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709 바이트 추가됨 ,  2014년 3월 31일 (월) 13:30
잔글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
'''제일모직'''(制一毛織, CHEIL INDUSTRIES INC.)은 첨단소재 및 패션 사업을 하는 '''[[삼성그룹]]'''의 자회사로 1962년부터 1971년말까지 축구단을 운영했다. 축구단은 '''제일모직''' 또는 '''일모'''<ref>제일은행 축구단과의 구별을 위해서기도 했고 보통 약자를 사용할 때 앞자를 따서 부르나 앞자를 따면 제모가 되므로 부득이하게 일모가 된듯... 근데 제일은행보다 먼저 창단되었다. -_-;;  석유공사가 [[유공]]이 된 이유와 비슷하다.</ref>(一毛) '''축구단'''으로 불렀다.
+
'''제일모직'''(制一毛織, CHEIL INDUSTRIES INC.)은 첨단소재 및 패션 사업을 하던 '''[[삼성그룹]]'''의 자회사로 2014년 첨단소재 부분은 삼성 SDI에 흡수합병하고 패션사업부분은 삼성에버랜드와 합병하여 삼성그룹의 사실상의 지주회사가 되었다. 1962년부터 1971년말까지 운영한 축구단은 '''제일모직''' 또는 '''일모'''<ref>제일은행 축구단과의 구별을 위해서기도 했고 보통 약자를 사용할 때 앞자를 따서 부르나 앞자를 따면 제모가 되므로 부득이하게 일모가 된듯... 근데 제일은행보다 먼저 창단되었다. -_-;;  석유공사가 [[유공]]이 된 이유와 비슷하다.</ref>(一毛) '''축구단'''으로 불렀다.
          
== 제일모직 ==
 
== 제일모직 ==
'''제일모직'''은 1954년 이병철에 의해 창립된 이래 계속 [[삼성그룹]]의 주력회사로 자리잡아 오고 있다. 처음에는 모직사업으로 시작하였으나, 합섬 등 직물 전반으로 확장하였으며, 직물사업을 기반으로 1970년대 패션 사업 진출, 1980년대 후반 화학 사업 진출, 2000년대에는 전자소재 산업으로 진출하였다. 2012년말 기준으로 모직이라는 회사명에 어울리지 않게 직물, 패션사업부분은 30%에 불과하며, 2013년 삼성그룹 후계구도와 관련하여 패션사업부분을 에버랜드로 양도한다고 발표하였다. 이제 모직이라는 이름을 떼어내야 할 듯. 대구 칠성동<ref>현재에도 제일모직 공장터는 남아 있는데 대구 오페라하우스 및 [[홈플러스]] 1호점인 대구 칠성점을 포함한 부지가 모두 제일모직 대구공장터였다. 칠성동과 침산동 일대 10만제곱미터 규모. 제일모직이나 삼성입장에서는 그 금싸라기 자리에 아파트를 짖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으나 대구 지역 여론(대구가 삼성을 키워줬는데 삼성 상용차 이후로 대구에 삼성관련 기업이 하나도 없고 지역에 무심하다)으로 인해 여론을 살피며 간(대구 오페라 하우스 건립 기부 등)만 보고 있다. 사실 상업시설 개발안이 십수년간 있었으나 대구의 경기문제 등 복합적인 문제가 있다.</ref>에 첫공장인 대구공장을 건립하였고 이 곳을 기반으로 일모축구단이 활동하였다.   
+
'''제일모직'''은 1954년 이병철에 의해 창립된 [[삼성그룹]]의 모태기업 중 하나이다. 처음에는 모직사업으로 시작하였으나, 합섬 등 직물 전반으로 확장하였으며, 직물사업을 기반으로 1970년대 패션 사업 진출, 1980년대 후반 화학 사업 진출, 2000년대에는 전자소재 산업으로 진출하였다. 2012년말 기준으로 모직이라는 회사명에 어울리지 않게 직물, 패션사업부분은 30%에 불과하며, 2013년 삼성그룹 후계구도와 관련하여 패션사업부분을 에버랜드로 양도하기로 하고 2014년에는 전자, 화학소재 부분도 삼성그룹의 전자사업 수직계열화 방침에 따라 부품회사인 삼성 SDI와 합병하게 되어 사업이 분리되게 되었다. 회사의 사업이 3대 7 비율로 쪼개어 사라지는 형국이나 삼성그룹의 모태기업인 만큼 패션 사업부분이 삼성에버랜드에 양도되면서 존속법인이 되어 삼성그룹 순환출자구조의 정점이자 사실상의 지주회사가 될 것으로 보인다.(이 부분 확정되면 정리바람) 대구 칠성동<ref>현재에도 제일모직 공장터는 남아 있는데 대구 오페라하우스 및 [[홈플러스]] 1호점인 대구 칠성점을 포함한 부지가 모두 제일모직 대구공장터였다. 칠성동과 침산동 일대 10만제곱미터 규모. 제일모직이나 삼성입장에서는 그 금싸라기 자리에 아파트를 짖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으나 대구 지역 여론(대구가 삼성을 키워줬는데 삼성 상용차 이후로 대구에 삼성관련 기업이 하나도 없고 지역에 무심하다)으로 인해 여론을 살피며 간(대구 오페라 하우스 건립 기부 등)만 보고 있다. 사실 상업시설 개발안이 십수년간 있었으나 대구의 경기문제 등 복합적인 문제가 있다.</ref>에 첫공장인 대구공장을 건립하였고 이 곳을 기반으로 일모축구단이 활동하였다.   
      24번째 줄: 24번째 줄:  
* 2003년 8월 7일 대구오페라하우스 완공, 기증
 
* 2003년 8월 7일 대구오페라하우스 완공, 기증
 
* 2013년 9월 23일 제일모직 의류패션사업 부분 1조 500억에 에버랜드로 양도 발표<ref>[http://media.daum.net/economic/others/newsview?newsid=20130923100413772 제일모직, 패션사업 에버랜드에 넘겨..소재사업 주력] -[[연합뉴스]], 2013년 9월 23일- </ref>
 
* 2013년 9월 23일 제일모직 의류패션사업 부분 1조 500억에 에버랜드로 양도 발표<ref>[http://media.daum.net/economic/others/newsview?newsid=20130923100413772 제일모직, 패션사업 에버랜드에 넘겨..소재사업 주력] -[[연합뉴스]], 2013년 9월 23일- </ref>
 
+
* 2014년 3월 31일 제일모직 전자소재사업 부분을 삼성 SDI와 1대 0.4425의 비율로 흡수 합병 발표.
    
=== 사업 분야 ===
 
=== 사업 분야 ===
70번째 줄: 70번째 줄:  
[[분류:해체된 축구단]]
 
[[분류:해체된 축구단]]
 
[[분류:삼성]]
 
[[분류:삼성]]
[[분류:대구광역시]]
+
[[분류:대구]]

편집

4,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