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번째 줄: |
8번째 줄: |
| | 정식명칭 = 브리즈번 로어 FC | | | 정식명칭 = 브리즈번 로어 FC |
| | 이전이름 = 홀란디아 인날라 사커 클럽<br />퀸즐랜드 라이언즈<br />퀸즐랜드 로어 | | | 이전이름 = 홀란디아 인날라 사커 클럽<br />퀸즐랜드 라이언즈<br />퀸즐랜드 로어 |
− | | 클럽색 = {{color box|orange}} {{color box|black}} {{color box|navy}} {{color box|maroon}} <BR />주황, 검정, 군청, 밤색 | + | | 클럽색 = {{color box|orange}} {{color box|black}}<BR />주황, 검정 |
| | 창단 = 1957 (홀란디아 인날라)<br />2004 (브리즈번 로어) | | | 창단 = 1957 (홀란디아 인날라)<br />2004 (브리즈번 로어) |
| | 홈경기장 = [[브리즈번 스타디움]] | | | 홈경기장 = [[브리즈번 스타디움]] |
− | | 운영법인 = 바크리 그룹 | + | | 운영법인 = 바크리 그룹 (지분 100%) |
| | 구단주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크리스 퐁 | | | 구단주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크리스 퐁 |
| | 감독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존 알로이시]] | | | 감독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존 알로이시]]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 현재시즌 = [[브리즈번 로어 2015-2016]] | | | 현재시즌 = [[브리즈번 로어 2015-2016]] |
| }} | | }} |
− | '''브리즈번 로어''' (Brisbane Roar)는 2005/06시즌부터 [[A-리그]]에 참가하고 있는 [[오스트레일리아]]의 프로 축구 클럽이다. 홈 경기장으로는 [[퀸즐랜드 주]] [[브리즈번]]에 위치한 [[브리즈번 스타디움]]을 사용하며, [[센트럴 코스트 마리너스]]와 경쟁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 + | '''브리즈번 로어''' (Brisbane Roar)는 2005/06시즌부터 [[A-리그]]에 참가하고 있는 [[오스트레일리아]]의 프로 축구 클럽이다. 1957년 홀란디아 인날라로 시작하여 [[퀸즐랜드 라이언즈]]를 거쳐 2004년 [[A리그]] 라이선스를 획득하였다. 홈 경기장으로는 [[퀸즐랜드 주]] [[브리즈번]]에 위치한 [[브리즈번 스타디움]]을 사용하며, 2015년부터 브리즈번의 그리피스 대학교의 나이선 캠퍼스를 훈련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2010/11시즌 우승을 시작으로 최근 A리그에서 가장 성공적인 역사를 쓴 클럽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센트럴 코스트 마리너스]], [[시드니 FC]]와 경쟁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
| | | |
| | | |
37번째 줄: |
37번째 줄: |
| === 형성 및 연고 조정 === | | === 형성 및 연고 조정 === |
