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째 줄: |
1번째 줄: |
| {{다른 뜻|할렐루야 축구단|할렐루야가 수퍼리그에 참여할 당시|할렐루야 축구단 전반에 관한 내용은}} | | {{다른 뜻|할렐루야 축구단|할렐루야가 수퍼리그에 참여할 당시|할렐루야 축구단 전반에 관한 내용은}} |
| [[파일:할렐루야 축구단.jpg|섬네일|400픽셀|할렐루야 축구단 엠블럼]] | | [[파일:할렐루야 축구단.jpg|섬네일|400픽셀|할렐루야 축구단 엠블럼]] |
− | '''할렐루야 독수리'''는 1983년부터 1985년까지 [[할렐루야 축구단]]이 [[슈퍼리그]]에 참여하던 시기의 축구단의 역사에 대한 문서이다. 마스코트 선정과정에서 할렐루야 독수리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는 했으나 마스코트로 사용되기만 했을 뿐 실제 기업명+마스코트명의 미국식 팀명칭을 사용하진 않았으므로 수퍼리그 참여시에도 정식명칭은 할렐루야 축구단이었다. | + | '''할렐루야 축구단 (1980~1998)'''은 1983년부터 1985년까지 [[할렐루야 축구단]]이 [[슈퍼리그]]에 참여하던 시기와 1986년과 1998년까지 실업축구에서 활약하던 할렐루야 축구단의 역사에 대한 문서이다. 마스코트 선정과정에서 할렐루야 독수리라는 명칭을 일부언론이 사용하기는 했으나 마스코트로 사용되기만 했을 뿐 실제 기업명+마스코트명의 미국식 팀명칭을 사용하진 않았으므로 수퍼리그 참여시에도 정식명칭은 할렐루야 축구단이었다. <ref>이전 문서명이 할렐루야 독수리 였으나 실제로 할렐루야 축구단이라는 이름을 사용했기 때문에 문서명을 변경한다.</ref> |
| | | |
| |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 | |
| = 역사 = | | = 역사 = |
− | {{참고|할렐루야 축구단|슈퍼리그}}
| |
− | 프로축구단이 참여하는 리그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먼저 창단된 [[할렐루야 축구단]]은 창단초기 실업축구팀의 보이콧으로 경기를 제대로 갖지못하는 상황에 빠졌다가 83년 [[슈퍼리그]]가 출범하면서 비로소 리그에 참가하게 되었다. [[프로야구]]의 영향을 받아 일본식 구단명칭(기업명+마스코트) 형식이 되면서 마스코트를 [[독수리]]로 정하고<ref>성경 이사야40장 31절 "여호와를 앙망하는 자는 새힘을 얻고 독수리의 날개치며 올라감같이, 달음박질하여도 피곤치 아니하겠고 걸어도 피곤치 아니하겠다"에서 유래. 독수리 날개 치듯이(On Eagle's Wings) 라는 찬송가도 있다.</ref><ref>개신교에서 독수리는 하나님을 믿고 따르는 자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도 승리를 상징하고 기백과 용맹을 나타내 사용하게 되었다고 한다.</ref> '''할렐루야 독수리'''가 되었다. 실제로는 [[할렐루야 축구단]]이라는 명칭을 꾸준히 사용했는데 여기에서는 프로참가 할렐루야 축구단을 의미한다.
