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569 바이트 추가됨
, 2013년 12월 31일 (화) 09:37
잔글[[파일:Cho Kwang-Rae.jpg|250픽셀|섬네일|경남 감독 시절 조광래]]
'''조광래''' (1954년 3월 19일 ~ 현재)는 [[대한민국]]의 전설적인 [[미드필더]] 출신 [[감독]]이다.
== 선수 프로필 ==
{{col-begin}}
{{col-3}}
* 성명 : 조광래(趙廣來, Cho Kwang-Rae)
* [[K리그 등록명]] : 조광래
* 국적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 출생일 : 1954년 3월 19일
* 출생지 : [[경상남도]] [[진주시]]
* 신체조건 : 171cm
* 주로 쓰는 발 : 오른발
* 포지션 : [[링커]]
* 유소년 클럽 : [[진주고등학교]], [[연세대학교]]
* 현 소속 클럽 : 선수생활 은퇴
* 국가 대표팀 기록 : 1975 ~ 1986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A매치 80경기 12골)'''
{{col-3}}
* K리그 기록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style="background:#C0C0C0"
! 소속 !! 연도 !! 출장 !! 교체 !! 득점 !! 도움 !! 경고 !! 퇴장 !! 자책
|-
| rowspan="5"|[[대우 로얄즈]] || 1983 || 15 || 1 || 2 || 1 || 3 || 0 || 0
|-
| 1984 || 13 || 6 || 1 || 1 || 1 || 0 || 0
|-
| 1985 || 5 || 1 || 0 || 2 || 1 || 0 || 0
|-
| 1986 || 9 || 2 || 0 || 0 || 1 || 0 || 0
|-
| 1987 || 4 || 3 || 0 || 0 || 1 || 0 || 0
|-
! 통산 (K리그) || - || 46 || 13 || 3 || 4 || 7 || 0 || 0
|-
|}
: K리그 기록은 K리그 컵 포함. 2012년 4월 14일 기준.
{{col-end}}
== 지도자 프로필 ==
{{col-begin}}
{{col-3}}
* 지도자 경력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style="background:#C0C0C0"
! 연도 !! 팀 !! 경력
|-
| 1987 ~ 1992 || [[대우 로얄즈]] ||수석코치
|-
| 1992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 ||수석코치
|-
| 1992 ~ 1994|| [[대우 로얄즈]] || 감독<ref>대행기간 포함</ref>
|-
| 1995 ~ 1997||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수석코치
|-
| 1999 ~ 2003|| [[안양 LG 치타스]] || rowspan="4"|감독
|-
| 2004|| [[FC GS]]
|-
|2008 ~ 2010||[[경남 FC]]
|-
| 2010 ~ 2011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
|-
|}
{{col-3}}
* 감독 기록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style="background:#C0C0C0"
! 소속 !! 연도 !! 승 !! 무 !! 패 !! [[K리그 클래식|리그]] 순위 !! 리그컵 !! [[대한민국 FA컵|FA컵]] !! [[수퍼컵]] !! 대륙대회
|-
| [[대우 로얄즈]] || 1992 || 7 || 14 || 9 || 5위 || 조별예선 || 예선 || - || -
|-
| [[대우 로얄즈]] || 1993 || 10 || 0 || 22 || 6위<ref>6개 클럽</ref> ||bgcolor=bronze| 3위 || 예선 || - || -
|-
| [[대우 로얄즈]] || 1994 || 7 || 6 || 17 || 6위<ref>7개 클럽</ref> ||bgcolor=bronze| 3위 || 예선 || - || -
|-
| [[안양 LG 치타스|안양 LG]] || 1999 || 11 || 0 || 22 || 7위<ref>10개 클럽</ref> ||bgcolor=silver| 2위 <ref>아디다스배</ref><br />조별예선<ref>대한화재배</ref>|| 8강 ||bgcolor=silver| '''준우승''' || -
|-
| [[안양 LG 치타스|안양 LG]] || 2000 || 19 || 0 || 14 ||bgcolor=gold| '''우승''' ||조별예선|| 8강 || - || 8강
|-
| [[안양 LG 치타스|안양 LG]] || 2001 || 11 || 10 || 6 ||bgcolor=silver| '''준우승''' ||조별예선 || 8강 ||bgcolor=gold| '''우승''' || -
|-
