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5,348 바이트 추가됨 ,  2013년 11월 13일 (수) 18:01
잔글
편집 요약 없음
[[Image:유호준.jpg|right|thumb|200px|유호준]]
'''유호준'''(1985년 1월 14일~ 현재)은 [[대한민국]] 국적의 [[중앙 미드필더]]로, 현재 [[K리그]] 클럽 [[경남 FC]]에서 뛰고 있다.




== 프로필 ==
{{col-begin}}
{{col-3}}
* 이름 : 유호준

* K리그 등록명 : 유호준

* 국적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 출생일 : 1985년 1월 14일

* 출생지 : {{국기그림|대한민국}} [[전라북도]] [[김제시]]

* 신체조건 : 183cm / 79kg

* 포지션 : '''[[중앙 미드필더]]''', [[수비형 미드필더]], [[공격형 미드필더]]

* 유소년 클럽
: 2000 ~ 2003 [[신평고등학교]]
: 2004 ~ 2007 [[광운대학교]]

* 현 소속 클럽 : 경남 FC

* 등번호 : 14

* 국가대표 경력
: 2008 [[대한민국 U-23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3]]
{{col-3}}
* K리그 기록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소속팀 !! 연도 !! 출장 !! 교체 !! 득점 !! 도움 !! 경고 !! 퇴장 !! 자책
|-
| [[울산 현대]] || 2008 || 31|| 16|| 2|| 3 ||5 ||0||0
|-
| [[울산 현대]] || 2009 || 6|| 5|| 0|| 0 ||0 ||0||0
|-
| [[부산 아이파크]] || 2010 || 29|| 5||5|| 3 ||4 ||0||0
|-
| [[부산 아이파크]] || 2011 || 18|| 10||0|| 0 ||1 ||0||0
|-
| [[경남 FC]] || 2012 || 0|| -||-|| - ||- ||-||-
|-
! 통산 || - || 84|| 36||7|| 8 || 10 || 0||0
|}
:[[K리그]] 통산기록은 [[리그컵]]기록 포함. 2012년 3월 1일 시점 기준
{{col-end}}


== 유소년 시절 ==
=== 대학 이전 ===
전북 김제시에서 태어난 유호준은 [[천안초등학교]]에서 축구를 시작해 [[천안중학교]]를 졸업하고 [[신평고등학교]]에 진학하였다.

=== 광운대 시절 ===
2001년 신평고 졸업 후 [[광운대학교]]에 진학하였다. 대학 시절에는 공격형 미드필더 역할을 수행했는데, 미드필더임에도 득점 능력이 상당히 좋았다. 특히, 중거리 슛의 파워와 정확도가 대학권에서 최고 수준이었던지라 춘,추계 연맹전 때 마다 팀내 최다 득점자는 항상 유호준의 몫이었다. 당시 유호준의 별명이 광운대의 [[이동국]]이었을 정도.


== K리그 ==
=== 울산 현대 ===
광운대에서 보여준 활약을 바탕으로 [[K리그 드래프트 2008]]에서 [[울산 현대]]에 1순위로 지명되어 K리그에 입성하였다. [[김정남]] 감독에게 신인 시절부터 기량을 인정 받은 몇 안되는 울산 신인 중 한명이었고, 그 기대에 부응하듯 29경기나 출장해 울산의 중요한 주전으로 자리 잡았다. 시즌 초반에는 호쾌한 중거리 슈팅으로 팬들에게 호평을 받았으나, 보다 수비적인 역할을 맡으면서 수비력에 약점을 드러낸 데다 중거리 슛을 남발하는 바람에 후반부로 갈수록 평가가 반감되었다는 점이 흠이다. 2008년 3월 잠깐 [[베이징 올림픽대표]]로 선발된 바 있었으나, 본선 명단에 드는 데는 실패했다.

=== 부산 아이파크 ===
신인왕 후보에까지 오르며 성공적인 데뷔 시즌을 보냈으나, 2008시즌이 끝나고 울산의 감독이 [[김호곤]]으로 교체되면서 유호준은 어려운 시기를 겪었다. 부상이 겹친데다 감독이 요구하는 경기 스타일도 전임 감독의 그것과 사뭇 달랐기 때문. 결국 09시즌에는 제대로 된 경기조차 뛰지 못하고 2군에 머무르다 시즌 종료 후 [[최기석]] 선수와 트레이드 되어 [[부산 아이파크]]에 입단하였다.

* '''유호준([[울산 현대]]) ↔ [[최기석]]([[부산 아이파크]])'''

2010시즌 [[김근철]] 선수와 함께 부산의 중원을 맡은 유호준 선수는 빠르게 제 포지션에 적응하며 부산에 활력을 불어넣는데 성공했다. 특히 팬들이 특별한 의미를 두는 수원전에 골도 집어 넣으며 상승세를 타기 시작, 2010시즌 5골을 몰아치며 팀내 득점 4위에 오르며 부활을 알렸다. 부산 입장에서는 굴러들어온 복덩이인 셈.

=== 경남 FC ===
그러나 2011시즌에는 [[안익수]] 감독이 요구하는 움직임에 맞지 않으면서 [[박희도]], [[김근철]] 등과 함께 주전에서 밀려나기 시작했고, 결국 18경기 출장에 그치며 시즌 종료 후 [[경남 FC]]의 [[이경렬]]과 트레이드되었다.

* '''유호준([[부산 아이파크]]) ↔ [[이경렬]]([[경남 FC]])'''

경남에서 보낸 첫 해인 2012년에는 [[강승조]], [[최영준]]을 받치는 로테이션 멤버로 기용되었지만 나올 때 마다 [[페널티킥]]을 내주는 등 팬들의 마음을 안타깝게 했다. 2013년에는 [[조재철]]이 중앙 미드필더로 내려오고, [[보산치치]]까지 들어오면서 완전히 밀려난 모양새라 팬들은 더 안타까울듯. 프로 동기로 같이 [[K리그 신인왕]] 후보에 올랐던 [[서상민]]이 경남을 거쳐 우승권 클럽에서 승승장구하고 있는 것을 보면 더욱..


== 같이 보기 ==
* [[박희도]]
* [[김근철]]


== 외부 링크 ==


== 참고 ==
<references />


{{경남 FC 선수단}}


[[분류:1985년생]][[분류:신평고등학교의 선수]][[분류:광운대학교의 선수]][[분류:울산 현대의 선수]][[분류:부산 아이파크의 선수]][[분류:경남 FC의 선수]]

편집

3,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