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60 바이트 추가됨
, 2014년 7월 10일 (목) 13:31
[[File:선수시절허정무.JPG|300픽셀|섬네일|1986년 멕시코 월드컵 본선진출을 결정짓는 골을 성공시킨 허정무]]
'''허정무'''(許丁茂, 1955년 1월 13일 ~ )는 [[대한민국]] 국적의 축구선수이자 축구인이다
= 프로필 =
== 선수 프로필 ==
{{col-begin}}
{{col-3}}
* 이름 : '''허정무'''
* [[K-리그 등록명|등록명]] : 허정무
* 출생일 : 1955년 1월 13일
* 국적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 유스클럽 : [[연세대학교]] 졸업
* 신체 : 176cm / 74kg (선수 시절)
* 국가대표 경력
: 1976년 ~ 1986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
: [[1984년 AFC 아시안컵]] 본선 대표
: [[1986년 FIFA 월드컵]] 본선 대표
: '''(통산 A매치 84경기 출장 25골)'''
* 수상 경력
: 1979년 [[체육훈장]] 백마장
: 1984년 [[K리그 시즌 베스트 11]] 수상
: 1986년 [[체육훈장]] 거상장
* 포지션 : [[하프백]]
* 현 소속팀 : 선수 생활 은퇴
* [[등번호]] : -
{{col-3}}
* K리그 기록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style="background:#C0C0C0"
!소속팀 !! 연도 !! 출장 !! 교체 !! 득점 !! 도움 !! 경고 !! 퇴장 !! 자책
|-
|rowspan=3| [[현대 호랑이]] || 1984 ||23 ||3|| 3||2 ||3||0||0
|-
| 1985 ||5 ||0|| 1||0 ||0||0||0
|-
| 1986 ||11 ||2|| 1||3 ||1||0||0
|-
! 통산 ([[K리그]]) || - ||39 ||5|| 5||5||4||0||0
|}
:[[K리그]] 통산기록은 [[리그컵]]기록 포함. 2012년 1월 1일 기준.
{{col-end}}
== 지도자 프로필 ==
{{col-begin}}
{{col-3}}
* 지도자 경력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style="background:#C0C0C0"
! 연도 !! 소속팀 !! 직책
|-
| 1989 ~ 1990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트레이너
|-
| 1991 ~ 1992 ||rowspan=2| [[포항제철 아톰즈]] ||코치
|-
| 1993 ~ 1995 || 감독
|-
| 1993 ~ 1994 || rowspan="2"|[[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코치
|-
| 1995 || rowspan="3"| 감독
|-
| 1995 ~ 1998 || [[전남 드래곤즈]]
|-
| 1998 ~ 2000 || rowspan=2|[[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 2004 || 코치
|-
| 2005 ~ 2007 || [[전남 드래곤즈]] ||rowspan=3|감독
|-
| 2007 ~ 2010.8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 2010.9 ~ 2012.4|| [[인천 유나이티드]]
|}
* 주요 기록
: '''한국인 감독 최초 [[FIFA 월드컵]] 16강 진출 감독 (2010년)'''
: 대한민국 FA컵 우승 3회 (1997년, 2006년, 2007년)
: [[1997년 FA컵]] 지도자상 수상
: [[2006년 FA컵]] 최우수 지도자상 수상
: 2007년 제21회 스포츠서울 올해의 프로축구 대상 올해의 감독상 수상
{{col-3}}
* K리그 감독 기록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style="background:#C0C0C0"
!소속팀 !! 연도 !! 승 !! 무 !! 패 !! 리그 순위 !! 컵대회 !! FA컵
|-
| rowspan=3|[[포항제철 아톰즈]] || 1993 || 12|| 14 || 9 || 4위 || bgcolor=gold|'''우승''' || -
|-
| 1994 || 14|| 13 || 9 || 3위 || 7위 || -
