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비형 미드필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풋케위키, 대한민국 대표 축구위키 FootballK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 (전술#수비형 미드필더 문서로 넘겨주기)
 
1번째 줄: 1번째 줄:
'''수비형 미드필더'''(혹은 '''홀딩 미드필더''')는 옛 [[스위퍼]]가 발전된 형태로, 기타 미드필더에 비해 수비적인 경향을 띄는 미드필더로, 보통 수비진과 중앙 미드필더진 사이에 위치하여 상대 공격진의 핵심 선수를 묶거나 1차 방어선 역할을 하는 중요한 자리이다. 약어로 '''DMF''', '''DM''' 혹은 '''수미'''로 표기한다. 국내에서는 수비형 미드필더를 통상적으로 '''홀딩'''과 '''앵커'''로 구분하는데, 홀딩은 상대팀 공격수를 묶거나 상대 공격을 저지하는 보다 수비적인 역할이고, 앵커는 수비적인 역할을 맡기는 하지만, 후방에서 패스로 공격의 연결고리를 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하지만 점차 포지션의 역할이 중화되고, 여러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것을 요구하는 현대 축구의 경향에 따라, 최근 유럽에서는 홀딩과 앵커를 구분하지 않고 '''앵커맨 (Anchor man)'''으로 통칭해서 부르거나 아예 홀딩 미드필더로 구분하는 경향이 있다.
+
#넘겨주기 [[전술#수비형 미드필더]]
 
 
수비형 미드필더는 수비진 앞에서 상대의 공격수를 막아내어야 하며, [[풀백]]이 전진하면서 생긴 공백뿐만 아니라, 다른 미드필더들이나 [[세트피스]] 상황에서 전방으로 올라간 [[센터백]]의 빈자리를 메워야 한다. 또한 수비 앞에 위치하여, 전진 패스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며, 상대 [[윙어]]들이 측면에서 안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미리 막기 위해 쉴새없이 아래위로 오르내려야 한다. 또한, 수비형 미드필더는 '''운전대''' 내지는 '''선박의 키'''(Steering Wheel)라는 의미의 용어로 불리기도 한다.<ref>[[브라질]] 식 포르투갈어로 볼란치(Volante), [[남미]]식 스페인어로는 볼란테 데 마르카(Volante de Marca)다. 볼란치의 경우에는 우리에게도 매우 익숙한 용어다. 반면, [[포르투갈]]에서는 '''자물쇠'''라는 뜻의 트링코(Trinco)라고 불린다.</ref>
 
 
 
 
 
== 요구 능력과 가치 ==
 
좋은 수비형 미드필더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상대와 동료의 위치를 파악하는 능력과 왕성한 움직임, 기술적인 태클, 전진할 때와 하지 않아야 할 때를 결정하는 판단력 등이 있다. 또한, 후방의 뒷공간을 쉴 새 없이 오가야 하기 때문에 강인한 체력을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요건 때문에 훌륭한 수비형 미드필더를 데리고 있는 팀일수록 강팀일 가능성이 높다. 특히 현대 축구가의 틀이 압박 위주로 정형화되면서 수비형 미드필더의 가치는 그야말로 급상승했다고 말 할 수 있을 듯.
 
 
 
 
 
== 세부 역할 ==
 
=== 홀딩 ===
 
국내에서 통상적으로 구분하는 방식 중 하나로, 상대 팀 공격수를 묶거나 상대 공격을 저지하는 보다 수비적인 역할에 치중하는 수비형 미드필더를 말한다. 상대팀 선수의 볼전개와 역습 찬스를 끊어내야하기 때문에 많은 파울을 범하는데, 파울 횟수가 많으면서도 [[옐로카드]]나 [[레드카드]]를 적게받는 것이 홀딩에게 가장 요구되는 능력 중 하나다. 요컨대 지능적인 파울과 카드관리, 그리고 상대팀 선수를 절대 놓치지않는 집중력과 체력, 상대팀의 패스길을 읽는 수비위치 선정 등이 요구된다. K리그의 경우,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김진우]]가 홀딩의 교본으로 꼽혔고, 현재까지 뛰는 선수 중에는 [[김한윤]]<ref>다만 김한윤은 카드관리가 다소 아쉬운 감이 있다.</ref>이 가장 이상적인 홀딩에 근접했다고 볼 수 있겠다.
 