| [[브리즈번 로어]]는 1957년, [[브리즈번]] 외곽 리치랜드에 거주하던 [[네덜란드]] 계 이민자들이 주도하여 만든 홀란디아 인날라 사커 클럽으로 시작하였다. 홀란디아 인날라는 1970년대 이름을 브리즈번 라이언즈로 변경하면서 지금은 폐지된 [[내셔널 사커 리그]]에 1977년에서 1988년까지 참가하였다. 그 뒤에는 계속 [[브리즈번 프리미어 리그]]에 참가하였으며, 1990년대 들어서 같은 팀 명을 사용하던 럭비 팀 브리즈번 라이언즈로 분리 독립하면서 팀명을 [[퀸즐랜드 라이언즈]]로 변경한다. 2000년대 초반, 오스트레일리아 내에서도 프로 리그 창설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졌고, 그에 따라 기존 팀의 스쿼드를 기반으로 창설된 프로 팀이 [[브리즈번 로어]]다. 초창기에는 동일한 운영진이 로어와 라이언즈를 운영하였다. | | [[브리즈번 로어]]는 1957년, [[브리즈번]] 외곽 리치랜드에 거주하던 [[네덜란드]] 계 이민자들이 주도하여 만든 홀란디아 인날라 사커 클럽으로 시작하였다. 홀란디아 인날라는 1970년대 이름을 브리즈번 라이언즈로 변경하면서 지금은 폐지된 [[내셔널 사커 리그]]에 1977년에서 1988년까지 참가하였다. 그 뒤에는 계속 [[브리즈번 프리미어 리그]]에 참가하였으며, 1990년대 들어서 같은 팀 명을 사용하던 럭비 팀 브리즈번 라이언즈로 분리 독립하면서 팀명을 [[퀸즐랜드 라이언즈]]로 변경한다. 2000년대 초반, 오스트레일리아 내에서도 프로 리그 창설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졌고, 그에 따라 기존 팀의 스쿼드를 기반으로 창설된 프로 팀이 [[브리즈번 로어]]다. 초창기에는 동일한 운영진이 로어와 라이언즈를 운영하였다. |
− | 로어는 처음에는 자기들의 정체성을 따라 [[퀸즐랜드]] 주를 대표하는 의미로 퀸즐랜드 로어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2009년 들어 리그 라이센스 확대 차원에서 [[골드 코스트 유나이티드]]와 [[노스 퀸즐랜드 퓨리]]가 차례로 창단되면서 보다 한정된 연고를 정할 필요성을 느낀 구단과 [[A-리그]] 운영진은, 2009년 5월 5일 로어의 연고를 기존 [[퀸즐랜드 주]]에서 [[브리즈번]]으로 축소하기로 하고, 클럽 명을 브리즈번 로어로 변경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성명을 발표하였다.<ref>이와 관련하여, 2012년 들어 국내에서는 로어도 연고지명을 변경하였으니 [[패륜]]이 아니냐는 이야기가 흘러 나오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는 [[FC GS]]와 [[SK 유나이티드]], [[성남 일화 천마]] 등의 경우와는 현저히 다른 사례라고 할 수 있다.</ref> | + | 로어는 처음에는 자기들의 정체성을 따라 [[퀸즐랜드]] 주를 대표하는 의미로 퀸즐랜드 로어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2009년 들어 리그 라이센스 확대 차원에서 [[골드 코스트 유나이티드]]와 [[노스 퀸즐랜드 퓨리]]가 차례로 창단되면서 보다 한정된 연고를 정할 필요성을 느낀 구단과 [[A-리그]] 운영진은, 2009년 5월 5일 로어의 연고를 기존 [[퀸즐랜드 주]]에서 [[브리즈번]]으로 축소하기로 하고, 클럽 명을 브리즈번 로어로 변경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성명을 발표하였다.