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째 줄: |
1번째 줄: |
− | '''한국철도공사'''(韓國鐵道公社)는 [[대한민국]]의 국유 철도 영업과 관련 사무를 담당하는 공기업이다. [[2003년]] 12월 31일 발효된 한국철도공사법<ref>법률 제7052호, 2003. 12. 31</ref>에 의하여 대한민국 정부 산하 철도청이 [[2005년]] 1월 1일자로 철도 영업 부문을 분할하여 공기업의 형태로 출범하였다.<ref>시설 보유와 건설부문은 그 이전인 [[2004년]] [[1월 1일]]자로 [[한국철도시설공단]]으로 우선 분할되었다.</ref> | + | '''한국철도공사'''(韓國鐵道公社)는 [[대한민국]]의 국유 철도 영업과 관련 사무를 담당하는 공기업이다. [[2003년]] 12월 31일 발효된 한국철도공사법<ref>법률 제7052호, 2003. 12. 31</ref>에 의하여 대한민국 정부 산하 철도청이 [[2005년]] 1월 1일자로 철도 영업 부문을 분할하여 공기업의 형태로 출범하였다.<ref>시설 보유와 건설부문은 그 이전인 [[2004년]] 1월 1일자로 한국철도시설공단으로 우선 분할되었다.</ref> |
| | | |
| 사명은 한국철도공사이며, [[2007년]] 5월부터 커뮤니케이션 명칭을 '''코레일'''(Korail)로 일원화했다. [[2009년]] 9월에 본사를 정부대전청사에서 신사옥(대전역 동광장 방향 위치)으로 이전했다. 단, 광역철도본부는 서울사옥(서울 용산구 동자동 소재)에 위치하고 있다. 현재, [[내셔널리그]]에 [[인천]]을 [[연고]]로 한 [[코레일 축구단]]을 운영중이다. | | 사명은 한국철도공사이며, [[2007년]] 5월부터 커뮤니케이션 명칭을 '''코레일'''(Korail)로 일원화했다. [[2009년]] 9월에 본사를 정부대전청사에서 신사옥(대전역 동광장 방향 위치)으로 이전했다. 단, 광역철도본부는 서울사옥(서울 용산구 동자동 소재)에 위치하고 있다. 현재, [[내셔널리그]]에 [[인천]]을 [[연고]]로 한 [[코레일 축구단]]을 운영중이다.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 | |
| == 역사 == | | == 역사 == |
− | [http://info.korail.com/2007/kra/ope/ope08000/w_ope08101.jsp 한국철도공사 홈페이지(연혁 및 설립근거)] | + | * 1877년 2월 일본 수신사로 갔던 김기수가 ‘일동기유’를 통하여 처음으로 철도 소개. |
| + | * 1894년 7월 궁내부 공무아문에 최초의 철도기구인 ‘철도국’ 설치. |
| + | * 1896년 3월 29일 - 미국인 사업가 모스 경인철도 사업권 획득.<ref>허가조건상 1년 이내에 착공을 해야했기 때문에 허가취소기한을 며칠 앞두고 1997년 3월 22일 형식적인 기공식을 거행했으나 결국 일본에 사업권을 팔아넘김.</ref> |
| + | * 1899년 4월 23일 - 일본 경인철도인수조합이 인천에서 기공식 거행. |
| + | * 1899년 9월 13일 - 궁내부 내장원에 '''서북철도국''' 설치. |
| + | * 1899년 9월 18일 - 경인선(노량진 ~ 제물포) 33.2km 개통. |
| + | * 1905년 1월 1일 - 경부선(서울~초량) 전구간 영업 개시. |
| + | * 1906년 4월 3일 - 경의선(용산~신의주) 개통. |
| + | * 1907년 7월 1일 - '''통감부 철도관리국''' 설치. |
| + | * 1909년 6월 18일 - 철도관리국을 폐지하고, 철도청을 설치. |
| + | * 1909년 12월 16일 - 통감부 철도를 일본의 철도원으로 이관. 일본에 한국철도관리국을 설치. |
| + | * 1910년 10월 1일 - 한일강제병합으로 설치된 조선총독부 산하 관서(官署)인 '''조선총독부 철도국''' 설치. |
| + | * 1917년 7월 31일 - 남만주철도에 국영철도의 경영 위탁. 남만주철도에 경성관리국 설치. 조선총독부 산하 관방(官房)으로서 '''철도국''' 설치 |
| + | * 1919년 8월 20일 - 조선총독부의 관제 개정으로 인해 철도국이 '''철도부'''로 변경. |
| + | * 1925년 4월 1일 - 남만주철도에 경영 위탁 해제하고 다시 조선총독부 외국(外局)<ref>관서,관방,외국은 각기 관외청, 관내, 관외국이라 할 수 있으며 관서의 장은 서장, 국은 국장, 부는 부장으로 당시의 중요도에 따라 부서의 위상이 바뀌었다.</ref> 으로서 '''조선총독부 철도국''' 설치. |
| + | * 1933년 10월 1일 - 청진 이북의 노선을 남만주철도에 위탁. 남만주철도에 북조선철도관리국 설치. |
| + | * 1943년 12월 1일 - 조선총독부의 관제 개정에 따라 철도국을 교통국으로 변경하여 철도 및 기타 교통을 담당하였다. |
| + | * 1946년 1월 1일 - 해방후 미군정청에서 교통국을 운수국으로 변경하였다가 다시 운수부로 변경.<ref>[http://blog.daum.net/korailblog/8744653 대한민국철도 최초의 CEO를 기억하다] 초대 교통부장관 민희식을 조명하는 코레일 블로그의 글에서도 운수국으로 변경된 이후 운수부로 변경되었다고 나오나 언제 변경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한 시기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운수국에서 운수부로 바뀌면서 국-과가 부-국으로 변경되었으며, 운수부에는 철도운수국, 해상운수국, 공로운수국, 비행운수국 등 4개국이 있었다. </ref> |
| + | * 1946년 5월 1일 - 조선철도, 경춘철도, 경남철도 등의 사철이 국철에 흡수. |
| + | * 1948년 8월 15일 - 대한민국 정부 수립후 운수부를 '''교통부'''로 개편. 초대 장관은 민희식. |
| + | * 1963년 9월 1일 - 교통부로부터 외청인 '''철도청'''으로 독립. |
| + | * 1969년 2월 10일 - 경부선에 특급 「관광호」 운행. 1974년 새마을호로 명칭 변경. |
| + | * 1974년 8월 15일 - 수도권(서울-인천/구로-수원)전철개통. |
| + | * 1998년 7월 31일 - 철도청 서울 용산청사에서 대전정부청사로 이전. |
| + | * 1999년 9월 18일 - 한국철도 100주년 '철도의 날' 기념식. |
| + | * 2004년 1월 1일 - 철도청 시설보유 및 건설부분이 한국철도시설공단으로 분리. |
| + | * 2004년 4월 1일 - KTX 개통. |
| + | * 2005년 1월 1일 - '''한국철도공사''' 출범 |
| + | * 2009년 9월 18일 - 대전 공동사옥 입주(동측 - 한국철도공사, 서측 - 한국철도시설공단) |
| | | |
| == 스포츠 == | | == 스포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