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편집 요약 없음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신라중학교, [[동래고등학교]]를 나온 [[부산 아이파크]] 유소년 육성군 중 한명이다. 신라중 축구부 창단 멤버로 뛰기위해 1년을 휴학했으며, 이후 신라중 시절부터 에이스로 활약하며 부산 유스의 기대주로 성장했다. 신라중 3학년 시절부터 모종의 일로<ref>승인 선수가 신라중 3학년이 되었던 시점에, 선수등록이 잘못되어버려 승인 선수는 신라중이 참가하는 각급 대회에 출전할 수 없었다. 1년 휴학했기 때문에 나이가 문제되었던 것. 그러자 부산 아이파크 측은 최승인 선수를 부산 2군으로 불러들여 훈련시켰다.</ref> [[R리그]]를 소화하게 되었으며 이 같은 상황은 [[동래고등학교]]로 진학해서도 계속되었다.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신라중학교, [[동래고등학교]]를 나온 [[부산 아이파크]] 유소년 육성군 중 한명이다. 신라중 축구부 창단 멤버로 뛰기위해 1년을 휴학했으며, 이후 신라중 시절부터 에이스로 활약하며 부산 유스의 기대주로 성장했다. 신라중 3학년 시절부터 모종의 일로<ref>승인 선수가 신라중 3학년이 되었던 시점에, 선수등록이 잘못되어버려 승인 선수는 신라중이 참가하는 각급 대회에 출전할 수 없었다. 1년 휴학했기 때문에 나이가 문제되었던 것. 그러자 부산 아이파크 측은 최승인 선수를 부산 2군으로 불러들여 훈련시켰다.</ref> [[R리그]]를 소화하게 되었으며 이 같은 상황은 [[동래고등학교]]로 진학해서도 계속되었다.
하지만 前 동래고 감독인 [[박형주]] 씨는 팀내 에이스인 최승인 선수가 자꾸 R리그로 차출되는데 불만을 품었고, 부산 아이파크 스탭진과 동래고와의 갈등 속에서 최승인 선수 입장은 난처해져만 갔다. 급기야 2009년 여름 무렵, 박형주 감독은 동래고 감독직을 사임하고 [[포철공고]] 감독으로 선임되었고,<ref>그 후 [[손형선]] 前 광양제철고 감독과 불미스러운 일로 지도자 자격이 영구정지된다. 자세한건 [[박형주]] 문서 참조</ref> 최승인 선수는 동래고를 자퇴하고 일본 프로축구 진출을 감행하게 된다.<ref>이에 대해서 왜 최승인 선수가 일본 진출을 택했느냐에 대해 말이 많았는데, 이해가 못될 것도 아니다. 기실 학원축구에서 감독이 갖는 비중은 막중하며 선수들의 운명을 결정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상황에서 박형주 감독이 떠난 동래고 축구부는 패닉 상태에 빠졌고, 이런 혼란에서 최승인 선수는 더 이상 동래고에 머무는건 시간낭비라 여겼을 수 있다. '부산 아이파크에 입단하면 되지않냐?' 라고 얘기하기엔 어려운 것이 당시 R리그에서 최승인 선수를 뛰게한 [[강철]] 수석코치 등이 최선수를 가히 좋게 보지않았고, [[K리그 드래프트]]는 규정상 고졸 이상의 나이인 자만이 입단 신청이 가능했다...</ref>
하지만 前 동래고 감독인 [[박형주]] 씨는 팀내 에이스인 최승인 선수가 자꾸 R리그로 차출되는데 불만을 품었고, 부산 아이파크 스탭진과 동래고와의 갈등 속에서 최승인 선수 입장은 난처해져만 갔다. 급기야 2009년 여름 무렵, 박형주 감독은 동래고 감독직을 사임하고 [[포철공고]] 감독으로 선임되었고, 최승인 선수는 동래고를 자퇴하고 일본 프로축구 진출을 감행하게 된다.<ref>이에 대해서 왜 최승인 선수가 일본 진출을 택했느냐에 대해 말이 많았는데, 이해가 못될 것도 아니다. 기실 학원축구에서 감독이 갖는 비중은 막중하며 선수들의 운명을 결정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상황에서 박형주 감독이 떠난 동래고 축구부는 패닉 상태에 빠졌고, 이런 혼란에서 최승인 선수는 더 이상 동래고에 머무는건 시간 낭비라 여겼을 수 있다. '부산 아이파크에 입단하면 되지않냐?' 라고 얘기하기엔 어려운 것이 당시 [[K리그 드래프트]]는 규정상 고졸 이상의 나이인 자만이 입단 신청이 가능했다...</ref>