| [[안양 LG 치타스|안양 LG]] || 2002 || 11 || 7 || 9 || 4위 || 예선 || - ||bgcolor=silver| '''준우승'''|| bgcolor=silver| '''준우승'''
|-
| [[안양 LG 치타스|안양 LG]] || 2003 || 14 || 14 || 16 || 8위 || -<ref>미개최</ref> || 32강 || -<ref>미개최</ref> || -
|-
| [[FC GS]] || 2004 || 7 || 12 || 5 || 12위 || 16강 || - || - || -
|-
| [[경남 FC]] || 2008 || 10 || 5 || 11 || 8위 || 조별예선 ||bgcolor=silver| 준우승 || - || -
|-
| [[경남 FC]] || 2009 || 10 || 10 || 8 || 7위 || 조별예선 || 예선 || - || -
|-
| [[경남 FC]] || 2010 || 10 || 5 || 3 || 중도사임 || 4강 || 예선 || - || -
|-
! colspan="2"|통산 (K리그) || 115 || 83 || 142 || - || - || - || - || -
|}
{{col-end}}
== 선수 시절 ==
=== 유소년 생활 ===
경상남도 진주 출생으로, 진주 봉래초등학교와 진주중학교, [[진주고등학교]], [[연세대학교]]를 거쳤다. 남들보다 축구를 늦게 시작한 조광래 감독은 당시 입학 시험을 치르던 시절, 시험을 치러 지역 명문인 진주중과 진주고에 진학할 정도로 우수한 두뇌와 성실한 성격을 갖고 있었다. 고등학교에 들어와 축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조광래는, 1973년 진주고를 건국대학교 총장배 전국고교축구대회, [[춘계고교축구연맹전]], [[전국체전]] 고교부 우승으로 이끌며 3관왕의 자리에 오르게해 축구계의 주목을 받았다. 168cm 의 단신에도 불구, 문전에서의 집중력과 악바리 같은 근성으로 대학 스카우터들의 교섭 대상이 된 조씨는 [[건국대학교]]와 [[연세대학교]]의 치열한 경합 끝에 연세대학교에 진학하였다.
=== 성인 무대 ===
연세대 졸업 후, 당시 실업축구팀이었던 [[포항제철]]에 입단하였고, [[상무 축구단]]을 거쳐 1982년 [[대우 로얄즈]]와 계약하면서 1983년 출범하게 된 [[슈퍼리그]] 무대에 입성하였다. 특유의 근성과 날카로운 패스를 주무기로 활약하던 그는 프로 첫 시즌에 [[K리그 시즌 베스트 11]]에 선정되었고, 프로 2년차인 84년에는 우승컵을 들어올리기도 하였다. 로얄즈에서 K리그 우승 2회, FA컵 준우승 1회,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 우승 1회를 거두는 데 공헌한 그는, 1987년을 마지막으로 선수 생활을 마무리하였으며 이후 대우의 수석 코치로 부임해 지도자 생활을 시작한다.
=== 플레이 스타일 ===
== 지도자 생활 ==
대우의 수석 코치로 일하던 그는 1992년 국가대표팀 코치를 거쳐 [[이차만]]의 뒤를 이어 대우 로얄즈의 감독으로 부임하였지만 3시즌 동안 리그컵 3위 2번 이외에는 이렇다 할 성적을 거두지 못하여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1995년에서 1997년 사이에는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서 수석 코치로 [[김호]] 감독을 보좌하였지만 감독 승계권 문제로 마찰을 일으켜 사임, 수원의 라이벌 [[안양 LG 치타스]] 감독 명패에 이름을 새긴다.
=== 안양 LG 치타스 ===
1999년 안양의 감독 자리에 오른 조광래는 [[대한민국 수퍼컵 1999]] 타이틀을 따내며 감독 생활을 시작하였고, 리그에서는 9위로 부진하였지만 리그컵에서 준우승하며 가능성을 보였다. 그리고 2000년에는 19승 0무 14패를 기록, K리그 우승컵을 들어올리는 동시에 [[AFC 챔피언스 리그]] 8강에 오르며 단숨에 K리그 주요 감독 반열에 오르게 되었다. 2001년 수퍼컵에서 우승하였지만 K리그에서 11승 10무 6패의 좋은 성적을 거두고도 준우승을 기록하며 아쉬움을 삼켰다. 그야말로 안양의 최고 황금기를 일궈낸 감독이 조광래였던 것.<ref>96년 9개팀 중 8위, 97년 10개 팀 중 9위, 98년 10개 팀 중 8위, 99년 10개 팀 중 9위를 기록하던 팀을 2000년에 단숨에 우승으로 이끌었다.. 물론 구단의 적극적 지원도 있었기에 가능했던 성적이긴 하지만, 지원을 등에 업고도 하위권을 맴돌던 유수의 감독들을 생각하면 조광래의 업적은 대단한셈.</ref> 2002년에는 또다시 수퍼컵을 준우승하고<del>[[홍진호 (프로게이머)|콩라인]]...</del> 리그 4위를 기록하면서 상위권 전력을 유지했지만 2003년 리그 8위에 FA컵 32강에 그치며 예년같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GS의 연고이전 원년 감독으로 리그 12위, 리그컵 16강이라는 팬들의 대실망을 이끌어 내면서 LG 프랜차이즈의 감독에서 사임하게 되었다.
