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편집 요약 없음
'''제12회 아시아청소년축구대회'''란, 1970년 4월 15일부터 5월 2일까지 [[필리핀]]에서 진행된 [[AFC U-19 챔피언십]] 본선 대회를 말한다.
= 참가국과 조편성 =
본선에는 [[브루나이]], [[버마]], [[스리랑카]], [[홍콩]], [[인도네시아]], [[이란]], [[이스라엘]], [[일본]], [[라오스]],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남베트남]], [[대한민국]], [[대만]], [[태국]] 등 총 16개국이 참가하였으며, 4개팀 씩 4개조로 나누어 조별예선을 치룬 뒤 각 조 상위 2팀이 8강 토너먼트를 벌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한국의 참가 =
== 본선 대표팀 선발과 최종 명단 ==
선발전을 거쳐 대표팀을 아래와 같이 구성한 뒤, 1970년 4월 5일 [[백호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평가전 및 환송식 행사를 끝으로 필리핀으로 출국하여 일전을 준비하였다.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포지션 !! 이름 !! 당시 소속팀 !! 현 소속팀
|-
| colspan="4" bgcolor="white" | '''스탭진'''
|-
| '''감독''' || [[함흥철]] || [[조흥은행]] 감독 || rowspan="2"|작고
|-
| '''트레이너''' || [[박경화]] || [[제일은행]] 감독
|-
| colspan="4" bgcolor="white" | '''선수단'''
|-
|rowspan="2"| '''GK''' || [[전종민]] || [[한국전력 축구단]] || rowspan="18"|?
|-
| [[강광남]] || [[국민은행 축구단]]
|-
| rowspan="16" |'''FP''' || [[강기욱]] || [[기업은행 축구단]]
|-
| [[김부현]] || [[국민은행 축구단]]
|-
| [[강철]] || rowspan="2" | [[연세대학교]]
|-
| [[강병찬]]
|-
| [[김호곤]] || [[상업은행 축구단]]
|-
| [[이영환]] || [[대한중석]]
|-
| [[이차만]] ||rowspan="5" | [[고려대학교]]
|-
| [[박삼환]]
|-
| [[서덕만]]
|-
| [[고재욱]]
|-
| [[권이태]]
|-
| [[조한흥]] || [[조흥은행 축구단]]
|-
| [[백중철]] || [[경희대학교]]
|-
| [[김학기]] || [[동국대학교]]
|-
| [[이희성]] ||rowspan="2" | [[제일모직]]
|-
| [[정환종]]
|-
|}
== 조별예선 ==
조별예선에서 홍콩, 남베트남, 브루나이와 함께 A조에 편성된 대한민국 청소년 대표팀은 1차전 상대인 태국을 조한흥 선수의 2골에 힘입어 2:1로 이겼으며<ref>후반 2분 태국의 Sahus Pormswarn 선수에게 퇴장 명령이 내려졌는데 해당 선수가 이에 불복하고 난동을 부리자, 그대로 경기가 중단되고 심판과 경기운영위의 결정으로 한국의 승리로 결정되었다.</ref> 2차전 상대인 브루나이에게는 이희성, 조한흥, 조성건의 소나기 골로 3:0의 가벼운 승리를 거머쥐었다. 하지만 예선 마지막 라운드였던 홍콩과의 경기에서 후반 25분 불의의 실점을 기록한 한국은 이를 극복하지 못하며 패배, 2승 1패ㆍ조 2위의 기록으로 8강에 진출하였다.
== 토너먼트 ==
8강 상대는 우승권으로 분류되는 이란이었으나, 전반 4분 얻은 [[페널티킥]]을 조한흥 선수가 성공시켰고 이를 잘 지켜냄으로써 1:0 승리를 거둔 뒤 준결승전에 진출하였다. 하지만 준결승 상대였던 [[인도네시아]]에게 후반 44분 프리킥 결승골을 내주며 패배하였고, 3ㆍ4위 결정전에서는 일본을 상대로 조한흥, 이희성, 김학기, 이차만의 골폭죽이 터지면서 5:0 완승, 결국 3위로 대회를 마무리 지었다.
== 결과 요약 ==
* 최종 성적 3위
== 에피소드 ==
당시 한국 청소년대표팀 단장을 맡았던 고태진 씨는 선수들에게 타지에서의 적응력 강화를 요구하며 대회 기간 중 고추장ㆍ김치 등 한국 음식의 반입을 일체 금지시켰다고 한다. 그러나 필리핀 음식이 입에 맞지 않았던 어린 선수들은 고단장의 요구에 적응하지 못했고, 급기야 대회 기간 내내 거의 식사를 거르다시피 하는 선수도 있었다는 후문.