== 에피소드 ==
== 에피소드 ==
* 베스트일레븐의 김태석 기자가 2011년 12월 28일자 기사에 언급한 선수가 바로 이 선수.<ref>해당기사 링크 : [http://sports.media.daum.net/soccer/news/k_league/breaking/view.html?cateid=1171&newsid=20111228135707748&p=besteleven]</ref> 하지만 기사 내용에 잘못된 내용도 있고,<ref>선수가 원해서 일본 진출을 했다기보다도 어른들간의 알력다툼에서 희생된 케이스라 봄이 상당하다. 따라서 실패에 대한 모든 책임을 최승인 선수측에 떠넘기는건 지나치다</ref> 왜곡된 시선을 줄 수 있는바, 다른 시각에서 사실을 판단하게 하고자 본 문서를 만들었다.
* 베스트일레븐의 2011년 12월 28일자 기사에 언급되었던 선수가 바로 이 선수.<ref>해당 기사 링크 : [http://sports.media.daum.net/soccer/news/k_league/breaking/view.html?cateid=1171&newsid=20111228135707748&p=besteleven]</ref> 하지만 기사 내용이 다분히<ref>선수가 원해서 일본 진출을 했다기보다도 어른들 간의 알력다툼에서 희생된 케이스라 봄이 상당하다. 따라서 실패에 대한 모든 책임을 최승인 선수측에 떠넘기는건 가혹하다</ref> 편중된 시선이 우려되는바, 다른 시각에서 사실을 판단하게 하고자 본 문서를 만들었다.
* 2013시즌 최승인 선수가 기록한 4골 모두, 경기시간이 얼마 안 남은 상황에서 추격 및 동점골을 넣은 상황<ref>대구전 0-2 상황에서 2골을 몰아치며 동점까지 따라붙는 상황을 만들었고, 2013 [[승강 플레이오프]] 1차전에서는 만회골을 기록하였다.</ref>이거나, 선취골이라도 득실차 때문에 추격골을 계속 넣어야하는 다급한 상황<ref>승강 플레이오프 2차전 선취골을 기록했지만, 강원은 1차전 1:4 패배를 당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2골을 더 넣어야되는 다급한 상황이었다.</ref>이었기 때문에 최선수는 골 세러머니를 할 겨를도 없이 하프라인으로 공을 가져가기에 바빴다. 강원팬들은 그 점을 안쓰럽게 생각하며 2014 시즌에는 최승인 선수가 자신만의 골 세레머니를 멋지게 하는 장면을 많이 볼 수 있길 희망하고 있다.
* 2013시즌 최승인 선수가 기록한 4골 모두, 경기 시간이 얼마 안 남은 상황에서 추격 및 동점골을 넣은 상황<ref>대구전 0-2 상황에서 2골을 몰아치며 동점까지 따라붙는 상황을 만들었고, 2013 [[승강 플레이오프]] 1차전에서는 만회골을 기록하였다.</ref>이거나, 선취골이라도 득실차 때문에 추격골을 계속 넣어야하는 다급한 상황<ref>승강 플레이오프 2차전 선취골을 기록했지만, 강원은 1차전 1:4 패배를 당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2골을 더 넣어야되는 다급한 상황이었다.</ref>이었기 때문에 최선수는 골 세러머니를 할 겨를도 없이 하프라인으로 공을 가져가기에 바빴다. 강원팬들은 그 점을 안쓰럽게 생각하며 2014 시즌에는 최승인 선수가 자신만의 골 세레머니를 멋지게 하는 장면을 많이 볼 수 있길 희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