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편집 요약 없음
:{{연맹선수기록|ID=1997081}}
:{{연맹선수기록|ID=1997081}}
{{col-end}}
{{col-end}}
== 지도자 프로필 ==
== 지도자 프로필 ==
| 2013년 || [[성남 일화 천마]] 감독
| 2013년 || [[성남 일화 천마]] 감독
|}
|}
* K리그 감독 기록
* K리그 감독 기록
|}
|}
:[[K리그]] 통산기록은 [[리그컵]]기록 포함. 2014년 1월 1일 기준
:[[K리그]] 통산기록은 [[리그컵]]기록 포함. 2014년 1월 1일 기준
== 유소년 시절 ==
== 유소년 시절 ==
== 지도자 시절 ==
== 지도자 시절 ==
1999년 친정팀 [[천안 일화 천마]]의 코치로 지도자 생활을 시작한 안익수는 2005년까지 코치생활을 지속했고, 많은 선수들을 발굴해냈다.<ref> 대표적인 예로 [[장학영]], [[김철호]], [[박우현]] 등이 있다. 장학영은 연습생에서 국가대표급 수비수로, 박우현등은 2군에만 머물며 방황하던 선수에게 재기의지를 불어넣어 1군 주전선수로 키워냈다. 당연히도 위에 열거한 선수들 모두 안익수 감독을 가장 존경한다고. <del>학영 오빠랑 철호 오빠 제대하고 부산으로 와주세요</del><del>학영오빠는 부산갔는데 익수오빠가 다시 성남왓어요</del></ref> 이후 영국유학을 준비하다가 당시 대교 감독이었던 [[최추경]] 감독의 부탁을 받고 고양대교의 코치로 부임하였고, 이듬해 최 감독이 세상을 떠나면서, 고양 대교의 감독으로 부임하며 고양대교의 전성기의 토대를 다졌다. 이후 2007년부터 2009년까지 대한민국 여자 국가대표 축구팀 감독으로 있던 안익수 감독은 2010년 [[FC GS]]의 수석코치로 부임하였고, 2010년 [[FC GS]]의 K리그 첫 우승을 이끌었다. 동년 11월 [[부산 아이파크]] 감독으로 내정된 뒤 2011년 부산을 지휘하며 부산축구의 부활을 이끌었던바 있다. 2011시즌 6위, 12시즌 7위를 기록하며 부산을 중상위권 궤도로 올린듯 했는데.. 2012년 12월 뜬금없이 [[성남 일화 천마]] 감독으로 부임해 부산팬들을 충격으로 몰아넣었다.<ref>아직 부산과의 계약기간이 2년이나 남은 상황에서, 성남으로 가버린 셈이라 신의를 무엇보다 강조하던 안 감독 스스로 신의를 저버린 행동을 해서 부산팬들의 충격이 크다. 여기다 부산 구단주인 [[정몽규]] 선에서 안감독의 성남행이 허락된 것으로 밝혀져 더욱 부산팬들의 황당함은 커져가는 상황이다.</ref><ref>정몽규구단주와의 사이가 갈때까지 갔다 할만큼 멀어진 상태였다고도 한다.</ref>
1999년 친정팀 [[천안 일화 천마]]의 코치로 지도자 생활을 시작한 안익수는 2005년까지 코치생활을 지속했고, 많은 선수들을 발굴해냈다.<ref> 대표적인 예로 [[장학영]], [[김철호]], [[박우현]] 등이 있다. 장학영은 연습생에서 국가대표급 수비수로, 박우현등은 2군에만 머물며 방황하던 선수에게 재기의지를 불어넣어 1군 주전선수로 키워냈다. 당연히도 위에 열거한 선수들 모두 안익수 감독을 가장 존경한다고. <del>학영 오빠랑 철호 오빠 제대하고 부산으로 와주세요</del><del>학영오빠는 부산갔는데 익수오빠가 다시 성남왓어요</del></ref> 이후 영국 유학을 준비하다가 당시 대교 감독이었던 [[최추경]] 감독의 부탁을 받고 고양대교의 코치로 부임하였고, 이듬해 최 감독이 세상을 떠나면서, 고양 대교의 감독으로 부임하며 고양대교의 전성기의 토대를 다졌다. 이후 2007년부터 2009년까지 대한민국 여자 국가대표 축구팀 감독으로 있던 안익수 감독은 2010년 [[FC GS]]의 수석코치로 부임하였고, 2010년 [[FC GS]]의 K리그 첫 우승을 이끌었다. 동년 11월 [[부산 아이파크]] 감독으로 내정된 뒤 2011년 부산을 지휘하며 부산축구의 부활을 이끌었던바 있다. 2011시즌 6위, 12시즌 7위를 기록하며 부산을 중상위권 궤도로 올린듯 했는데.. 2012년 12월 뜬금없이 [[성남 일화 천마]] 감독으로 부임해 부산팬들을 충격으로 몰아넣었다.<ref>아직 부산과의 계약기간이 2년이나 남은 상황에서, 성남으로 가버린 셈이라 신의를 무엇보다 강조하던 안 감독 스스로 신의를 저버린 행동을 해서 부산팬들의 충격이 크다. 여기다 부산 구단주인 [[정몽규]] 선에서 안감독의 성남행이 허락된 것으로 밝혀져 더욱 부산팬들의 황당함은 커져가는 상황이다.</ref><ref>정몽규 구단주와의 사이가 안 좋았다는 카더라가 있다.</ref>
2013년 성남 일화 천마에도 질식수비를 도입하며, 한때 전북, 울산, 서울을 연파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 뒤엔 팀이 이렇다 할 성적을 내지 못했고, 대전이나 전남, 대구 같은 하위권 팀에 고전을 면치 못해 하위 스플릿으로 떨어졌다. 어찌어찌 8위이자 하위 스플릿 선두로 시즌을 마감할 무렵, 축구단이 통일그룹에서 성남시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스승이자 대선배인 박종환이 발탁되면서 당시 잉글랜드에서 지도자 연수중이던 안 감독은 자동 해촉되었다.<ref>http://news.donga.com/3/all/20131226/59810097/1</ref>
