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8번째 줄:
8번째 줄:
− +
44번째 줄:
44번째 줄:
+
52번째 줄:
53번째 줄:
− +
70번째 줄:
71번째 줄:
+
82번째 줄:
84번째 줄:
+
228번째 줄:
231번째 줄:
+
편집 요약 없음
| 별칭 =
| 별칭 =
| 정식명칭 = 안산 H FC
| 정식명칭 = 안산 H FC
| 이전이름 = 할렐루야 독수리 축구단<br /> (1980~1985)<br />할렐루야 축구단<br /> (1986~1998)<br />할렐루야 축구단<br /> (1999~2011)<br />안산 H FC<br /> (2012)
| 이전이름 = 할렐루야 축구단(프로)<br /> (1980~1985)<br />할렐루야 축구단(아마)<br /> (1986~1998)<br />할렐루야 축구단(재창단)<br /> (1999~2002)<br/>익산할렐루야<br /> (2003)<br/>김포할렐루야<br /> (2003~2006)<br />안산할렐루야<br />(2007~2011)<br />안산 H FC<br />(2012)
| 클럽색 = {{color box|white}} {{color box|red}}<BR />하양, 빨강
| 클럽색 = {{color box|white}} {{color box|red}}<BR />하양, 빨강
| 창단 = 1980 ([[고양 Hi FC]])<br />1999 ([[한국프로축구연맹]])
| 창단 = 1980 ([[고양 Hi FC]])<br />1999 ([[한국프로축구연맹]])
== 실업 전환 이후 ==
== 실업 전환 이후 ==
할렐루야 축구단이 프로리그 참가를 포기하였다지만 여전히 선수단은 건재했고, 덕분에 아마 축구계에서는 최강의 자리를 상당히 오랜 기간동안 유지하였다.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 및 각급 실업 축구대회를 90년대 석권하였고, [[K리그 드래프트]]로 수많은 선수를 프로에 배출시키기도 하였다.
할렐루야 축구단이 프로리그 참가를 포기하였다지만 여전히 선수단은 건재했고, 덕분에 아마 축구계에서는 최강의 자리를 상당히 오랜 기간동안 유지하였다.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 및 각급 실업 축구대회를 90년대 석권하였고, [[K리그 드래프트]]로 수많은 선수를 프로에 배출시키기도 하였다.
== 할렐루야 해체 및 부활 ==
== 할렐루야 해체 및 부활 ==
== K2리그 및 내셔널리그 ==
== K2리그 및 내셔널리그 ==
이영무를 중심으로 전국 기독교 단체의 후원으로 재창단한 [[할렐루야 축구단]]은 이후 실업리그를 꾸준히 참여하였으나 90년대 중반 할렐루야와 임마누엘이 서로 우승을 다투던 전성기시절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2003년 K2리그(이후 [[내셔널리그]])가 출범하자 [[익산]]을 연고로 리그에 참여하였으나 지자체 주민들의 반발로 후반기에는 연고 경기장을 사용하지 못해 리그에 참여하지 못했으며, 2003년 말 [[김포]]를 연고로 활동하게 되었으며, 이 시기에는 서산, 험멜 등과 탈꼴찌 경쟁을 하는 상황이었다. 2006년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에서 18년만에 우승을 차지하며<ref>당시 언론에서는 1988년 이후 18년만에 대통령배를 우승했다고 하였다. 88년 우승팀은 임마누엘이 아니라 할렐루야였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73&aid=0000001467 할렐루야, 18년만에 대통령배축구 우승] -2006년 3월 30일, [[스포츠서울]]- </ref> 상승세를 탔으나 그해 내셔널리그 챔피언결정전에서 [[고양 KB]]에 분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하고 말았다. 이후 [[안산와~스타디움]] 완공후 축구단을 유치하려던 안산시와 연고협약을 체결하고 2007년부터 안산 할렐루야라는 이름으로 활동하였으며, 2012년에는 종교색을 지우고 향후 K리그 입성을 위해 '''안산 H FC''' 라는 이름으로 변경하였다. 그러나 종교색으로 인해 안산시와 갈등을 빚으며 결국 2012년 고양시와 연고협약을 맺고 2013년부터 '''[[고양 Hi FC]]'''라는 명칭으로 [[K리그 챌린지]]에서 활동하게 되었다.
이영무를 중심으로 전국 기독교 단체의 후원으로 재창단한 [[할렐루야 축구단]]은 이후 실업리그를 꾸준히 참여하였으나 90년대 중반 할렐루야와 임마누엘이 서로 우승을 다투던 전성기시절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2003년 K2리그(이후 [[내셔널리그]])가 출범하자 [[익산]]을 연고로 리그에 참여하였으나 지자체 주민들의 반발로 후반기에는 연고 경기장을 사용하지 못해 리그에 참여하지 못했으며, 2003년 말 [[김포]]를 연고로 활동하게 되었으며, 이 시기에는 서산, 험멜 등과 탈꼴찌 경쟁을 하는 상황이었다. 2006년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에서 18년만에 우승을 차지하며<ref>당시 언론에서는 1988년 이후 18년만에 대통령배를 우승했다고 하였다. 88년 우승팀은 임마누엘이 아니라 할렐루야였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73&aid=0000001467 할렐루야, 18년만에 대통령배축구 우승] -2006년 3월 30일, [[스포츠서울]]- </ref> 상승세를 탔으나 그해 내셔널리그 챔피언결정전에서 [[고양KB]]에 분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하고 말았다. 이후 [[안산와~스타디움]] 완공후 축구단을 유치하려던 안산시와 연고협약을 체결하고 2007년부터 안산 할렐루야라는 이름으로 활동하였으며, 2012년에는 종교색을 지우고 향후 K리그 입성을 위해 '''안산 H FC''' 라는 이름으로 변경하였다. 그러나 종교색으로 인해 안산시와 갈등을 빚으며 결국 2012년 고양시와 연고협약을 맺고 2013년부터 '''[[고양 Hi FC]]'''라는 명칭으로 [[K리그 챌린지]]에서 활동하게 되었다.