 
 
=== 앵커 ===
 
통상적인 구분 중 하나로, 수비적인 역할을 맡기는 하지만 후방에서 패스로 공격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요컨대 공수 전반에 걸쳐 평균 이상의 능력을 보여야한다. 일반적으로 숏패스보다는 롱패스나 횡패스 정확성이 높을수록 앵커맨의 가치가 돋보이는편. 특히 역습 상황에서 [[윙 포워드]]를 향해 뿌려 주는 정확하고 빠른 패스는 역습의 성공을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때문인지 [[후방 플레이메이커]]라는 개념도 생겨났다. [[경남 FC]] 시절 [[김근철]]이나 [[AC 밀란]] 시절 [[안드레아 피를로]]가 맡은 역할이라고 볼 수 있다.
 
 
 
 
 
=== 앵커맨 ===
 
최근 강인한 체력을 바탕으로 끈질긴 수비와 매끄러운 공격 능력을 갖춘 선수들이 나타나면서 원래 존재하던 포지션의 역할 개념이 중화되고, 여러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것을 요구하는 현대 축구의 경향에 따라, 최근 유럽에서는 저 둘을 구분하지 않고 앵커맨(Anchor man)으로 통칭해서 부르는 경향이 있다. [[첼시 FC]]의 [[미카엘 에시앙]]이 대표적인 예라고 볼 수 있다. K리그의 경우도, 과거 [[투 볼란테]]라고 하여 홀딩 - 앵커를 구분하여 역할을 나누어왔지만, 최근에는 크게 구분없이 투 앵커맨을 둔다는 개념으로 정착하고 있다. [[경남 FC]]에서 뛰던 [[박진이]]나 [[김태욱]]이 크게 성장할 재목이었지만 박진이는 축구를 그만두었고 김태욱은 승부조작으로 축구 인생을 끝냈다. 현재, 국내에서 이 포지션 최고의 선수는 [[전북 현대 모터스]]의 [[김상식]]이며, [[부산 아이파크]]의 [[박종우2|박종우]]가 좀 더 성장한다면 김상식을 뛰어 넘을 수 있을 것처럼 보인다.
 
 
 
 
 
[[파일:Andrea Pirlo.jpg|150픽셀|섬네일|대표적인 처진 플레이메이커 피를로]]
 
=== 처진 플레이메이커 ===
 
앵커의 진화형 (?). 솔직히 말하면 안드레아 피를로가 만들어낸 피를로 전용 포지션이다. 수비형 미드필더의 기본적인 임무가 팀의 수비에 직간접적으로 기여하는 것이지만, 일부 선수는 후방에서 경기를 풀어 나가는 임무를 수행한다. 이를 '''처진 플레이메이커'''(Deep-lying playmaker) 라고 부른다. 처진 플레이메이커는 수비력을 바탕으로 하여, 공격 템포를 조절하고 긴 패스를 통해 전방에 공을 공급한다. [[공격형 미드필더]]의 플레이메이커와 유사하게, 패싱, [[퍼스트 터치]] 등 기술적인 능력과 넓은 시야가 반드시 필요한 위치다. 이탈리아에서는 '''연출가'''라는 뜻의 '''레지스타'''(Regista)로 불리기도 하며, [[AC 밀란]]을 거쳐 [[유벤투스 FC]]에서 활약하고 있는 세계적인 선수 [[안드레아 피를로]]가 대표적인 선수라고 할 수 있다.
 
 
 
또하 이러한 처진 플메는 90년대 이후로 명맥이 끊긴 [[플레이메이커]] 포지션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전방 플레이메이커가 거친 맨마킹에 녹아내리는 문제와 뒷공간 커버 문제로 현대축구에서 사장된 포지션 취급을 받는 반면, 후방 플메는 보디가드라 할만한 수비요원을 후방 플메 옆에 붙여놓는게 가능하여 단점을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가 후방 플메 피를로와 보디가드 [[젠나로 가투소]]의 콤비 플레이.
 
 
 
비교적 최근에 확립된 개념의 포지션이며, [[스위퍼]]의 발전으로 보는 경향도 있다.
 
 
 
== 같이 보기 ==
 
* [[포지션]]
 
* [[링커]]
 
 
 
 
 
== 참고사항 ==
 
<references/>
 
 
 
[[분류 : 포지션]][[분류:미드필더]]
 

2016년 3월 2일 (수) 21:11 기준 최신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