<ref>이와 관련하여, 2012년 들어 국내에서는 로어도 연고지명을 변경하였으니 [[패륜]]이 아니냐는 이야기가 흘러 나오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는 기존의 연고가 실질적으로 브리즈번이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연고이전과는 별개의 사례로 해석할 수 있다.</ref> 그들은 초창기에는 힘겨운 싸움을 이어나가야 했다. 비록 오스트레일리아 내에서 세 번째로 많은 인구가 살고 있다고는 하지만, 기존에 시장과 [[유스 풀]]을 차지하고 있던 럭비에 밀려 그렇게 좋은 성적을 내지 못한 것. 하지만 [[프랭크 파리나]] 등 좋은 감독들과 [[크레이그 무어]], [[서혁수]], [[찰리 밀러]]등 해외 리그에서 뛰던 수많은 베테랑들의 영입을 통해 착실히 내실을 다져 나간다. |
| | | |
− | === A-리그 챔피언이 되기까지, 그후 === | + | === 성공 신화를 쓴 포스테코글루 시대 === |
− | 그들은 초창기에는 힘겨운 싸움을 이어나가야 했다. 비록 오스트레일리아 내에서 세 번째로 많은 인구가 살고 있다고는 하지만, 기존에 시장과 [[유스 풀]]을 차지하고 있던 럭비에 밀려 그렇게 좋은 성적을 내지 못한 것. 하지만 [[프랭크 파리나]] 등 좋은 감독들과 [[크레이그 무어]], [[서혁수]], [[찰리 밀러]]등 해외 리그에서 뛰던 수많은 베테랑들의 영입을 통해 착실히 내실을 다져 나간다. 그러던 09/10시즌을 앞두고 [[사우스 멜버른 FC]]에서 환상적인 시간을 보낸 [[오스트레일리아 U-20 대표팀]] 감독 출신 [[안지 포스테코글루]]를 영입하며 팀이 180도 변화하게 된다. 이미 유소년 육성에 일가견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포스테코글루는 첫 시즌에는 10개 클럽 중 9위를 기록하며 좋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선수단 파악이 완전히 끝난 10/11시즌, 그는 베테랑 골키퍼 [[마이클 테오]]를 영입하고, 기존에 팀의 핵심으로 활약하던 [[매트 맥케이]], [[마시모 머도카]] 등의 선수들에 [[루크 드베어]] 등 탄탄한 유망주 육성을 바탕으로 클럽을 우승으로 이끌게 된다. 10/11시즌 프리미어십과 챔피언십을 석권하며 포효한 로어는 2010년 9월 18일부터 2011년 11월 26일까지 36경기 무패 행진을 기록하며 [[A-리그]]를 넘어 [[오스트레일리아]] 전체 기록을 경신하게 된다. 11/12시즌을 앞두고 인도네시아의 거부 바카리 그룹이 경영 라이센스를 따왔지만 그다지 큰 효과는 보지 못했고, 시즌 중반 [[토마스 브로이히]] 등 많은 주전 선수들의 부상으로 연패에 빠지며 크게 흔들리는 모습을 보였지만 이내 페이스를 바로 잡고 무패 행진을 다시 이어 가면서 2011/12시즌 챔피언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이는 [[A-리그]] 최초로 리그를 2회 연속 우승한 기록으로, 로어는 리그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클럽으로 자리매김하였다. 2012/13시즌, [[안지 포스테코글루]]가 [[멜버른 빅토리]] 감독으로 떠나고, 수석 코치인 [[라도 비도시치]]가 감독직에 올랐으나 선수단 장악과 전술적인 문제로 실패를 겪었고, [[마이크 멀비]] 감독이 새롭게 부임한 뒤 전임 포스테코글루 감독의 강한 압박을 토대로 한 패싱 게임을 되살리는 데 성공, 시즌 내내 상위권을 달리며 다시 한 번 [[더블 크라운]]을 기록하며 건재함을 과시하였다.
