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09 바이트 추가됨 ,  2011년 12월 20일 (화) 18:44
잔글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
'''센터백''' ''(미 Center Back/영 Centre Back)''은 수비 진영 중 중앙 지역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말한다. 좋은 센터백의 주요 능력으로 큰 키와 상대 공격수를 쉽게 막기 위한 위치 선정 능력, 기술적인 태클, 정확한 헤더, 그리고 강한 신체를 꼽을 수 있다. 수비 라인의 유기적인 움직임을 위해 팀워크가 강조되는 표지션이다. [[포백]]의 경우 [[커맨더]][[파이터]]로, [[스리백]]의 경우 [[스토퍼]][[스위퍼]]로 나뉜다.
+
'''센터백''' ''(미 Center Back/영 Centre Back)''은 수비 진영 중 중앙 지역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말한다. 좋은 센터백의 주요 능력으로 큰 키와 상대 공격수를 쉽게 막기 위한 위치 선정 능력, 기술적인 태클, 정확한 헤더, 그리고 강한 신체를 꼽을 수 있다. 수비 라인의 유기적인 움직임을 위해 팀워크가 강조되는 표지션이다. [[포백]]의 경우 '''커맨더''''''파이터'''로, [[스리백]]의 경우 '''스토퍼''''''스위퍼'''로 나뉜다.
    
== 세부 역할 ==
 
== 세부 역할 ==
8번째 줄: 8번째 줄:     
=== 파이터 ===
 
=== 파이터 ===
'''파이터''' ''(Fighter)'''를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전사처럼 상대 선수와 직접 부딪혀 싸우는 존재라고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빠르게 상대를 막기 위한 주력, 상대 공격수를 방해하는 몸싸움, 기술적인 태클이나 상대의 공중 볼을 1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헤더 등 신체적인 능력을 주로 필요로 한다. 거기에 활동량과 팀을 위해 헌신할 줄 아는 자세를 갖추었다면 금상첨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네마냐 비디치]]가 대표적인 선수로 꼽히며<ref>나이를 먹어가며 수비 위치 선정도 상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ref>, 국내에서는 [[전남]]의 [[전설적인 선수]]였던 [[김태영]] [[관동대학교]] [[코치]]나 [[현대 호랑이]]에서 선수 생활의 대부분을 보냈던 [[윤덕여]] [[전남 드래곤즈]] 코치를 들 수 있다. 현역 중에서는 [[포항 스틸러스]]의 [[김형일]]이나 [[울산 현대 축구단]]의 [[곽태휘]]를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스리백의 스토퍼에 대응되는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
'''파이터''' ''(Fighter)''를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전사처럼 상대 선수와 직접 부딪혀 싸우는 존재라고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빠르게 상대를 막기 위한 주력, 상대 공격수를 방해하는 몸싸움, 기술적인 태클이나 상대의 공중 볼을 1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헤더 등 신체적인 능력을 주로 필요로 한다. 거기에 활동량과 팀을 위해 헌신할 줄 아는 자세를 갖추었다면 금상첨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네마냐 비디치]]나 [[볼튼 원더러스]]의 주장 [[게리 케이힐]], AC 밀란의 [[알레산드로 네스타]]가 대표적인 선수로 꼽히며<ref>나이를 먹어가며 수비 위치 선정도 상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ref>, 국내에서는 [[전남]]의 [[전설적인 선수]]였던 [[김태영]] [[관동대학교]] [[코치]]나 [[현대 호랑이]]에서 선수 생활의 대부분을 보냈던 [[윤덕여]] [[전남 드래곤즈]] 코치를 들 수 있다. 현역 중에서는 [[포항 스틸러스]]의 [[김형일]]이나 [[울산 현대 축구단]]의 [[곽태휘]]를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스리백의 스토퍼에 대응되는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 참고 ==
 
== 참고 ==
 
<references/>
 
<references/>

편집

3,533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