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1,720 바이트 추가됨 ,  2013년 10월 12일 (토) 17:06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강릉 정기전'''은 [[강릉제일고등학교]]와 [[강릉중앙고등학교]]의 축구 더비이다. 현재 강릉 단오제에 맞추어 열린다. 1982년 폭력사태와 1990년대 재정문제로 고비를 맞다가 1994년 부활돼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강릉 정기전'''은 [[강릉제일고등학교]]와 [[강릉중앙고등학교]]의 축구 더비이다. 현재 강릉 단오제에 맞추어 열린다. 1982년 폭력사태와 1990년대 재정문제로 고비를 맞다가 1994년 부활돼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
일농전, 농일전, 농상전, 상농전등으로 불린다.
+
일농전, 농일전, 농상전, 상농전등으로 불리며, 강릉농공고의 상징 호랑이와 강릉제일고의 상징 용을 본떠 용호상박이라는 표현도 자주 쓰인다.
 +
 
 +
 
 +
== 역사 ==
 +
 
 +
1920년대, 이미 강릉에서는 단오제에 맞춰 강릉단오제축구대회를 열곤 했다. 이 대회는 일제 강점기 말 구기 종목 금지령과 단오제 폐지로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 해방 후 다시 활기를 띄게 되었다. 1970년대 들어 대회는 일반부 뿐만 아니라 초, 중, 고등부 시합까지 포함하기 시작했는데, 이 중 고등부 시합은 1935년 축구부를 창설한 강릉농공고와, 1941년 축구부를 출범시킨 강릉상고, 그리고 주문진수고의 3파전으로 진행되곤 했다. 이후 1976년부터 강릉농공고와 강릉상고의 정기전 형식으로 성격이 바뀌어, 대한민국 최대의 고교 라이벌전으로 떠오르기 시작했다.
 +
 
 +
1980년대 들어 폭력적 성격이 강해지는데, 양 교 학생들이 충돌하는 바람에 인근 초등학교에 휴교령이 내려지는 등 심각한 폭력 사태가 일어나자 강릉 정기전은 6년 간 중단되기도 했다. 또한 1990년대 재정 문제까지 겹치며 정기전은 폐지 위기를 맞았으나, 1994년 부활하였다.
 +
 
 +
현재는 폭력적 성격 대신 양 교 학생들이 벌이는 화려한 응원전이 주요 볼거리가 되었다. 학교 재학생 뿐만 아니라 졸업생들까지 몰려들며 강릉 시민 전체가 참여하는 지역 축제적인 성격을 띄기도 한다. 덕분에 단오제가 되면 [[강릉종합운동]]이 강릉농공고의 붉은 색과 강릉상고를 상징하는 푸른 색으로 반반씩 나뉘어 물드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

편집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