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16 바이트 추가됨 ,  2014년 11월 3일 (월) 00:49
8번째 줄: 8번째 줄:     
== 한국합판 축구단 ==
 
== 한국합판 축구단 ==
1969년 8월 창단하여<ref>1970년 3월에 창단해 해체했다는 언론기사가 있지만 월간축구 1970년 7월호에 1968년 8월 창단으로 나와있다.1969년 제17회 대통령배 쟁탈 전국 축구대회에 출전한 이력이 있고 1970년 6월에 열린 18회 대통령배 쟁탈 전국축구대회에서 한국합판을 창단 10개월밖에 안됐다고 소개된만큼 이 쪽이 더 신빙성이 있다.</ref> 꾸준히 실업축구연맹의 대회에 참여했다. 68년 군산시내에서 직장인 축구대회가 열렸고 이를 계기로 실업팀까지 창단하게 된다. 선수들은 8시부터 근무하여 12시에 업무를 마치고 2시부터 5시까지 연습을 하는게 일과였다. 축구팀에 별도로 지원되는 예산이 없어서 사내매점 이익금으로 축구단 운영비를 충당했다.  1972년 초 유이한 지방팀인 [[제일모직]] 축구단이 해체했다는 소식을 접하자 그해 3월 30일 해체되었다. 국가대표를 지낸 유명한 축구선수도 없었고 호남지역 최초의 실업팀이라는 의미만 있다.
+
1969년 8월 창단하여<ref>1970년 3월에 창단해 해체했다는 언론기사가 있지만 월간축구 1970년 7월호에 1969년 8월 창단으로 나와있다.1969년 제17회 대통령배 쟁탈 전국 축구대회에 출전한 이력이 있고 1970년 6월에 열린 18회 대통령배 쟁탈 전국축구대회에서 한국합판을 창단 10개월밖에 안됐다고 소개된만큼 이 쪽이 더 신빙성이 있다.</ref> 꾸준히 실업축구연맹의 대회에 참여했다. 68년 군산시내에서 직장인 축구대회가 열렸고 우승하면서 이를 계기로 실업팀까지 창단하게 된다. 선수들은 8시부터 근무하여 12시에 업무를 마치고 2시부터 5시까지 연습을 하는게 일과였다. 축구팀에 별도로 지원되는 예산이 없어서 사내매점 이익금으로 축구단 운영비를 충당했다.  1972년 초 유이한 지방팀인 [[제일모직]] 축구단이 해체했다는 소식을 접하자 그해 3월 30일 해체되었다. 국가대표를 지낸 유명한 축구선수도 없었고 호남지역 최초의 실업팀이라는 의미만 있다.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rollbacks, 관리자

편집

9,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