| + | 09/10시즌을 앞두고 [[사우스 멜버른 FC]]에서 선수와 감독으로 좋은 시간을 보낸 [[오스트레일리아 U-20 대표팀]] 감독 출신 [[안지 포스테코글루]]를 영입하며 팀이 180도 변화하게 된다. 이미 유소년 육성에 일가견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포스테코글루는 첫 시즌에는 10개 클럽 중 9위를 기록하며 좋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선수단 파악이 완전히 끝난 10/11시즌, 그는 베테랑 골키퍼 [[마이클 테오]]를 영입하고, 기존에 팀의 핵심으로 활약하던 [[매트 맥케이]], [[마시모 머도카]] 등의 선수들에 [[루크 드베어]] 등 탄탄한 유망주 육성을 바탕으로 클럽을 우승으로 이끌게 된다. 10/11시즌 프리미어십과 챔피언십을 석권하며 포효한 로어는 2010년 9월 18일부터 2011년 11월 26일까지 36경기 무패 행진을 기록하며 [[A-리그]]를 넘어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전체 기록을 경신하게 된다. 11/12시즌을 앞두고 인도네시아의 거부 바크리 그룹이 경영 라이센스를 따왔지만 그다지 큰 효과는 보지 못했고, 시즌 중반 [[토마스 브로이히]] 등 많은 주전 선수들의 부상으로 연패에 빠지며 크게 흔들리는 모습을 보였지만 이내 페이스를 바로 잡고 무패 행진을 다시 이어 가면서 2011/12시즌 챔피언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이는 [[A-리그]] 최초로 리그를 2회 연속 우승한 기록으로, 로어는 리그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클럽으로 자리매김하였다. |
| | | |
− | 2013/14시즌 종료 후 팀의 주포 [[베사르트 베리샤]]가 [[멜버른 빅토리]]로 떠나고, 공수 양면에서 활약하던 [[풀백]] [[이반 프라니치]]가 러시아로 떠나면서 14/15시즌에는 그 공백을 메우는 것이 관건이 되었다. 기존 선수단과 이미 완성된 전술, 거기에 멀티플레이어 [[다니 보울스]], 알바니아 국대 출신 [[멘수르 쿠르티시]] 등 새로운 얼굴들이 잘 어우러지지 않을까 기대했으나, 주전 골키퍼 [[마이클 테오]]의 부상, [[맥카이]]의 퇴장으로 인한 징계 등 악재 속에 시즌 초반 연패를 기록하며 주춤하고 있다. 부진한 성적으로 멀비가 경질되었으나 구단의 석연찮은 설명 탓에 팬들의 반발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그 뒤 [[네덜란드]] 국적의 베테랑 지도자 [[프란스 타이선]]이 감독 대행에 선임되었고, 곧 파이널 시리즈 진출권에 복귀하였다. 시즌 최종 순위는 7위를 기록하였으나 [[퍼스 글로리]]의 선수단 급료 부정 신고로 파이널 시리즈에 진출하게 되었지만 탈락하였다. 시즌 종료 후 [[존 알로이시]]를 정식 감독으로 선임하였다. | + | === 포스테코글루 이후 === |
| + | 2012/13시즌, [[안지 포스테코글루]]가 [[멜버른 빅토리]] 감독으로 떠나고, 수석 코치인 [[라도 비도시치]]가 감독직에 올랐으나 선수단 장악과 전술적인 문제로 실패를 겪었고, [[마이크 멀비]] 감독이 새롭게 부임한 뒤 전임 포스테코글루 감독의 강한 압박을 토대로 한 패싱 게임을 되살리는 데 성공, 시즌 내내 상위권을 달리며 다시 한 번 [[더블 크라운]]을 기록하여 건재함을 과시하였다. |
| + | |
| + | 2013/14시즌 종료 후 팀의 주포 [[베사르트 베리샤]]가 [[멜버른 빅토리]]로 떠나고, 공수 양면에서 활약하던 [[풀백]] [[이반 프라니치]]가 러시아로 떠나면서 14/15시즌에는 그 공백을 메우는 것이 관건이 되었다. 기존 선수단에 맞추어 이미 완성된 전술에 멀티플레이어 [[다니 보울스]], 알바니아 국대 출신 [[멘수르 쿠르티시]] 등 새로운 얼굴들이 잘 어우러지지 않을까 기대했으나, [[마이클 테오]] 등 주전들의 잇다른 부상으로 부진하였다. 부진한 성적을 이유로 멀비가 경질되었으나 구단의 석연찮은 설명 탓에 팬들의 반발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그 뒤 [[네덜란드]] 국적의 베테랑 지도자 [[프란스 타이선]]이 감독 대행에 선임되었고, 곧 파이널 시리즈 진출권에 복귀하였다. 시즌 최종 순위는 7위를 기록하였으나 [[퍼스 글로리]]의 선수단 급료 부정 신고로 파이널 시리즈에 진출하게 되었다. 2015년 5월 1일 [[애들레이드]]의 [[하인마시]]에서 열린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와의 파이널 시리즈 경기에서 2-1로 패하며 2연패에 실패하였다. |
| + | |
| + | 2014/15시즌 종료 후 [[멜버른 하트]]의 감독으로 일했던 [[존 알로이시]]를 정식 감독으로 선임하였다. 시즌 준비 기간, 선수단 급료 관련 문제로 홍역을 치르는 와중이던 2015년 7월 5일, [[퍼스 글로리]]의 유망주 포워드 [[제이미 맥클라런]]을 영입하며 선수단 보강에 시동을 걸었다. |
| | | |
| | | |
59번째 줄: |
64번째 줄: |
| | | |
| == 선수단 소개 == | | == 선수단 소개 == |
− | :2014/15시즌 준비 기간 기준 | + | :2015/16시즌 준비 기간 기준 |
| === 스탭진 === | | === 스탭진 === |
|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73번째 줄: |
78번째 줄: |
| | [[GK 코치]]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제이슨 커튼]] | | | [[GK 코치]]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제이슨 커튼]] |
| |- | | |- |
− | | [[피지컬 코치]]||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매트 콘월]] | + | | [[피지컬 코치]]|| {{국기그림|스코틀랜드}} 켄 스테드 |
| |- | | |- |
− | | rowspan="2"| [[재활 트레이너]]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팀 오스텐브뢰크
| + | | [[재활 트레이너]]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팀 오스텐브뢰크 |
| |- | | |- |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라이언 티민스