=== 경남 FC ===
K리그 2007시즌을 끝내고 대표이사와 홍역으로 동반사임한 [[박항서]] 감독의 후임으로 [[경남 FC]] 감독에 선임되었다. 2008시즌 4월, [[함안종합운동장]]에서 열린 [[FC GS]]와의 홈 경기에서 GS의 득점이 [[오프사이드]]로 무효 선언이 되자, GS 선수들이 항의하여 득점으로 인정되는 일이 일어났고, 그에 따라 항의하는 과정에서 경기가 28분 지연되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물론 당시 선수단을 경기 구역 밖으로 내보낸 감독의 잘못도 있지만 그러한 상황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 한 심판진의 행동도 문제가 있었다. 2008년 중반까지는 [[K리그 챔피언십]] 진출권과 [[리그컵]] 플레이오프 진출권, [[FA컵]]에서의 연전연승 등 3개 대회에서 모두 인상적인 결과를 낼 뻔 했으나 2008년 마지막 라운드 [[전북 현대 모터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당한 3-1 역전패와 [[하나은행 FA컵 2008 결승전]]에서 [[포항 스틸러스]]에게 패하는 등 아쉽게도 결과를 내는 데는 실패하였다. 2008시즌까지 쓰려고 했던 [[까보레]]가 이적 논란 끝에 도쿄로 떠나고, 뽀뽀마저 [[레이솔]]로 떠나 버린 입장에서 [[김진용2|김진용]], [[정윤성]], [[김동찬]], 그리고 당 시즌 화려하게 떠오른 [[서상민]] 등 국내파 공격수가 주축이 되어 이루어 낸 성과라 긍정적인 부분도 분명 있다. 특히 프로 입성 후 자리를 잡지 못하며 방출 명단에 이름을 올렸던 [[김동찬]]이 FA컵에서 완벽하게 부활하며 경남의 믿고 쓰는 공격수로 성장한 것이 가장 가시적인 성과.
2009시즌에는 기존에 있던 [[산토스2|산토스]] 등 주축 선수들을 내보내고 [[K리그 드래프트 2009]]에서 지명한 젊은 선수들을 주축으로 팀을 꾸려 가게 된다. 시즌 초반까지는 불안한 모습을 보였지만 후반기 [[김동찬]]의 대활약과 [[이용래]], [[김주영2|김주영]], [[송호영]] 등 신인들이 성장하면서 대약진, 2010년에 대한 기대를 불러 일으켰다. 2010년 상반기 [[윤빛가람]]과 [[루시오2|루시오]]를 영입하면서 공격 전개 루트를 추가한 조광래 체제의 경남은 2010년 5월 2일까지 9경기 무패 행진을 내달리며 구단 역사상 최초로 리그 1위를 기록, 중위권에 머무를 것이라 생각했던 사람들의 어안을 벙벙하게 만들었다.<ref>혹자는 K리그가 [[추춘제]]로 진행되었다면 2009/10시즌의 챔피언은 [[경남 FC]]가 되었을 것이라고 한다.</ref> 하지만 2010년 7월 28일, [[허정무]] 감독의 후임으로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감독 자리에 오르며 경남 시대에 종지부를 찍었다. 조광래 감독과 경남은 [[K리그 2010]] 종료까지 대표팀과 경남 감독을 겸임할 것을 요청하였지만 [[대한축구협회]]는 이 요청을 거절하여 경남 감독직에서 내려 오게 되었다.<del>그리고 축협은 [[최강희|후임 감독]] 부임때는 겸임 제의를 하였다. 이 무슨</del> 후임으로는 정식 감독이 선임되지 않았고, 수석 코치 [[김귀화]]가 감독 대행으로 임무를 수행하였다. 조감독이 경남을 버리고 국대에 갔다는 의미로 '''감패'''<ref>감독질 패륜이라는 뜻이라고 한다.</ref>로 부르는 경남 팬들이 있는데, 제 얼굴에 먹칠 하는 꼴. 실제 조감독은 끝까지 경남과 겸임하기를 원했으며 국대 감독이 된 이후에도 당시 [[김영만]] 대표이사의 제안을 받아들여 구단 고문에 올랐고, 현재도 팀에 꾸준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경남에서 조광래 시대의 의의는 [[유망주]]를 주축으로 하여 아기자기한 [[빌드업]]을 주 무기로 하는 전술을 통해 성적을 내고, 그 유망주가 팀을 떠나면 그 자리를 새로운 유망주가 메운다는 경남의 팀 컬러를 갖춘 데 있다. 실제로 [[최진한]] 시대까지 팀의 주축이 된 [[김인한]], [[김주영2|김주영]], [[윤빛가람]] 등 다수의 선수들이 혜성처럼 K리그에 등장하여 이름을 알렸고, 안양 시절 [[조광래의 아이들]]이라는 말에 이어 [[조광래 유치원]]이라는 말까지 만들어 내기에 이르렀다. 젊고 매력 있는 선수들의 활약과 조감독 특유의 아기자기한 전술, 거기에 2010년 새롭게 입성한 [[창원축구센터]]라는 삼박자가 맞아떨어져 경남은 폭발적인 관중 증가세를 보여 K리그에서 가장 주목받는 시민구단으로 떠오르게 된다.