|-
| 1995 || 16|| 13 || 6 || bgcolor=silver|'''준우승'''|| 7위 || -
|-
|rowspan=8| [[전남 드래곤즈]] || 1996 || 9|| 9 || 12 || 6위 || 9위 || -
|-
|rowspan="2"| 1997 ||rowspan="2"| 17||rowspan="2"| 15 ||rowspan="2"| 4 ||rowspan="2" bgcolor="silver"|'''준우승''' || bgcolor=silver|'''준우승'''<br/>(아디다스컵) ||rowspan="2" bgcolor="gold"|'''우승'''
|-
| 3위<br/>(프로스펙스컵)
|-
|rowspan="2"| 1998 ||rowspan="2"| 13||rowspan="2"| 5 ||rowspan="2"| 17 || rowspan="2"|4위 || 조별예선<br/>(아디다스컵) || rowspan="2"| -
|-
| 10위<br/>(필립모리스컵)
|-
| 2005 || 10|| 11 || 15 || 10위 || 9위 || -
|-
| 2006 || 13|| 15 || 11 || 6위 || 7위 || bgcolor=gold|'''우승'''
|-
| 2007 || 7|| 9 || 11 || 10위 || 5위 || bgcolor=gold|'''우승'''
|-
| rowspan=3|[[인천 유나이티드]]|| 2010<ref>2010년 9월 부임</ref> || 2|| 6 || 3 || 11위 || - || -
|-
| 2011 || 7|| 16 || 12 || 13위 || 조별예선 || -
|-
| 2012<ref>2012년 4월 사퇴</ref> || 1|| 1 || 4 || - || - || -
|-
! 통산 (K리그) || - || 121 || 127|| 113 || colspan=3|K리그 준우승 2회, FA컵 우승 3회
|}
{{col-end}}
= 선수 생활 =
== 유소년 생활 ==
전남 진도군 출신으로 중동중학교, [[영등포공고]]와 [[연세대학교]]를 졸업하였다. 허정무 씨가 축구를 하게된 계기가 제법 독특한편. 허정무 씨의 삼촌되시는 허윤정 씨는 당대를 대표하는 국가대표 축구 선수로, 한국 축구역사상 최초로 홍콩 세미프로팀과 입단계약을 체결하였던바 있다. 이 때 허윤정 씨는 홍콩 축구팀 진출을 기념해 자신의 고향인 진도에서 시범경기를 치루기로 하였는데, 이 때 허윤정 씨의 시범경기에 앞서 오픈게임으로 진도 어린이들의 축구경기가 펼쳐졌고 이 경기에서 허정무 씨가 발군의 활약을 보였다고. 이 때 허정무를 주목한 서울 중동중학교 축구부가 허씨를 스카우트 하여 축구 선수 생활을 시작하였다고 한다. 영등포공고 시절부터 [[최종덕]], [[조광래]] 등과 함께 무서운 새내기로 주목을 받았던바 있으며, 연세대학교 재학시절부터 뛰어난 기량을 지녀 국가대표로 선발되었다.
== 프로 생활 ==
1978년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실업 축구단이었던 [[한국전력 축구단]]의 제의를 받아 입단하게 되었지만, 군 문제로 인해 곧바로 [[해병대]]에 입대하여 군복무를 수행하였다. 이후 [[차범근]]이 1979년 [[독일 분데스리가]]의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에 입단하여 활약하자 이에 자극을 받아 유럽진출을 고심하였고,<ref>차붐의 활약 이후 유럽 진출을 타진한건 허정무 선수뿐만이 아니었다. 실제로 허정무 외 [[김진국]] 등 대 여섯명의 선수들이 유럽진출에는 성공했지만 정착에 성공한건 차범근과 허정무 둘 뿐이었다..</ref> 원 소속팀인 한국전력 측의 배려로 1980년 7월 [[네덜란드 에레디비시]]의 [[PSV 에인트호번]]에 파격적인 대우를 받고 입단하였다. 당시에도 네덜란드 정상급 팀이었던 PSV에서 허선수는 반년 정도 교체 멤버로 뛰다가 이후부터 수비형 미드필더를 맡아 주전 선수로 활약하는 모습을 보였고, 3시즌 동안 77경기에서 15골을 넣고 1982/83시즌 팀의 리그 준우승에 기여하는 등 좋은 활약을 펼쳤다. 그러다 1983년 집안 사정과 함께 국가대표 팀 문제로 인해 83년 [[대통령배국제축구대회]] 참가를 마지막으로 PSV를 떠나 국내로 복귀하게 되었다. 그리고 1984년 [[현대 호랑이]]의 창단 멤버로 입단하며 화제를 모았으며, 현대에서 3년간 생활 후 [[1986년 FIFA 월드컵]] 본선 대회 참가와 86시즌을 마무리하고 선수 생활에서 은퇴하였다.
