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3,078 바이트 추가됨 ,  2010년 6월 29일 (화) 12:03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
'''사커맘'''(Soccer Mom)은 [[미국]]에서 자녀교육에 열정적인 주부를 이르는 말이다. 아이를 키우면서 축구 연습이나 다른 활동을 위해 자동차로 아이들을 실어나르는 모습<ref>미국은 한국과 달리 대도시를 제외하곤 버스나 지하철 같은 대중교통수단이 사실상 없고 땅이 넓어서 도보로 해결될리 만무. 특히 중산층들이 주로 거주하는 교외지역(suburb)에서는 자동차가 없으면 일상 생활이 불가능.</ref>덕분에 붙은 명칭으로 90년대 주부를 상징하는 단어가 되었다.<ref>80년대는 슈퍼우먼(일과 육아를 완벽하게 하는 주부), 90년대는 사커맘, 2000년대는 알파맘(가족, 직업, 개인적 삶을 조화시키며 바쁘게 살아가는 주부)</ref> 이러한 일을 하는 계층이 주로 중산층의 백인 여성이어서 미국 중산층 백인여성의 전형적인 모습을 뜻하는 단어가 되었다.<ref>2008년 미국대선에서 공화당의 부통령후보로 나왔던 사라 페일린이 자신을 하키맘(알래스카는 축구를 할 수 없다)이라고 칭하면서 중산층 백인 여성을 공략했다. 물론 시망.</ref>
+
'''사커맘'''(Soccer Mom)은 [[미국]]에서 자녀교육에 열정적인 주부를 이르는 말이다. 한국에서의 치맛바람과는 좀 다르고 방과후 [[태권도]], 피아노, 영어, 수학과목의 학원을 연속으로 보내는 열성 엄마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엄마가 셔틀노릇을 할 필요가 없을 뿐.  
   −
중산층 백인여성들이 [[미식축구]]가 아니라 [[사커]]를 선택한 이유는..
+
== 개요 ==
 +
아이를 키우면서 축구 연습이나 다른 활동을 위해 자동차로 아이들을 실어나르는 모습<ref>미국은 한국과 달리 대도시를 제외하곤 버스나 지하철 같은 대중교통수단이 사실상 없고 땅이 넓어서 도보로 해결될리 만무. 특히 중산층들이 주로 거주하는 교외지역(suburb)에서는 자동차가 없으면 일상 생활이 불가능하다.</ref>덕분에 붙은 명칭으로 90년대 주부를 상징하는 단어가 되었다.<ref>80년대는 슈퍼우먼(일과 육아를 완벽하게 하는 주부), 90년대는 사커맘, 2000년대는 알파맘(가족, 직업, 개인적 삶을 조화시키며 바쁘게 살아가는 주부)라고 하는데 알파맘은 그냥 이상일 뿐이고 현실은 사커맘.-_-;;</ref> 이러한 일을 하는 계층이 주로 교외지역에 거주하는 중산층의 백인 여성이어서 미국 중산층 백인여성의 전형적인 모습을 뜻하는 단어가 되었다. 사커맘은 선거에서 특정층을 공략하기 위한 전략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되었는데 1996년 수잔 B. 케이시가 덴버시의회 선거에 출마하면서 "A Soccer Mom for City Council."이라 슬로건을 걸어 당선되었으며 이후 여러 선거에서 특정계층을 상징하는 단어로 언급되었다. 특히, 2008년 미국대선에서 공화당의 부통령후보로 나왔던 사라 페일린이 자신을 하키맘<ref>사커맘의 미국북부지역 버전. 알래스카 같은 미국 북부지역이나 [[캐나다]]에서는 축구 같은 야외 스포츠를 편하게 할 수 없기 때문에 아이스 링크로 셔틀한다.</ref>이라고 칭하면서 중산층 백인 여성을 공략했는데 이 때, 조 식스팩(Joe Sixpack)<ref>조(Joe)는 일반적인 미국인 남성을 지칭하며 식스팩은 복근이 아니고 맥주 6개 들이를 말한다. 집에서 TV로 스포츠 중계를 시청하기 위해서 맥주 6개들이를 사는 전형적인 미국인 남성을 상징하는 단어.</ref>과 더불어 한국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
 +
== 축구 ==
 +
중산층 백인여성들이 [[미식축구]], [[야구]], [[농구]], [[아이스 하키]] 등 빅4 스포츠가 아닌 [[사커]]를 선택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3가지 정도의 이유를 들 수 있다.
 +
:첫째, [[축구]]는 협동심과 사교성을 길러준다.  
 +
:둘째, [[미식축구]]처럼 위험하지 않고 여자아이들도 충분히 즐길 수 있다.<ref>흑인들이나 하는 위험한 스포츠다라는 인족차별적 인식이 깔려있다.</ref>
 +
:셋째, 미국 백인들이 동경과 약간의 컴플렉스를 가진 전형적인 [[영국]]의 스포츠다.
 +
 
 +
미국이라고 하면 축구의 불모지이고 히스패닉계가 미국 축구시장을 지배하고 있다는 인식이 강한데 실제로는 미국의 거대한 스포츠 인프라와 사커맘 덕분에 미국내 유소년 축구인구는 300만이 넘으며 전체 축구인구는 2000만에 이르는 세계 최대의 축구인구를 가진 나라다.<ref>[[브라질]]도 축구인구가 이정도 되지 않는다. 물론 [[박지성]]이 밭갈고 [[기성용]]이 커피농사 짖는 나라라 매년 8000명의 축구선수가 벌어들이는 수익이 브라질의 주요수출품인 나라라서 비교 불가지만..</ref> 문제는 고등학교로 진학하게 되면 운동에 재능을 보이는 아이들은 많은 돈을 손에 넣을 수 있는 빅4 스포츠를 선택하게 된다는게 가장 큰 문제라서.. 결국 축구가 빅4중 한 자리를 뀌차면 축구계도 대 변혁이 온다. 여자 축구에 있어 미국의 강함을 보면 알 수 있다.
 +
 
 +
한국의 교육과잉 엄마들처럼 미국의 사커맘들도 자녀의 방과후 활동에 부모의 의지가 좌우되는 점이 비판받고 있는데 그래도 국영수에 매달리는 것보다는 훨씬 나은 듯..
 +
 
 +
== 같이보기 ==
 +
* [[미국#스포츠]]
 +
* [[미국#축구]]
   −
추가해야함..
      
----
 
----
10번째 줄: 24번째 줄:     
[[분류:스포츠 용어]]
 
[[분류:스포츠 용어]]
 +
[[분류:미국]]

편집

4,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