= 같이 보기 =
* [[AFC U-19 챔피언십]]
= 참고 사항 =
<references/>
[[분류:1970년]]
= 참가국과 조편성 =
본선에는 [[브루나이]], [[버마]], [[스리랑카]], [[홍콩]], [[인도네시아]], [[이란]], [[이스라엘]], [[일본]], [[라오스]],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남베트남]], [[대한민국]], [[대만]], [[태국]] 등 총 16개국이 참가하였으며, 4개팀 씩 4개조로 나누어 조별예선을 치룬 뒤 각 조 상위 2팀이 8강 토너먼트를 벌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한국의 참가 =
== 본선 대표팀 선발과 최종 명단 ==
선발전을 거쳐 대표팀을 아래와 같이 구성한 뒤, 1970년 4월 5일 [[백호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평가전 및 환송식 행사를 끝으로 필리핀으로 출국하여 일전을 준비하였다.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포지션 !! 이름 !! 당시 소속팀 !! 현 소속팀
|-
| colspan="4" bgcolor="white" | '''스탭진'''
|-
| '''감독''' || [[함흥철]] || [[조흥은행]] 감독 || rowspan="2"|작고
|-
| '''트레이너''' || [[박경화]] || [[제일은행]] 감독
|-
| colspan="4" bgcolor="white" | '''선수단'''
|-
|rowspan="2"| '''GK''' || [[전종민]] || [[한국전력 축구단]] || rowspan="18"|?
|-
| [[강광남]] || [[국민은행 축구단]]
|-
| rowspan="16" |'''FP''' || [[강기욱]] || [[기업은행 축구단]]
|-
| [[김부현]] || [[국민은행 축구단]]
|-
| [[강철]] || rowspan="2" | [[연세대학교]]
|-
| [[강병찬]]
|-
| [[김호곤]] || [[상업은행 축구단]]
|-
| [[이영환]] || [[대한중석]]
|-
| [[이차만]] ||rowspan="5" | [[고려대학교]]
|-
| [[박삼환]]
|-
| [[서덕만]]
|-
| [[고재욱]]
|-
| [[권이태]]
|-
| [[조한흥]] || [[조흥은행 축구단]]
|-
| [[백중철]] || [[경희대학교]]
|-
| [[김학기]] || [[동국대학교]]
|-
| [[이희성]] ||rowspan="2" | [[제일모직]]
|-
| [[정환종]]
|-
|}
== 조별예선 ==
조별예선에서 홍콩, 남베트남, 브루나이와 함께 A조에 편성된 대한민국 청소년 대표팀은 1차전 상대인 태국을 조한흥 선수의 2골에 힘입어 2:1로 이겼으며<ref>후반 2분 태국의 Sahus Pormswarn 선수에게 퇴장 명령이 내려졌는데 해당 선수가 이에 불복하고 난동을 부리자, 그대로 경기가 중단되고 심판과 경기운영위의 결정으로 한국의 승리로 결정되었다.</ref> 2차전 상대인 브루나이에게는 이희성, 조한흥, 조성건의 소나기 골로 3:0의 가벼운 승리를 거머쥐었다. 하지만 예선 마지막 라운드였던 홍콩과의 경기에서 후반 25분 불의의 실점을 기록한 한국은 이를 극복하지 못하며 패배, 2승 1패ㆍ조 2위의 기록으로 8강에 진출하였다.
== 토너먼트 ==
8강 상대는 우승권으로 분류되는 이란이었으나, 전반 4분 얻은 [[페널티킥]]을 조한흥 선수가 성공시켰고 이를 잘 지켜냄으로써 1:0 승리를 거둔 뒤 준결승전에 진출하였다. 하지만 준결승 상대였던 [[인도네시아]]에게 후반 44분 프리킥 결승골을 내주며 패배하였고, 3ㆍ4위 결정전에서는 일본을 상대로 조한흥, 이희성, 김학기, 이차만의 골폭죽이 터지면서 5:0 완승, 결국 3위로 대회를 마무리 지었다.
== 결과 요약 ==
* 최종 성적 3위
== 에피소드 ==
당시 한국 청소년대표팀 단장을 맡았던 고태진 씨는 선수들에게 타지에서의 적응력 강화를 요구하며 대회 기간 중 고추장ㆍ김치 등 한국 음식의 반입을 일체 금지시켰다고 한다. 그러나 필리핀 음식이 입에 맞지 않았던 어린 선수들은 고단장의 요구에 적응하지 못했고, 급기야 대회 기간 내내 거의 식사를 거르다시피 하는 선수도 있었다는 후문.
= 같이 보기 =
* [[AFC U-19 챔피언십]]
= 참고 사항 =
<references/>
[[분류:197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