2013년 성남 일화 천마에도 질식수비를 도입하며, 한때 전북, 울산, 서울을 연파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 뒤엔 팀이 이렇다 할 성적을 내지 못했고, 대전이나 전남, 대구 같은 하위권 팀에 고전을 면치 못해 하위 스플릿으로 떨어졌다. 어찌어찌 8위이자 하위 스플릿 선두로 시즌을 마감할 무렵, 축구단이 통일그룹에서 성남시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자신의 스승이자 대선배인 [[박종환]]이 성남 FC 감독으로 발탁되면서 당시 잉글랜드에서 지도자 연수중이던 안 감독은 자동 해임되고 말았다.<ref>[http://news.donga.com/3/all/20131226/59810097/1]</ref>
== 에피소드 ==
== 에피소드 ==
* 수비수로서 프로 통산 200경기 이상 출장하면서도 퇴장은 단 한번밖에 기록하지 않았다. 본인은 "축구를 늦게 시작했기 때문에 사람을 해하는 플레이보단 기술적인 플레이를 중시했다"라고 당시를 회고했다. 지도자 생활을 하면서도 기술 좋은 수비수들을 많이 키워냈다.
* 수비수로서 프로 통산 200경기 이상 출장하면서도 퇴장은 단 한번밖에 기록하지 않았다. 본인은 "축구를 늦게 시작했기 때문에 사람을 해하는 플레이보단 기술적인 플레이를 중시했다"라고 당시를 회고했다. 지도자 생활을 하면서도 기술 좋은 수비수들을 많이 키워냈다.
* 지도자 커리어중 가장 유명한 일화는 GS 수석코치 시절 멘탈레기인 선수들의 정신상태를 모조리 뜯어고친 일화이다. <ref> 대표적인 예로 [[김진규]] </ref> 5년간 그 어떤 코치는 물론이고 감독들도 해내지 못한 것을 반년만에 이루어냈다. <ref>하지만 감독이 된 이후로는 얄짤없다 맘에 안들면 다 아웃 <<김성환>>이 대표적인 예. 지각 한번으로 이적당했다. 코치시절에 부각되던 선수들을 갱생시키던 열혈선생다운 모습을 감독이 된 후로는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ref>
* 지도자 커리어중 가장 유명한 일화는 GS 수석코치 시절 멘탈레기인 선수들의 정신상태를 모조리 뜯어고친 일화이다. <ref> 대표적인 예로 [[김진규]] </ref> 5년간 그 어떤 코치는 물론이고 감독들도 해내지 못한 것을 반년만에 이루어냈다. <ref>하지만 감독이 된 이후로는 얄짤없다. 맘에 안들면 다 아웃 [[김성환]]이 대표적인 예. 지각 한번으로 이적당했다.</ref>
* 여자축구의 발전을 위해서도 헌신하였다. 여자 클럽팀 최초로 클럽하우스를 건립하는데 이바지하였으며, 선수들의 미래를 위해 영어교육을 의무화 하였다. 게다가 일화 시절 동료였던 [[신의손]]을 골키퍼 코치로 선임하는 등<ref>참고로 이 신의손 코치의 임명이 한국축구 역사상 첫번째 '''前 [[K리그 외국인선수]]의 한국축구 지도자 임명''' 사례이다.</ref> 여자 축구클럽의 선진화에 기여하였다.
* 여자축구의 발전을 위해서도 헌신하였다. 여자 클럽팀 최초로 클럽하우스를 건립하는데 이바지하였으며, 선수들의 미래를 위해 영어교육을 의무화 하였다. 게다가 일화 시절 동료였던 [[신의손]]을 골키퍼 코치로 선임하는 등<ref>참고로 이 신의손 코치의 임명이 한국축구 역사상 첫번째 '''前 [[K리그 외국인선수]]의 한국축구 지도자 임명''' 사례이다.</ref> 여자 축구클럽의 선진화에 기여하였다.
* '공부하는 지도자'로도 알려져 있다. 국내 최상위 지도자 자격증인 P라이선스를 가졌고, 명지대 박사과정을 밟았다. 박사논문은 "'''[[K-리그]]와 [[EPL]]을 통한 실제경기시간과 경기외시간에 나타나는 축구경기력 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 '공부하는 지도자'로도 알려져 있다. 국내 최상위 지도자 자격증인 P라이선스를 가졌고, 명지대 박사과정을 밟았다. 박사논문은 "'''[[K-리그]]와 [[EPL]]을 통한 실제 경기 시간과 경기 외 시간에 나타나는 축구경기력 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분류:일화 천마의 선수]]
[[분류:일화 천마의 선수]]
[[분류:포항 스틸러스의 선수]]
[[분류:포항 스틸러스의 선수]]
[[분류:지도자]]
[[분류:천안 일화 천마의 지도자]]
[[분류:성남 일화 천마의 지도자]]
[[분류:대한민국 국가대표팀의 지도자]]
[[분류:부산 아이파크의 지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