄:  
| 상징물 = 첨성대, 감꽃
 
| 상징물 = 첨성대, 감꽃
 
| 상징색 = {{color box|crimson}} {{color box|#daa520}} 자금색(자주색+금색)
 
| 상징색 = {{color box|crimson}} {{color box|#daa520}} 자금색(자주색+금색)
| 홈페이지 = http://www.knu.ac.kr/  
+
| 홈페이지 = [http://www.knu.ac.kr/]
 
| 창단 = [[1977년]] [[4월 21일]]
 
| 창단 = [[1977년]] [[4월 21일]]
 
| 해체 =
 
| 해체 =
31번째 줄: 31번째 줄:  
}}
 
}}
 
'''경북대학교'''(慶北大學校,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는 해방전부터 대구에 존재하던 대구사범학교, 대구의학전문학교, 대구농전학교 등 3개 학교가 1946년 대구사범대학, 대구의과대학, 대구농과대학라는 명칭으로 국립대학으로 승격한 후,  1952년 통합되어 종합대학이 된 국립 종합 대학교이다. 캠퍼스는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대구캠, 본캠)과 중구 동인동(동인캠-의전,간호) 삼덕동(치의전), [[경상북도]] [[상주시]] 가장동(상주캠)에 있다. 약칭으로는 '''경대'''를 사용하며, [[대학 FM|FM]] 구호는 민족경북대 또는 민족복현<ref>본캠의 주소는 산격동 1370번지이나 사실 대구캠퍼스는 산격동, 복현동, 대현동에 걸쳐서 있으며, 그 중 복현동이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한다고 한다. 본관건물이 산격동에 있어서 경북대의 주소가 되었을 뿐. 경북대학교 교지의 이름이 "복현"이다.</ref>을 사용한다. 영문 약칭으로는 KNU를 사용. 재학생들은 존재조차 알지 못하는 '''경북대학교 축구부'''가 1996년 이후로는 활동하지도 않지만 장부상으로 존재한다.  
 
'''경북대학교'''(慶北大學校,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는 해방전부터 대구에 존재하던 대구사범학교, 대구의학전문학교, 대구농전학교 등 3개 학교가 1946년 대구사범대학, 대구의과대학, 대구농과대학라는 명칭으로 국립대학으로 승격한 후,  1952년 통합되어 종합대학이 된 국립 종합 대학교이다. 캠퍼스는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대구캠, 본캠)과 중구 동인동(동인캠-의전,간호) 삼덕동(치의전), [[경상북도]] [[상주시]] 가장동(상주캠)에 있다. 약칭으로는 '''경대'''를 사용하며, [[대학 FM|FM]] 구호는 민족경북대 또는 민족복현<ref>본캠의 주소는 산격동 1370번지이나 사실 대구캠퍼스는 산격동, 복현동, 대현동에 걸쳐서 있으며, 그 중 복현동이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한다고 한다. 본관건물이 산격동에 있어서 경북대의 주소가 되었을 뿐. 경북대학교 교지의 이름이 "복현"이다.</ref>을 사용한다. 영문 약칭으로는 KNU를 사용. 재학생들은 존재조차 알지 못하는 '''경북대학교 축구부'''가 1996년 이후로는 활동하지도 않지만 장부상으로 존재한다.  
 +
 +
 +
 +
 +
    
== 대학 개요 ==
 
== 대학 개요 ==
36번째 줄: 41번째 줄:     
과거 '''{{주석|"한강이남 최고의 학부"|과거에는 서울대가 관악이 아니라 강북에 위치해 있었으므로 한강이남 최고의 학부라는 말은 1975년 이전까지 유효했다. 그 당시에는 부산대는 안중에도 없었고 연고대는 등록금의 차가 컸다. 과거에는 서울대와 경북대를 동시에 합격하고도 경북대에 입학하는 사람도 제법 존재했다. 특히 사범대(어차피 선생하는건 매한가지라서). 서울대 국어교육과 경북대 경영학부를 동시에 합격하고도 경북대에 입학한 사람이 97학번에 있었는데 이건 예외적인 경우고 현재 이런 선택을 할 사람이 있을리가 없다. 의대도 의전,치의전으로 바뀌었으니..}}'''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입시 성적이 높고, 우수한 인재를 많이 배출했으나, 최근에는 서울 집중화로 인한 지방대학 기피 현상으로 위상이 예전에 비해 많이 하락했다. 그러나 대구,경북지역의 적당히 공부 열심히 하는 범생 및 여학생의 타지 유학에 대해 거부감이 있는 보수적인 가정의 우수 여학생 자원과 부산대가나 경북대가나 어차피 자취해야 하는 경남지역의 범생들을 바탕으로 인풋 대비 우수한 아웃풋으로 지방 거점 국립대로서의 위상은 여전히 높다.  
 
과거 '''{{주석|"한강이남 최고의 학부"|과거에는 서울대가 관악이 아니라 강북에 위치해 있었으므로 한강이남 최고의 학부라는 말은 1975년 이전까지 유효했다. 그 당시에는 부산대는 안중에도 없었고 연고대는 등록금의 차가 컸다. 과거에는 서울대와 경북대를 동시에 합격하고도 경북대에 입학하는 사람도 제법 존재했다. 특히 사범대(어차피 선생하는건 매한가지라서). 서울대 국어교육과 경북대 경영학부를 동시에 합격하고도 경북대에 입학한 사람이 97학번에 있었는데 이건 예외적인 경우고 현재 이런 선택을 할 사람이 있을리가 없다. 의대도 의전,치의전으로 바뀌었으니..}}'''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입시 성적이 높고, 우수한 인재를 많이 배출했으나, 최근에는 서울 집중화로 인한 지방대학 기피 현상으로 위상이 예전에 비해 많이 하락했다. 그러나 대구,경북지역의 적당히 공부 열심히 하는 범생 및 여학생의 타지 유학에 대해 거부감이 있는 보수적인 가정의 우수 여학생 자원과 부산대가나 경북대가나 어차피 자취해야 하는 경남지역의 범생들을 바탕으로 인풋 대비 우수한 아웃풋으로 지방 거점 국립대로서의 위상은 여전히 높다.  
 +
    
=== 연혁 ===
 
=== 연혁 ===
77번째 줄: 83번째 줄:  
* 2010년 3월 전자전기컴퓨터학부와 컴퓨터공학과의 통합으로 IT대학 설치, 글로벌인재학부 설치.
 