== 국가대표 생활 ==
1974년부터 1986년까지 국가대표 선수로 출전하였다. 다재다능한 플레이로 매번 대표팀에 선발되었고 특히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예선에서는 월드컵 진출을 결정짓는 골을 성공시키면서 32년만의 월드컵 진출의 쾌거를 이루기도 했다. 이후 본선 1차전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전에서는 [[디에고 마라도나]]를 끈질기게 마크하였다.<ref>이 때 허선수가 마라도나를 발로 걷어차는 사진이 찍히면서 한국축구는 '태권축구' 자학적인 반응이 30년 가까이 지속되었다. 훗날 허정무 감독과의 인터뷰에 따르면 그 때 마라도나를 걷어차려던게 아니라 볼을 걷어내기위해 발을 들었는데 마라도나가 달려들어서 충돌했던게 절묘하게 사진에 찍혔던거라고 한다.</ref> 또한 본선 3차전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전에서는 문전 앞에서 침착한 슈팅으로 득점을 기록하기도 했지만, 아쉽게도 본선 조별예선 탈락의 고배를 마셔야했다.. 이후 86년 월드컵을 끝으로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한다. [[A매치]] 통산 84경기에서 25골을 넣었다.
= 지도자 생활 =
== 2000년 이전 ==
선수 생활 정리 후 한동안 해설자, 방송진행자, 사업가(!)<ref>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허정무 씨는 은퇴 후 '조양플라스틱' 이라는 공장을 차리고 전 소속팀이었던 현대의 지원 속에 사업을 시작하였던바 있다. 상당히 벌이가 좋았던 편이었는데, 후에 화재로 공장이 전소하면서 사업을 잠시 접었다가 현재는 허정무 씨의 부인이 되시는 최미나 씨의 주도 아래 향수수입회사를 설립, 운영 중에 있다.</ref> 로 활동하며 축구 지도자 생활을 시작하지 않았던 허정무 씨는 1990년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트레이너로 임명된데 이어, [[1991년]]부터 [[포항제철 아톰즈]]에 코치로 입단하며 본격적으로 지도자 생활을 걷게된다.<ref>당시 허정무 씨를 코치로 데려오기 위해 포철이 들인 돈은 계약금만 5천만원에 연봉 3천2백만원이었다. 당시 K리그 주전급들 월급이 150만원이던 시절이었음을 생각해보면 엄청난 호조건이었던 셈.</ref> 이후 [[1993년]] [[포항제철 아톰즈]] 감독으로 승격하였으며, 같은해 [[아디다스컵]] 우승컵을 들어올리며 감독으로서 성공적인 출발을 알렸다. [[1995년]] 시즌 도중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 감독에 선임되었지만, 그 해 다시 [[K리그]]로 복귀하여 [[전남 드래곤즈]] 감독으로 취임하였다. [[1997년]] 팀의 [[K리그]] 준우승과 [[FA컵]] 우승을 이끌었고, 그 능력을 인정받아 [[1998년]] 시즌 도중에 [[1998년 FIFA 월드컵]] 도중 경질된 [[차범근]] 감독의 후임으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에 선임되었고, [[2000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도 함께 맡게 되었다.
그러나 [[2000년 하계 올림픽]]에서 2승 1패를 올리고도 첫 경기였던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전을 0 : 3으로 패한데 따른 후유증 (골득실차)으로 인해 8강 진출에 실패하고, [[레바논]]에서 열린 [[2000년 AFC 아시안컵]]에서는 준결승전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사우디 아라비아]]에 패배해 3위에 머무르면서 [[2000년]] 10월 감독직을 사퇴하였다. 이후 후임으로 [[거스 히딩크]] 감독이 취임하면서 7년여에 걸쳐 외국인 감독 체제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허정무 감독이 팬들의 비난을 무릅쓰고 발탁했던 [[박지성]], [[이영표]], [[설기현]] 등은 세계적으로 성장하였고, 특히 [[2000년 하계 올림픽]]에서 얻은 2승 1패라는 성적은 역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이 얻은 승점 중에 가장 높은 점수라는 데 의의가 있다.
