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4 바이트 추가됨 ,  2013년 9월 25일 (수) 20:48
잔글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 제일모직 ==
 
== 제일모직 ==
'''제일모직'''은 1954년 이병철에 의해 창립된 이래 계속 [[삼성그룹]]의 주력회사로 자리잡아 오고 있다. 처음에는 모직사업으로 시작하였으나, 합섬 등 직물 전반으로 확장하였으며, 직물사업을 기반으로 1970년대 패션 사업 진출, 1980년대 후반 화학 사업 진출, 2000년대에는 전자소재 산업으로 진출하여 2012년말 기준으로 모직이라는 회사명에 어울리지 않게 직물, 패션사업부분은 30%에 불과하며, 2013년 삼성그룹 후계구도와 관련하여 패션사업부분을 에버랜드로 양도한다고 발표하였다. 이제 모직이라는 이름을 떼어내야 할 듯. 대구 칠성동<ref>현재에도 제일모직 공장터는 남아 있는데 대구 오페라하우스 및 [[홈플러스]] 1호점인 대구 칠성점을 포함한 부지가 모두 제일모직 대구공장터였다. 칠성동과 침산동 일대 10만제곱미터 규모. 제일모직이나 삼성입장에서는 그 금싸라기 자리에 아파트를 짖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으나 대구 지역 여론(대구가 삼성을 키워줬는데 삼성 상용차 이후로 대구에 삼성관련 기업이 하나도 없고 지역에 무심하다)으로 인해 여론을 살피며 간(대구 오페라 하우스 건립 기부 등)만 보고 있다. 사실 상업시설 개발안이 십수년간 있었으나 대구의 경기문제 등 복합적인 문제가 있다.</ref>에 첫공장인 대구공장을 건립하였고 이 곳을 기반으로 일모축구단이 활동하였다.   
+
'''제일모직'''은 1954년 이병철에 의해 창립된 이래 계속 [[삼성그룹]]의 주력회사로 자리잡아 오고 있다. 처음에는 모직사업으로 시작하였으나, 합섬 등 직물 전반으로 확장하였으며, 직물사업을 기반으로 1970년대 패션 사업 진출, 1980년대 후반 화학 사업 진출, 2000년대에는 전자소재 산업으로 진출하였다. 2012년말 기준으로 모직이라는 회사명에 어울리지 않게 직물, 패션사업부분은 30%에 불과하며, 2013년 삼성그룹 후계구도와 관련하여 패션사업부분을 에버랜드로 양도한다고 발표하였다. 이제 모직이라는 이름을 떼어내야 할 듯. 대구 칠성동<ref>현재에도 제일모직 공장터는 남아 있는데 대구 오페라하우스 및 [[홈플러스]] 1호점인 대구 칠성점을 포함한 부지가 모두 제일모직 대구공장터였다. 칠성동과 침산동 일대 10만제곱미터 규모. 제일모직이나 삼성입장에서는 그 금싸라기 자리에 아파트를 짖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으나 대구 지역 여론(대구가 삼성을 키워줬는데 삼성 상용차 이후로 대구에 삼성관련 기업이 하나도 없고 지역에 무심하다)으로 인해 여론을 살피며 간(대구 오페라 하우스 건립 기부 등)만 보고 있다. 사실 상업시설 개발안이 십수년간 있었으나 대구의 경기문제 등 복합적인 문제가 있다.</ref>에 첫공장인 대구공장을 건립하였고 이 곳을 기반으로 일모축구단이 활동하였다.   
    
=== 연혁 ===
 
=== 연혁 ===

편집

4,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