| |
| |} | | |} |
| | | |
83번째 줄: |
87번째 줄: |
| ---- | | ---- |
| {{클럽팀 선수명단 시작}} | | {{클럽팀 선수명단 시작}}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1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골키퍼|GK]] |이름=[[마이클 테오]]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1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GK |이름=[[마이클 테오]]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2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센터백|DF]] |이름=[[매트 스미스]] <i>(주장)</i>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3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DF |이름=[[셰인 스테파누토]]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3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풀백|DF]] |이름=[[셰인 스테파누토]] <i>(부주장)</i>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5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DF |이름=[[코리 브라운]]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4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중앙 미드필더|MF]] |이름=[[아담 사로타]]<ref>[[FC 위트레흐트]]에서 임대</ref>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6 |국적=독일 |포지션=DF |이름=[[예롬 폴렌츠]]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5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풀백|DF]] |이름=[[코리 브라운]]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8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MF |이름=[[스티븐 루스티차]]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6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공격형 미드필더|MF]] |이름=[[조지 람바다리디스]]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9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FW |이름=[[제이미 맥클라런]]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7 |국적=알바니아 |포지션=[[스트라이커|FW]] |이름=[[멘수르 쿠르티시]]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10 |국적=브라질 |포지션=FW |이름=[[엔리케 시우바]]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8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공격형 미드필더|MF]] |이름=[[스티븐 루스티카]]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12 |국적=코스타리카 |포지션=FW |이름=[[헤안 카를로스 솔로르사노|헤안 솔로르사노]]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9 |국적=세르비아 |포지션=[[스트라이커|FW]] |이름=[[안드리야 칼루제로비치]]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13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DF |이름=[[제이드 노스]]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10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윙 포워드|FW]] |이름=[[엔리케 시우바]]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14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DF |이름=[[다니 보울스]]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11 |국적=아일랜드 |포지션=[[중앙 미드필더|MF]] |이름 =[[리암 밀러]]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15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DF |이름=[[제임스 도나키]]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12 |국적=코스타리카 |포지션=[[스트라이커|FW]] |이름=[[헤안 카를로스 솔로르사노]] }} | |