* 2010년 3월 전자전기컴퓨터학부와 컴퓨터공학과의 통합으로 IT대학 설치, 글로벌인재학부 설치.
 
* 2011년 3월 약학대학 신설.
 
* 2011년 3월 약학대학 신설.
 +
    
=== 개설과정 ===
 
=== 개설과정 ===
245번째 줄: 252번째 줄:  
{{col-end}}
 
{{col-end}}
 
|}
 
|}
 +
 +
 
=== 캠퍼스 및 시설 ===
 
=== 캠퍼스 및 시설 ===
 
* 복현캠퍼스 (대구 북구 산격동. 상주대와 통합후 대구캠퍼스로도 불리는데 이는 동인캠과 삼덕캠을 포함한 명칭으로 명칭 정리가 되지 않고 있음. 본관이 있다.)  
 
* 복현캠퍼스 (대구 북구 산격동. 상주대와 통합후 대구캠퍼스로도 불리는데 이는 동인캠과 삼덕캠을 포함한 명칭으로 명칭 정리가 되지 않고 있음. 본관이 있다.)  
253번째 줄: 262번째 줄:  
*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초등학교 (중구 봉산동)
 
*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초등학교 (중구 봉산동)
 
*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중,고등학교 (중구 대봉동)
 
*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중,고등학교 (중구 대봉동)
*경북대학교임해수련원 (포항시 구룡포읍)
+
* 경북대학교임해수련원 (포항시 구룡포읍)
*경북대학교병원(대구 중구 삼덕2가)
+
* 경북대학교병원(대구 중구 삼덕2가)
*칠곡경북대학교병원 (대구 북구 학정동)
+
* 칠곡경북대학교병원 (대구 북구 학정동)
*경북대학교자연사박물관 및 실습장 (경북 군위군 효령면)
+
* 경북대학교자연사박물관 및 실습장 (경북 군위군 효령면)
*청송연습림 (경북 청송군 현동면)
+
* 청송연습림 (경북 청송군 현동면)
 +
 
    
== 특징 ==
 
== 특징 ==
268번째 줄: 278번째 줄:  
= 경북대학교 축구부 =
 
= 경북대학교 축구부 =
 
[[파일:경북대경찰청.png|썸네일|1996년 [[전국축구선수권대회]]에서 마지막 출전하는 경북대학교 축구부와 창단후 첫 출전하는 [[경찰청 축구단]]의 맞대결. 경북대는 감색 줄무늬, 골키퍼는 경북대 선상영]]
 
[[파일:경북대경찰청.png|썸네일|1996년 [[전국축구선수권대회]]에서 마지막 출전하는 경북대학교 축구부와 창단후 첫 출전하는 [[경찰청 축구단]]의 맞대결. 경북대는 감색 줄무늬, 골키퍼는 경북대 선상영]]
'''경북대학교 축구부'''는 1977년 4월 21일 [[계성고]]와 [[협성상고]]를 졸업한 체육특기자 15명의 1학년생으로 창단되었다. 1972년 [[체육특기자]]배정정책으로 인해 74년도에 창단된 두 학교 학생의 진학시기에 맞춰 창단되었다. 창단이전에도 [[전국체육대회]]나 국립대간의 체육대결인 국립대체전 등 에는 엘리트 선수가 아닌 선발 선수로 출전하였다. 축구팀 창단 후 큰 활동이나 실적 등은 없었으며, 1992년말 단체종목의 체육특기자는 받지 않겠다는 경북대학교의 입학사정 정책에 따라 1992년 6명, 1993년 4명을 마지막으로 체육특기자를 받지 않았으며, 이들이 졸업하는 시점인 1996년 [[전국축구선수권대회]]를 마지막으로 활동을 정지하였다.       
+
'''경북대학교 축구부'''는 1977년 4월 21일 [[계성고]]와 [[협성상고]]를 졸업한 체육특기자 15명의 1학년생으로 창단되었다. 1972년 [[체육특기자]] 배정정책으로 인해 74년도에 창단된 두 학교 학생의 진학시기에 맞춰 창단되었다. 창단이전에도 [[전국체육대회]]나 국립대간의 체육대결인 국립대체전 등 에는 엘리트 선수가 아닌 선발 선수로 출전하였다. 축구팀 창단 후 큰 활동이나 실적 등은 없었으며, 1992년말 단체종목의 체육특기자는 받지 않겠다는 경북대학교의 입학사정 정책에 따라 1992년 6명, 1993년 4명을 마지막으로 체육특기자를 받지 않았으며, 이들이 졸업하는 시점인 1996년 [[전국축구선수권대회]]를 마지막으로 활동을 정지하였다.       
 +
 
 +
 
 +
== 같이 보기 ==
      −
==참고 사항 ==
+
== 참고사항 ==
 
<references/>
 
<references/>
 
{{대학축구}}
 
{{대학축구}}
익명 사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