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9번째 줄:
9번째 줄:
− +
→문제
* 공 담당자는 대체로 지역 축구팀 선수나 수행평가 학생들이 하게 되는데 보통 이러한 담당자는 홈팀에서 선발하게 됨으로 홈팀의 유불리에 따라 공이 공급에 영향을 받게 된다. 대체로 홈팀이 이기고있을 때에는 시간 벌기 위해 공이 늦게 공급되고 홈팀이 지고 있을 때는 빨리 재개시키기 위해 공이 빠르게 공급되는 등 홈팀에 유리한 경기진행이 될 수 있다.
* 공 담당자는 대체로 지역 축구팀 선수나 수행평가 학생들이 하게 되는데 보통 이러한 담당자는 홈팀에서 선발하게 됨으로 홈팀의 유불리에 따라 공이 공급에 영향을 받게 된다. 대체로 홈팀이 이기고있을 때에는 시간 벌기 위해 공이 늦게 공급되고 홈팀이 지고 있을 때는 빨리 재개시키기 위해 공이 빠르게 공급되는 등 홈팀에 유리한 경기진행이 될 수 있다.
* 멀티볼 시스템은 심판의 허가를 기다리지 않고 공이 공급되기 때문에, 공 담당자의 판단 미스 등으로 여러 예비 볼이 [[필드]]에 들어가 버리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멀티볼이 오히려 신속한 경기 진행을 방해한다고 할 수 있다.
* 멀티볼 시스템은 심판의 허가를 기다리지 않고 공이 공급되기 때문에, 공 담당자의 판단 미스 등으로 여러 예비 볼이 [[필드]]에 들어가 버리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멀티볼이 오히려 신속한 경기 진행을 방해한다고 할 수 있다.
* 멀티볼 시스템을 도입하여 경기 중단 시간이 줄어든 것이 선수의 피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선수의 급수 시간을 확보할 수 없게 될 우려가 FIFA 기술 보고서<ref>http://www.fifa.com/mm/document/afdeveloping/techdevp/wyc_97_tr_part4_180.pdf</ref>에서 제기 되고 있다.
* 멀티볼 시스템을 도입하여 경기 중단 시간이 줄어든 것이 선수의 피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선수의 급수 시간을 확보할 수 없게 될 우려가 FIFA 기술 보고서<ref>http://www.fifa.com/mm/document/afdeveloping/techdevp/wyc_97_tr_part4_180.pdf</ref>에서 제기되고 있다.
== 참고==
==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