== 2000년 이후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 사퇴 이후 [[2002년 FIFA 월드컵]]에 대비해 [[대한축구협회]] 기술 고문을 맡았다. 그 뒤 [[2004년]]에 [[대한축구협회]] 기술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았고, 그 해 6월에 [[요하네스 본프레러]] 감독이 취임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 수석코치로 선임되었다. 예전에 지휘봉을 잡았던 [[전남 드래곤즈]] 감독에 다시 취임하여 7년 만에 복귀하였다. [[2006년]] [[8월 30일]] [[K-리그]] 통산 9번째로 개인 통산 100승을 달성하였으며, [[2006년]]과 [[2007년]] 팀의 [[FA컵 (대한민국)|FA컵]] 2연패를 이끌었고, [[2006년]] [[FA컵 (대한민국)|FA컵]] 당시에는 '최우수 감독'으로 선정되었다. 그 능력을 인정받아 [[핌 페르베이크]] 감독의 후임으로 2007년 12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에 다시 선임되어 [[거스 히딩크]] 이후 [[움베르투 코엘류]]와 [[요하네스 본프레레]], [[딕 아드보카트]]와 [[핌 베어백]]으로 이어지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7년여에 걸쳐 외국인 사령탑 시대에 종지부를 찍게 되었다.
== 2010년 월드컵 ==
== 인천 유나이티드 ==
2010년 8월 22일, [[인천 유나이티드]]의 감독직을 맡게 되었다. 2010년 9월 4일 부로 [[인천 유나이티드]]의 감독으로서 첫 경기를 치루었으며, [[부산 아이파크]]와의 데뷔전에서 무승부를 기록하였으며 두번째 경기인 [[광주 상무]]와의 경기에서마저 후반 45분에 동점골을 먹히면서 무승부로 끝이 났다. 다만 3번째 경기인 [[대구 FC]]와의 22라운드 경기에서 4-1로 완승하며 인천에서의 첫 승을 거두는 데 성공했다. 23라운드 [[FC GS]]전에서는 0-2로 무너지며 인천 부임후 첫 패배를 당했다. 2011시즌은 6승 14무 10패로 13위를 기록하였다. 2012 시즌에는 리그 8위에 들어가지 못하면 감독을 그만두겠다고 공언하였다. 2012시즌을 앞두고, 유니폼 발표회가 있었는데 전통적인 청색-검은색 조합을 버린 것에 대해,
{{인용문2|세계적인 팀들도 유니폼이 많이 바뀐다. '''파란색을 전통이라고 해야할지 모르겠다.''' 유니폼을 결정하면서 파란색이 인천시의 색이라고 해서 그 색상을 바탕으로 하고 나머지는 디자인에 맡겼다.<ref>관련기사 링크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697083</ref>}}
라고 발언하여 논란이 되기도 하였다. 물론 유니폼 변경에 대해 감독의 발언이 어느 정도 위치를 점할 수는 있으나 팬들의 의견을 수렴하지도 않은 채, 자기 의견을 내세우며 팬들 위에 군림하려는 감독의 모습이 썩 좋게 비추어지지 않는다. 특히 파란색을 전통이라 해야할지 모르겠다는 말은 팬들의 의견과 인천 고유의 정체성에 대한 무지의 소치라고 밖에.. 결국, 불안불안하게 2012시즌을 출발한 허정무호는 성적도 1승 1무 4패로 급전직하하며, 모든 인천 팬들의 신임을 잃게되었고, 결국 허정무는 2012년 4월 10일부로 자진 사퇴를 결정하였다.
= 에피소드 =
* 1960년대 [[석탄공사]]와 [[양지축구단]]에서 활약하였던 전직 국가대표 선수 [[허윤정]] 씨가 허정무 씨의 삼촌이다. 허정무 씨가 영등포공고에서 처음 청소년대표에 발탁될 때만 해도 허윤정 삼촌의 후광 덕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더러 있었으나, 결국은 허정무 선수가 삼촌을 뛰어넘는 더 훌륭한 선수로 성장하였다.
* [[2001년]] 초 [[KBS]]의 축구 해설 위원으로 데뷔하였다. 그리고 이듬해 [[2002년]] 월드컵 때 [[KBS]]의 주요 경기 해설을 맡았다.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부터 현재까지 [[MBC]] 축구 해설 위원을 맡고 있다.
* [[2005년]], [[전라남도]]의 명예 홍보대사로 위촉되었다.