| {{클럽팀 선수명단 중간}} | | {{클럽팀 선수명단 중간}}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13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센터백|DF]] |이름=[[제이드 노스]]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16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MF |이름=[[데반테 클루트]]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14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풀백|DF]] |이름=[[다니 보울스]]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17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MF |이름=[[매트 매카이]]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15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센터백|DF]] |이름=[[제임스 도나키]]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18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MF |이름=[[루크 브라탄]]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16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중앙 미드필더|MF]] |이름=[[데반테 클럿]]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19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DF |이름=[[잭 힝거트]]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17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중앙 미드필더|MF]] |이름=[[매트 매카이]]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21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GK |이름=[[제이미 영]]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18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수비형 미드필더|MF]] |이름=[[루크 브라탄]]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22 |국적=독일 |포지션=MF |이름=[[토마스 브로이히]]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19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풀백|DF]] |이름=[[잭 힝거트]]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23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FW |이름=[[디미트리 페트라토스]]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20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윙 포워드|FW]] |이름=[[코피 다닝]]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28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FW |이름=[[브렌던 보렐로]]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21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골키퍼|GK]] |이름=[[제이미 영]]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29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MF |이름=[[패트릭 시어도어]]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22 |국적=독일 |포지션=[[공격형 미드필더|MF]] |이름=[[토마스 브로이히]]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33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DF |이름=[[루크 데비어]]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23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윙 포워드|FW]] |이름=[[디미트리 페트라토스]] }} | +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34 |국적=오스트레일리아 |포지션=FW |이름=[[섀넌 브래디]] }} |
| {{클럽팀 선수명단 끝}} | | {{클럽팀 선수명단 끝}} |
| ---- | | ---- |
| | | |
| + | ==== 시즌 전 이적 상황 ==== |
| + | {{이적 상황 영입}} |
| + | {{이적 상황|포지션=FW|이름=[[제이미 맥클라런]] |팀=[[퍼스 글로리]]}} |
| + | {{이적 상황 이적}} |
| + | {{이적 상황|포지션=FW|이름=[[안드리야 칼루제로비치]] |팀=}} |
| + | {{이적 상황|포지션=DF|이름=[[벤 리프틴]] |팀=팜 비치 샤크스}} |
| + | {{이적 상황|포지션=FW|이름=[[코피 다닝]] |팀=오클리 캐넌스}} |
| + | {{이적 상황|포지션=MF|이름=[[아담 사로타]] |팀=[[FC 위트레흐트]](임대 만료)}} |
| + | {{이적 상황|포지션=MF|이름=[[조지 람바다리디스]] ||팀=}} |
| + | {{이적 상황 끝}} |
| + | |
| + | ==== 시즌 중 이적 상황 ==== |
| + | {{이적 상황 영입}} |
| + | {{이적 상황 이적}} |
| + | {{이적 상황 끝}} |
| | | |
| == 구단 제반 사항 == | | == 구단 제반 사항 == |
130번째 줄: |
148번째 줄: |
| | 5대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마이크 멀비]] || 2012 ~ 2014 | | | 5대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마이크 멀비]] || 2012 ~ 2014 |
| |- | | |- |
− | | 6대 || {{국기그림|네덜란드}} [[프란스 타이선]] || 2014 ~ 현재 | + | | 대행 || {{국기그림|네덜란드}} [[프란스 타이선]] || 2014 ~ 2015 |
| + | |- |
| + | | 6대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존 알로이시]] || 2015 ~ 현재 |
| |} | | |} |