| |
| | | |
| + | == 창단 == |
| + | 1979년 [[대한축구협회]] 회장에 취임한 [[신동아그룹]]의 오너 [[최순영]]씨가 자신의 축협 회장 취임시 공약<ref>당시 최순영의 공약이자 축협의 당면과제는 크게 [[축구전용구장]], [[승강제]]와 [[프로축구]] 출범이었다.</ref>중 하나인 프로리그를 위해 1980년 12월 20일 창단한 대한민국 최초의 프로 축구단이었다. 축구의 대중화 및 기독교 선교가 창단 목적이었기 때문에 보통 기업구단들이 그룹 자회사 산하에 구단을 두는 것과 달리 최순영이 이사장으로 있던 선교단체인 한국기독교선교원 산하에 구단을 두었고, 창단 감독이던 [[김용식]] 이하 선수 전원이 개신교 교인이거나 개신교에 입교할 사람으로 구성되었으며, 팀명은 할렐루야가 되었다.<ref>할렐루야(Hallelujah)는 하느님을 찬양하라라는 의미의 히브리어로 개신교에서 많이 사용되며, 가톨릭에서는 알렐루야 혹은 찬미 예수라는 표현을 사용하므로 개신교적인 단어라 할 수 있다. 개신교측에서는 개신교라는 단어보다 기독교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하나 기독교는 개신교와 천주교(가톨릭) 모두를 칭하는 단어이다.</ref> 그러나 할렐루야팀이 창단되었으나, 정작 다른 프로팀이 생기지 않았고 프로 리그가 출범되지 못해 곤란함을 겪게 되었다.<ref>때문에 정식 창단은 80년 12월에 했지만 공식 경기는 이듬해 3월에야 이루어졌다. 즉 1981년 3월 28일, 할렐루야 축구단은 [[동대문운동장]]에서 브라질 Americano를 초청해 친선 경기를 가졌으며 [[이영무]]의 골과 상대팀의 [[자책골]]을 더해 2:1로 데뷔전 승리를 거두었던 것. 이후 동년 4월 11일에는 [[대전공설운동장]]에서 [[홍콩 1부 리그]] 팀인 세이코를 초청해 [[이영길]], [[이영무]], [[신현호]]의 연속골로 3:1 대승을 거두었던바 있다. 그러나 경기간 간극도 길었고, 이벤트성 초청 경기에 국한된 한계가 있었다.</ref> 그래서 1981~82년 동안 [[미주]](북아메리카)와 [[홍콩]] 등지의 국제 축구대회에 출전하기도 하고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일명 [[박스컵]]) 에도 출전하여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자웅을 겨루기도 하였다. 1982년에는 신앙과 축구 사이의 중심문제로 논란이 생겼는데 결국 할렐루야 축구단의 창단주역이었던 [[이영무]]를 비롯하여, [[신현호]], [[조병득]], [[김철용]], [[박민재]] 등 5명의 선수가 4월 29일 제명, 탈퇴되어 12명의 선수만 남게 되는 위기 상황에 쳐하기도 하였다.<ref>탈퇴된 선수들은 기독교 선교구단인 할렐루야가 신앙보다 축구만 신경쓰고 있으며 할렐루야 감독이 되기 위해 입교한 [[함흥철]] 감독과 나머지 선수들의 신앙심이 부족하다고 하고 구단측에서는 경기전 운동장에서 지나칠 정도로 기도를 하여 경기에 지장을 주며 간증선교를 위해 훈련에 무단으로 불참하는 등 축구선수로서의 책임을 망각하고 신앙에만 몰두한다고 대립했다. 결국에는 이수정 할렐루야 축구단 단장이 주장 [[이영무]]에게 좀 더 훈련에 매진하라고 했으나 그에 대해 반발하고 5명의 선수가 탈퇴를 선언하여 결국 5명의 선수가 제명. 이영무는 탈퇴후 [[임마누엘 축구단]]을 꾸려 코치겸 선수로 활동하면서 목사까지 되었고 나중에는 할렐루야 축구단의 단장이 되었으니 승리의 이영무. 좀 ㅎㄷㄷㄷ한 스토리.</ref>프로축구단이 참여하는 리그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먼저 창단된 [[할렐루야 축구단]]은 창단초기 실업축구팀의 보이콧으로 경기를 제대로 갖지못하는 상황에 빠졌다가 83년 [[슈퍼리그]]가 출범하면서 비로소 리그에 참가하게 되었다. [[프로야구]]의 영향을 받아 일본식 구단명칭(기업명+마스코트) 형식이 되면서 마스코트를 [[독수리]]로 정한다.<ref>성경 이사야40장 31절 "여호와를 앙망하는 자는 새힘을 얻고 독수리의 날개치며 올라감같이, 달음박질하여도 피곤치 아니하겠고 걸어도 피곤치 아니하겠다"에서 유래. 독수리 날개 치듯이(On Eagle's Wings) 라는 찬송가도 있다.</ref><ref>개신교에서 독수리는 하나님을 믿고 따르는 자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도 승리를 상징하고 기백과 용맹을 나타내 사용하게 되었다고 한다.</ref> |
| + | |
| + | ==수퍼리그 참가== |
| 1983년 [[슈퍼리그]]가 개막되면서 동 대회에 참가, 우승하면서 K리그 초대 챔피언이란 타이틀도 얻게 되었다. 그러나, 83년 우승 이후 주축 멤버들의 대거 은퇴 선언과 타 팀 이적등으로 전력이 처지면서 84, 85시즌에는 상위권 성적을 유지하지 못하였다. 결국 1985년 가을, 85시즌을 끝으로 슈퍼리그 참가 포기와 더불어 아마추어팀 전환<ref> 원래는 구단 매각을 추진했지만 아마운영으로 방침을 바꿨다.<small> | | 1983년 [[슈퍼리그]]가 개막되면서 동 대회에 참가, 우승하면서 K리그 초대 챔피언이란 타이틀도 얻게 되었다. 그러나, 83년 우승 이후 주축 멤버들의 대거 은퇴 선언과 타 팀 이적등으로 전력이 처지면서 84, 85시즌에는 상위권 성적을 유지하지 못하였다. 결국 1985년 가을, 85시즌을 끝으로 슈퍼리그 참가 포기와 더불어 아마추어팀 전환<ref> 원래는 구단 매각을 추진했지만 아마운영으로 방침을 바꿨다.<small> |