=== 국가 대표팀 ===
=== 국가 대표팀 이후 ===
국가 대표팀 감독에서 사임한 이후에는 [[FC 바르셀로나]]와 협약, 고향인 [[경상남도]] [[진주]]에 [[FC 바르셀로나 조광래 축구교실]]을 창립하여 유소년을 길러내는 데 집중하고 있다. 2013시즌 초반 경남의 [[최진한]] 감독이 성적 부진으로 감독 생활이 위태로워지자 조감독을 찾는 팬들의 목소리가 늘어났고, 경남의 감독 후보군에서 가장 이상적인 인물이라고 보는 언론의 기사가 나오기 시작했다. 하지만 구단은 [[일리야 페트코비치]]를 선임하며 조광래의 감독 부임설을 일축하였다.
=== 지도 방식 ===
== 업적 및 수상 ==
=== 국가대표팀 ===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AFC 아시안컵]] 준우승 : 1980
** [[AFC 아시안컵]] 3위 : 2011
=== 클럽 ===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우 로얄즈]]
** [[K리그]] 우승 : 2회 (1984, 1987)
** [[프로축구선수권대회]] 준우승 : 1회 (1986)
**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 우승 : 1회 (1986)
* {{국기그림|대한민국}} [[안양 LG 치타스]]
** [[K리그]] 우승 : 1회 (2000)
** [[K리그]] 준우승 : 1회 (2001)
** [[K리그 컵]] 준우승 : 1회 (1999)
** [[대한민국 슈퍼컵]] 우승 : 1회 (2001)
** [[대한민국 슈퍼컵]] 준우승 : 1회 (1999)
**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 준우승 : 1회 (2002)
* {{국기그림|대한민국}} [[경남 FC]]
** [[대한민국 FA 컵]] 준우승 : 1회 (2008)
=== 개인 ===
* [[K리그 시즌 베스트 일레븐]] : 1회 (1983)
* [[K리그]] 감독상 : 1회 (2000)
== 에피소드 ==
* 1980년대 초반 [[차범근]]이 독일 무대에서 맹활약할 당시, 독일 축구팀들은 한국 선수들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보였고, 이 중에서도 컴퓨터 링커로 국가대표를 책임졌던 조광래를 향해 러브콜이 제법 많이 들어왔었다.<ref>여기에는 차범근의 적극적인 추천도 한몫했다.</ref> 하지만 조광래는 1981년까지 군복무를 수행해야하는 상황이었고, 대우 측이 계약금만 1억원을 부르며 조광래의 한국 잔류를 설득한 점, 여기다 당시에는 '해외진출 = 국가대표의 의무를 저버리는 비애국자(?)' 라고 생각하던 묘한 분위기가 축구선수들 사이에 있어서 결국 조광래는 해외진출을 고사하고 말았다.
* 팬들에게 은근히 잘 한다. [[경남 FC]] 감독 시절 팬들이 [[클럽하우스]]에 훈련을 보러 가면 "밥 먹고 가라"며 기어이 클하 식당에 들어가서 밥 먹고 가게 하는 일이 종종 있었다.<del>밥이 코로 넘어가는지 눈으로 넘어가는지</del>
* 2013년 하반기 [[넥슨]]에서 퍼블리싱한 [[FIFA 온라인 3]]에서 [[대한민국]] 전설 선수 명단에 포함되었다.
== 같이 보기 ==
* [[김호]]
* [[뚜따]]
* [[조광래의 아이들]]
* [[조광래 유치원]]
* [[김영만 (언론인)|김영만]]
== 외부 링크 ==
== 각주 ==
<references />
{{K리그 1983 베스트 11}}{{경남 FC 역대 감독}}
[[분류:1954년생]][[분류:진주고등학교의 선수]][[분류:연세대학교의 선수]][[분류:포항 제철의 선수]][[분류:상무의 선수]][[분류:대우 로얄즈의 선수]][[분류:지도자]][[분류:부산 대우 로얄즈의 지도자]][[분류: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지도자]][[분류:안양 LG 치타스의 지도자]][[분류:경남 FC의 지도자]][[분류:대한민국 국가대표팀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