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번째 줄: |
13번째 줄: |
| | 운영법인 = 바크리 그룹 | | | 운영법인 = 바크리 그룹 |
| | 구단주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크리스 퐁 | | | 구단주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크리스 퐁 |
− | | 감독 = {{국기그림|네덜란드}} [[프란스 타이선]] | + | | 감독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존 알로이시]] |
| | 소속리그 = [[A리그]] | | | 소속리그 = [[A리그]] |
| | 연고지 = [[퀸즐랜드 주]] [[브리즈번]] | | | 연고지 = [[퀸즐랜드 주]] [[브리즈번]] |
| | 홈페이지 = [http://www.brisbaneroar.com.au brisbaneroar.com.au] | | | 홈페이지 = [http://www.brisbaneroar.com.au brisbaneroar.com.au] |
− | | 현재시즌 = [[브리즈번 로어 2014-2015]] | + | | 현재시즌 = [[브리즈번 로어 2015-2016]] |
| }} | | }} |
| '''브리즈번 로어''' (Brisbane Roar)는 2005/06시즌부터 [[A-리그]]에 참가하고 있는 [[오스트레일리아]]의 프로 축구 클럽이다. 홈 경기장으로는 [[퀸즐랜드 주]] [[브리즈번]]에 위치한 [[브리즈번 스타디움]]을 사용하며, [[센트럴 코스트 마리너스]]와 경쟁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 | '''브리즈번 로어''' (Brisbane Roar)는 2005/06시즌부터 [[A-리그]]에 참가하고 있는 [[오스트레일리아]]의 프로 축구 클럽이다. 홈 경기장으로는 [[퀸즐랜드 주]] [[브리즈번]]에 위치한 [[브리즈번 스타디움]]을 사용하며, [[센트럴 코스트 마리너스]]와 경쟁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
42번째 줄: |
42번째 줄: |
| 그들은 초창기에는 힘겨운 싸움을 이어나가야 했다. 비록 오스트레일리아 내에서 세 번째로 많은 인구가 살고 있다고는 하지만, 기존에 시장과 [[유스 풀]]을 차지하고 있던 럭비에 밀려 그렇게 좋은 성적을 내지 못한 것. 하지만 [[프랭크 파리나]] 등 좋은 감독들과 [[크레이그 무어]], [[서혁수]], [[찰리 밀러]]등 해외 리그에서 뛰던 수많은 베테랑들의 영입을 통해 착실히 내실을 다져 나간다. 그러던 09/10시즌을 앞두고 [[사우스 멜버른 FC]]에서 환상적인 시간을 보낸 [[오스트레일리아 U-20 대표팀]] 감독 출신 [[안지 포스테코글루]]를 영입하며 팀이 180도 변화하게 된다. 이미 유소년 육성에 일가견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포스테코글루는 첫 시즌에는 10개 클럽 중 9위를 기록하며 좋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선수단 파악이 완전히 끝난 10/11시즌, 그는 베테랑 골키퍼 [[마이클 테오]]를 영입하고, 기존에 팀의 핵심으로 활약하던 [[매트 맥케이]], [[마시모 머도카]] 등의 선수들에 [[루크 드베어]] 등 탄탄한 유망주 육성을 바탕으로 클럽을 우승으로 이끌게 된다. 10/11시즌 프리미어십과 챔피언십을 석권하며 포효한 로어는 2010년 9월 18일부터 2011년 11월 26일까지 36경기 무패 행진을 기록하며 [[A-리그]]를 넘어 [[오스트레일리아]] 전체 기록을 경신하게 된다. 11/12시즌을 앞두고 인도네시아의 거부 바카리 그룹이 경영 라이센스를 따왔지만 그다지 큰 효과는 보지 못했고, 시즌 중반 [[토마스 브로이히]] 등 많은 주전 선수들의 부상으로 연패에 빠지며 크게 흔들리는 모습을 보였지만 이내 페이스를 바로 잡고 무패 행진을 다시 이어 가면서 2011/12시즌 챔피언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이는 [[A-리그]] 최초로 리그를 2회 연속 우승한 기록으로, 로어는 리그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클럽으로 자리매김하였다. 2012/13시즌, [[안지 포스테코글루]]가 [[멜버른 빅토리]] 감독으로 떠나고, 수석 코치인 [[라도 비도시치]]가 감독직에 올랐으나 선수단 장악과 전술적인 문제로 실패를 겪었고, [[마이크 멀비]] 감독이 새롭게 부임한 뒤 전임 포스테코글루 감독의 강한 압박을 토대로 한 패싱 게임을 되살리는 데 성공, 시즌 내내 상위권을 달리며 다시 한 번 [[더블 크라운]]을 기록하며 건재함을 과시하였다. | | 그들은 초창기에는 힘겨운 싸움을 이어나가야 했다. 비록 오스트레일리아 내에서 세 번째로 많은 인구가 살고 있다고는 하지만, 기존에 시장과 [[유스 풀]]을 차지하고 있던 럭비에 밀려 그렇게 좋은 성적을 내지 못한 것. 하지만 [[프랭크 파리나]] 등 좋은 감독들과 [[크레이그 무어]], [[서혁수]], [[찰리 밀러]]등 해외 리그에서 뛰던 수많은 베테랑들의 영입을 통해 착실히 내실을 다져 나간다. 