* 2012년, 인천 유나이티드에 2002년 월드컵의 영웅인 [[김남일]], [[설기현]]이 입단하면서 "허정무 감독과의 의리를 저버릴 수 없었다"며 보은의 의지를 보인 바 있다. 여기에 호주 유망주 [[네이선 번즈]] 역시 "인천에 입단한 이유는 맨유, 토트넘 등에 진출한 선수를 발굴해 냈고 월드컵 16강에 한국을 진출시킨 감독이 인천에 있기 때문에 왔다" 라며 호주 언론에까지 인터뷰 하면서 새삼 허정무 감독의 인맥과 명성을 다시 보게 되었다고. 혹자는 "이러다가 '바둑 두다 뽑았다'며 엄청나게 욕먹었던 [[박지성]]도 인천에 오는거 아니냐" 하는 말도 하고 있다.하지만, 허정무 감독이 물러나면서 허정무 감독을 보고 인천으로 온 선수들의 거취가 주목되고 있다.
= 경력 =
== 선수 경력 ==
* 1978 : [[한국전력 축구단]] / 실업
* 1978 ~ 1980 : [[해군 축구단]] / [[해병대]] 복무
* 1980 ~ 1983 : [[PSV 에인트호번]] / 네덜란드 1부리그
* 1984 ~ 1986 : [[현대 호랑이]] / K리그
== 지도자 경력 ==
* 1989 ~ 1990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트레이너
* 1991 ~ 1992 : [[포항 제철 아톰즈]] 코치
* 1993 : [[현대 호랑이]] 코치
* 1993 ~ 1995 : [[포항 아톰즈]] 감독
* 1993 ~ 1994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코치
* 1995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1995 ~ 1998 : [[전남 드래곤즈]] 감독
* 1998 ~ 2000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2004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코치
* 2005 ~ 2007 : [[전남 드래곤즈]] 감독
* 2007 ~ 2010.8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2010.9 ~ 현재 [[인천 유나이티드]] 감독
== 축구 해설 경력 ==
* [[2002년]] 2002년 한일월드컵 KBS해설위원
* [[2010년]]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 MBC해설위원
= 수상 이력 =
== 선수 ==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
* [[1979년]] [[체육훈장]] 백마장
* [[1984년]] [[K리그]] 베스트 11 선정
* [[1986년]] [[체육훈장]] 거상장
* [[울산 현대 호랑이|현대 호랑이]] : [[프로선수권대회 1986]] 우승 1회 (1986년)
=== {{국기그림|네덜란드}} '''네덜란드''' ===
* [[PSV 에인트호번]] : [[에레디비시]] 준우승 1회 (1982-83 시즌)
== 감독 ==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
* [[1997년]] 프로축구 빅스포상 수상
* 1997년 [[FA컵 (대한민국)|FA컵]] 지도자상 수상
* [[1999년]] [[아시아 축구 연맹|AFC]] 선정 2월의 감독
* [[2006년]] [[FA컵 (대한민국)|FA컵]] 최우수 지도자상 수상
* [[2007년]] 제21회 [[스포츠서울]] 올해의 프로축구 대상 올해의 감독상 수상
* [[포항 스틸러스|포항 아톰즈]]
: [[아디다스 컵]] 우승 1회 (1993년)
* [[전남 드래곤즈]]
: [[K리그]] 준우승 1회 (1997년)
: [[FA컵 (대한민국)|FA컵]] 우승 3회 (1997년, [[대한민국 FA컵 2006|2006년]], [[대한민국 FA컵 2007|2007년]])
: [[아디다스 컵]] 준우승 1회 (1997년)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AFC 아시안컵]] 3위 1회 ([[2000년 AFC 아시안컵|2000년]])
: [[동아시아컵]] 우승 1회 ([[2008년 동아시아컵|2008년]]), 준우승 1회 ([[2010년 동아시아컵|2010년]])
: [[FIFA 월드컵]] 16강 ([[2010년 FIFA 월드컵|2010년]])
= 같이 보기 =
* [[허정무컵]]
* [[무재배]]
= 외부 링크 =
= 참고 =
<references/>
{{위키백과}}
{{K리그 1984 베스트 일레븐}}
[[분류:1955년생]][[분류:영등포공고의 선수]][[분류:연세대학교의 선수]][[분류:한국수력원자력 축구단의 선수]][[분류:해외진출 선수]][[분류:현대 호랑이의 선수]][[분류:전설적인 선수]][[분류:지도자]][[분류:축구 패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