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33년 10월 1일 - 청진 이북의 노선을 남만주철도에 위탁. 남만주철도에 북조선철도관리국 설치.
* 1933년 10월 1일 - 청진 이북의 노선을 남만주철도에 위탁. 남만주철도에 북조선철도관리국 설치.
* 1943년 12월 1일 - 조선총독부의 관제 개정에 따라 철도국을 '''교통국'''으로 변경하여 철도 및 기타 교통을 담당하였다.
* 1943년 12월 1일 - 조선총독부의 관제 개정에 따라 철도국을 '''교통국'''으로 변경하여 철도 및 기타 교통을 담당하였다.
−
* 1946년 1월 1일 - 해방후 미군정청에서 교통국을 운수국으로 변경하였다가 다시 운수부로 변경.<ref>[http://blog.daum.net/korailblog/8744653 대한민국철도 최초의 CEO를 기억하다] 초대 교통부장관 민희식을 조명하는 코레일 블로그의 글에서도 운수국으로 변경된 이후 운수부로 변경되었다고 나오나 언제 변경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한 시기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운수국에서 운수부로 바뀌면서 국-과가 부-국으로 변경되었으며, 운수부에는 철도운수국, 해상운수국, 공로운수국, 비행운수국 등 4개국이 있었다. </ref>
+
* 1946년 1월 1일 - 해방후 미군정청에서 교통국을 운수국으로 변경하였다가 다시 '''운수부'''로 변경.<ref>[http://blog.daum.net/korailblog/8744653 대한민국철도 최초의 CEO를 기억하다] 초대 교통부장관 민희식을 조명하는 코레일 블로그의 글에서도 운수국으로 변경된 이후 운수부로 변경되었다고 나오나 언제 변경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한 시기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운수국에서 운수부로 바뀌면서 국-과가 부-국으로 변경되었으며, 운수부에는 철도운수국, 해상운수국, 공로운수국, 비행운수국 등 4개국이 있었다. </ref>
* 1946년 5월 1일 - 조선철도, 경춘철도, 경남철도 등의 사철이 국철에 흡수.
* 1946년 5월 1일 - 조선철도, 경춘철도, 경남철도 등의 사철이 국철에 흡수.
* 1948년 8월 15일 - 대한민국 정부 수립후 운수부를 '''교통부'''로 개편. 초대 장관은 민희식.
* 1948년 8월 15일 - 대한민국 정부 수립후 운수부를 '''교통부'''로 개편. 초대 장관은 민희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