그러던 09/10시즌을 앞두고 [[사우스 멜버른 FC]]에서 환상적인 시간을 보낸 [[오스트레일리아 U-20 대표팀]] 감독 출신 [[안지 포스테코글루]]를 영입하며 팀이 180도 변화하게 된다. 이미 유소년 육성에 일가견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포스테코글루는 첫 시즌에는 10개 클럽 중 9위를 기록하며 좋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선수단 파악이 완전히 끝난 10/11시즌, 그는 베테랑 골키퍼 [[마이클 테오]]를 영입하고, 기존에 팀의 핵심으로 활약하던 [[매트 맥케이]], [[마시모 머도카]] 등의 선수들에 [[루크 드베어]] 등 탄탄한 유망주 육성을 바탕으로 클럽을 우승으로 이끌게 된다. 10/11시즌 프리미어십과 챔피언십을 석권하며 포효한 로어는 2010년 9월 18일부터 2011년 11월 26일까지 36경기 무패 행진을 기록하며 [[A-리그]]를 넘어 [[오스트레일리아]] 전체 기록을 경신하게 된다. 11/12시즌을 앞두고 인도네시아의 거부 바카리 그룹이 경영 라이센스를 따왔지만 그다지 큰 효과는 보지 못했고, 시즌 중반 [[토마스 브로이히]] 등 많은 주전 선수들의 부상으로 연패에 빠지며 크게 흔들리는 모습을 보였지만 이내 페이스를 바로 잡고 무패 행진을 다시 이어 가면서 2011/12시즌 챔피언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이는 [[A-리그]] 최초로 리그를 2회 연속 우승한 기록으로, 로어는 리그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클럽으로 자리매김하였다. 2012/13시즌, [[안지 포스테코글루]]가 [[멜버른 빅토리]] 감독으로 떠나고, 수석 코치인 [[라도 비도시치]]가 감독직에 올랐으나 선수단 장악과 전술적인 문제로 실패를 겪었고, [[마이크 멀비]] 감독이 새롭게 부임한 뒤 전임 포스테코글루 감독의 강한 압박을 토대로 한 패싱 게임을 되살리는 데 성공, 시즌 내내 상위권을 달리며 다시 한 번 [[더블 크라운]]을 기록하며 건재함을 과시하였다. |
| | | |
− | 2013/14시즌 종료 후 팀의 주포 [[베사르트 베리샤]]가 [[멜버른 빅토리]]로 떠나고, 공수 양면에서 활약하던 [[풀백]] [[이반 프라니치]]가 러시아로 떠나면서 14/15시즌에는 그 공백을 메우는 것이 관건이 되었다. 기존 선수단과 이미 완성된 전술, 거기에 멀티플레이어 [[다니 보울스]], 알바니아 국대 출신 [[멘수르 쿠르티시]] 등 새로운 얼굴들이 잘 어우러지지 않을까 기대했으나, 주전 골키퍼 [[마이클 테오]]의 부상, [[맥카이]]의 퇴장으로 인한 징계 등 악재 속에 시즌 초반 연패를 기록하며 주춤하고 있다. 부진한 성적으로 멀비가 경질되었으나 구단의 석연찮은 설명 탓에 팬들의 반발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그 뒤 [[네덜란드]] 국적의 베테랑 지도자 [[프란스 타이선]]이 감독에 선임되었고, 곧 파이널 시리즈 진출권에 복귀하며 희망을 불어넣고 있다. | + | 2013/14시즌 종료 후 팀의 주포 [[베사르트 베리샤]]가 [[멜버른 빅토리]]로 떠나고, 공수 양면에서 활약하던 [[풀백]] [[이반 프라니치]]가 러시아로 떠나면서 14/15시즌에는 그 공백을 메우는 것이 관건이 되었다. 기존 선수단과 이미 완성된 전술, 거기에 멀티플레이어 [[다니 보울스]], 알바니아 국대 출신 [[멘수르 쿠르티시]] 등 새로운 얼굴들이 잘 어우러지지 않을까 기대했으나, 주전 골키퍼 [[마이클 테오]]의 부상, [[맥카이]]의 퇴장으로 인한 징계 등 악재 속에 시즌 초반 연패를 기록하며 주춤하고 있다. 부진한 성적으로 멀비가 경질되었으나 구단의 석연찮은 설명 탓에 팬들의 반발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그 뒤 [[네덜란드]] 국적의 베테랑 지도자 [[프란스 타이선]]이 감독 대행에 선임되었고, 곧 파이널 시리즈 진출권에 복귀하였다. 시즌 최종 순위는 7위를 기록하였으나 [[퍼스 글로리]]의 선수단 급료 부정 신고로 파이널 시리즈에 진출하게 되었지만 탈락하였다. 시즌 종료 후 [[존 알로이시]]를 정식 감독으로 선임하였다. |
| + | |
| | | |
| | | |
58번째 줄: |
59번째 줄: |
| | | |
| == 선수단 소개 == | | == 선수단 소개 == |
− | :2013/14시즌 종료 기준 | + | :2014/15시즌 준비 기간 기준 |
| === 스탭진 === | | === 스탭진 === |
|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66번째 줄: |
67번째 줄: |
| ! 직책 || 성명 | | ! 직책 || 성명 |
| |- | | |- |
− | | [[감독]] || {{국기그림|네덜란드}} [[프란스 타이선]] | + | | [[감독]]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존 알로이시]] |
| |- | | |- |
| | [[수석코치]] || {{국기그림|웨일스}} [[제프 홉킨스]] | | | [[수석코치]] || {{국기그림|웨일스}} [[제프 홉킨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