| [김덕기의 프로축구 30년<23>] 아듀, 프로 1호 독수리 날개 접다[http://www.sportalkorea.com/news/view_column.php?gisa_uniq=2013040305410852§ion_code=40&key=&field=]</small></ref>을 선언하면서 프로 무대에서 할렐루야 축구단은 사라지고 말았고, 이후 프로 축구와 실업 축구는 서로 독자적인 길을 모색하게 된다. | | [김덕기의 프로축구 30년<23>] 아듀, 프로 1호 독수리 날개 접다[http://www.sportalkorea.com/news/view_column.php?gisa_uniq=2013040305410852§ion_code=40&key=&field=]</small></ref>을 선언하면서 프로 무대에서 할렐루야 축구단은 사라지고 말았고, 이후 프로 축구와 실업 축구는 서로 독자적인 길을 모색하게 된다. |
| | | |
| + | ==아마추어 팀으로의 전환== |
| + | 1986년 아마추어 팀으로 전환하여 실업축구연맹전등의 대회에 출전한다. |
| + | |
| + | ==해체== |
| + | 1986년 아마추어 팀으로 전환하여 실업축구연맹전등의 대회에 출전한다. 하지만 IMF 외환위기로 1998년을 마지막으로 운영을 맡고 있던 기독교 선교횃불재단은 할렐루야 축구단의 해체를 선언한다. 팀 해체 통보후 선수들은 자비를 들여가며 [[제3회 삼보체인지업 FA CUP 축구대회]]에 참가하지만 11월17일 천안 오룡경기장에서 있었던 [[천안 일화]]와의 1-4 패배를 마지막으로 18년의 역사를 마감한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111800329130001&edi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8-11-18&officeId=00032&pageNo=30&printNo=16594&publishType=00010 '할렐루야' 축구찬양 18년마감] -1998년 11월 18일, [[경향신문]]-</ref> |
| | | |
| = 기록 = | | = 기록 = |
73번째 줄: |
80번째 줄: |
| |} | | |} |
| | | |
− | | + | == 아마대회 성적 == |
| + |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 + | |- style="background:#C0C0C0" |
| + | ! 대회명 !! 순위 !! 연도 |
| + | |- |
| + | |rowspan=2|'''[[실업축구연맹전]]''' || bgcolor=gold|'''우승''' || [[90 한국추계실업축구연맹전 |1990(추계)]],[[93 한국춘계실업축구연맹전 |1993(춘계)]] |
| + | |- |
| + | | bgcolor=silver|'''준우승''' || [[87 전국춘계실업축구대회 |1987(춘계)]],[[91 한국춘계실업축구연맹전 |1991(춘계)]],[[93 한국춘계실업축구연맹전 |1993(추계)]],[[95 한국춘계실업축구연맹전 |1995(춘계)]] |
| + | |- |
| + | |rowspan=2| '''[[전국실업축구선수권대회]]''' || bgcolor=gold|우승 || |
| + | |- |
| + | | bgcolor=silver|'''준우승''' || 1998 |
| + | |- |
| + | |rowspan=2| '''[[군.실업축구대회]]''' || bgcolor=gold|우승 || [[제23회 군.실업 축구대회|1991]],[[제24회 군.실업 축구대회|1992]] |
| + | |- |
| + | | bgcolor=silver|'''준우승''' || |
| + | |- |
| + | |rowspan=2|'''[[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 || bgcolor=gold|'''우승''' || 1988 |
| + | |- |
| + | |bgcolor=silver|'''준우승''' || 1994 |
| + | |- |
| + | |rowspan=2|'''[[전국축구선수권대회]]''' || bgcolor=gold|'''우승''' || |
| + | |- |
| + | |bgcolor=silver|'''준우승''' || 1991, 1994, 1995, 1997, 1998 |
| + | |- |
| + | |rowspan=2|'''[[전국체전]]''' || bgcolor=gold|'''우승''' || [[1991년 전국체전 축구경기|1991]],[[1993년 전국체전 축구경기|1993]],[[1995년 전국체전 축구경기|1995]] |
| + | |- |
| + | |bgcolor=silver|'''준우승''' || [[1987년 전국체전 축구경기|1987]],[[1997년 전국체전 축구경기|1997]] |
| + | |- |
| + | |} |
| == 역대 주요 선수 == | | == 역대 주요 선수 == |
|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100%;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100%;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