| {{col-3}} | | {{col-3}} |
167번째 줄: |
187번째 줄: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이반 프라니치]]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이반 프라니치]]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셰인 스테파누토]]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셰인 스테파누토]] |
| + | {{col-3}}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마이클 테오]]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마이클 테오]]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에릭 파르탈루]]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에릭 파르탈루]] |
− | {{col-3}}
| |
| * {{국기그림|대한민국}} [[서혁수]] | | * {{국기그림|대한민국}} [[서혁수]] |
| * {{국기그림|스위스}} [[레모 부에스]] | | * {{국기그림|스위스}} [[레모 부에스]] |
179번째 줄: |
199번째 줄: |
| * {{국기그림|독일}} [[토마스 브로이히]] | | * {{국기그림|독일}} [[토마스 브로이히]] |
| * {{국기그림|바레인}} [[사예드 모하메드 아드난]] | | * {{국기그림|바레인}} [[사예드 모하메드 아드난]] |
− | * {{국기그림|캐나다}} [[이세이 나카지마-파란]] |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매트 스미스]] |
| * {{국기그림|알바니아}} [[베사르트 베리샤]] | | * {{국기그림|알바니아}} [[베사르트 베리샤]] |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루크 드베어]] | + | {{col-3}} |
|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루크 데비어]] |
|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디미트리 페트라토스]] |
|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루크 브라탄]] |
| {{col-end}} | | {{col-end}} |
− |
| |
| | | |
| === 제휴 구단 === | | === 제휴 구단 === |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 라이언즈 SC]] | + |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 라이언즈]] |
− | * {{국기그림|브라질}} [[아뜰레찌꾸 미녜이루]] | + | : [[A리그]]에 참가할 당시 퀸즐랜드 라이언즈의 선수단 일부를 기반으로 창단하였다. |
| + | * {{국기그림|브라질}} [[아뜰레치쿠 미녜이루]] |
| : 2008년부터 현재까지 이르고 있으며, [[스포츠 과학]]이나 의료, 스포츠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도록 되어 있고, 양 팀이 시즌 전 친선 경기를 하거나 로어의 유소년 선수들이 아뜰레찌꾸 미녜이루의 유소년 육성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것을 허가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 | : 2008년부터 현재까지 이르고 있으며, [[스포츠 과학]]이나 의료, 스포츠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도록 되어 있고, 양 팀이 시즌 전 친선 경기를 하거나 로어의 유소년 선수들이 아뜰레찌꾸 미녜이루의 유소년 육성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것을 허가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
− | * {{국기그림|벨기에}} [[CS 비세]]
| + | * {{국기그림|인도네시아}} [[아레마 크로너스]] |
− | : 바카리 그룹 소유 클럽
| + | : 바크리 그룹 소유 클럽 |
− | * {{국기그림|인도네시아}} [[펠리타 자야 FC]] | |
− | : 바카리 그룹 소유 클럽
| |
− | * {{국기그림|우루과이}} [[데포르티보 인도네시아]]
| |
− | : 바카리 그룹 소유 클럽 | |
| | | |
− | === 킷 서플라이어 및 메인 스폰서 === | + | === 킷 서플라이어 및 셔츠 스폰서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 | | |- |
− | ! 기간 !! 킷 서플라이어 !! 메인 스폰서 | + | ! 기간 !! 킷 서플라이어 !! 셔츠 스폰서 |
| |- | | |- |
| | 2005 ~ 2006 ||rowspan="3"|[[리복]] || 없음 | | | 2005 ~ 2006 ||rowspan="3"|[[리복]] || 없음 |
205번째 줄: |
224번째 줄: |
| | 2006 ~ 2007 || Jayco | | | 2006 ~ 2007 || Jayco |
| |- | | |- |
− | | 2007 ~ 2011 ||rowspan="3"|The Coffee Club | + | | 2007 ~ 2011 ||rowspan="2"|The Coffee Club |
| |- | | |- |
| | 2011 ~ 2014 || [[푸마]] | | | 2011 ~ 2014 || [[푸마]] |
| |- | | |- |
− | | 2014 ~ 현재 || [[엄브로]] | + | | 2014 ~ 현재 || [[엄브로]] || The Coffee Club(HAL)<br />그리피스 대학교(ACL) |
| |} | | |} |
| + | |
| + | == 라이벌 == |
| + | * [[골드 코스트 유나이티드]] |
| + | |
| + | * [[센트럴 코스트 마리너스]] |
| + | |
| + | * [[시드니 FC]] |
| | | |
| == 우승 기록 == | | == 우승 기록 == |
219번째 줄: |
245번째 줄: |
| | | |
| | | |
− | == 외부링크 == | + | == 외부 링크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