=== 1999년 창단한 이름만 같은 다른 구단이라는 주장 ===
=== 1999년 창단한 이름만 같은 다른 구단이라는 주장 ===
원조 할렐루야 축구단의 운영주체였던 기독교선교횃불재단이 1997년 창단한 할렐루야 유소년 축구클럽을 지금까지도 운영을 해오고 있다는것은 1999년 2월 재창단한 99년 재창단한 할렐루야 축구단은 1980년에 창단한 원조 할렐루야 축구단은 별개의 구단이라는 주장을 가리킨다. 하지만 1999년 재창단된 할렐루야는 안산 시절, 별도의 유소년 축구팀을 창단했고 고양에서는 하이드림 유소년이라는 별도의 유소년 축구단을 운영중에 있다. 즉 2014년 현재, 기독교선교횃불재단의 할렐루야 유소년 축구클럽과 고양 Hi FC의 유소년 축구클럽은 완전히 별개의 클럽이기 때문에, 기독교선교횃불재단이 운영하던 원조 할렐루야 축구단과 1999년 재창단한 할렐루야 축구단의 연관성을 주장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본다.
원조 할렐루야 축구단의 운영주체였던 기독교선교횃불재단이 1997년 창단한 할렐루야 유소년 축구클럽을 지금까지도 운영을 해오고 있다는것은 1999년 2월 재창단한 99년 재창단한 할렐루야 축구단은 1980년에 창단한 원조 할렐루야 축구단은 별개의 구단이라는 주장을 가리킨다. 하지만 1999년 재창단된 할렐루야는 안산 시절, 별도의 유소년 축구팀을 창단했고 고양에서는 하이드림 유소년이라는 별도의 유소년 축구단을 운영중에 있다. 즉 2014년 현재, 기독교선교횃불재단의 할렐루야 유소년 축구클럽과 고양 Hi FC의 유소년 축구클럽은 완전히 별개의 클럽이기 때문에, 기독교선교횃불재단이 운영하던 원조 할렐루야 축구단과 1999년 재창단한 할렐루야 축구단의 연관성을 주장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본다.
== 연고지 변경 논쟁 ==
== 연고지 변경 논쟁 ==
=== 패륜이 아니라는 주장 ===
=== 패륜이 아니라는 주장 ===
연고이전은 분명 지양해야 한다. 하지만 할렐루야 축구단은 워낙 특수한 구단이며 기존의 구단들과 같은 잣대를 무조건 적용하긴 어렵다고 본다. 일단 지나친 종교색으로 할렐루야 축구단의 입성에 반감을 가지는 여론이 연고지내에서 분명히 존재해 왔으며, 내셔널리그의 시청구단이나 프로리그의 시민구단처럼 지역축구 발전의 목적이 아닌 아마추어내에서 선교를 위한 구단이었다. 하지만 실업축구가 내셔널리그로 재출범하면서 연고제도가 도입이 되었다. 할렐루야 축구단은 계속 자리를 지켜온거지만 리그환경은 변한것이다.지원금을 이유로 연고이전을 한 할렐루야 축구단도 문제지만 원래 실업축구가 지역연고에 기반하는 대회도 아니었던건 분명한 사실이다. 아직 정착하지도 않은 실업축구 지역연고를 프로축구와 같은 지역연고 확립을 이유로 비판하는것은 올바르지 않다.
연고이전은 분명 지양해야 한다. 하지만 할렐루야 축구단은 워낙 특수한 구단이며 기존의 구단들과 같은 잣대를 무조건 적용하긴 어렵다고 본다. 일단 지나친 종교색으로 할렐루야 축구단의 입성에 반감을 가지는 여론이 연고지내에서 분명히 존재해 왔으며, 내셔널리그의 시청구단이나 프로리그의 시민구단처럼 지역축구 발전의 목적이 아닌 아마추어내에서 선교를 위한 구단이었다. 하지만 실업축구가 내셔널리그로 재출범하면서 연고제도가 도입이 되었다. 할렐루야 축구단은 계속 자리를 지켜온거지만 리그환경은 변한것이다.지원금을 이유로 연고이전을 한 할렐루야 축구단도 문제지만 원래 실업축구가 지역연고에 기반하는 대회도 아니었던건 분명한 사실이다. 아직 정착하지도 않은 실업축구 지역연고를 프로축구와 같은 지역연고 확립을 이유로 비판하는것은 올바르지 않다.
= 선수단<ref>2012년 시즌종료 시점 명단. 즉 할렐루야가 [[내셔널리그]]에 마지막으로 참가하던 시점이다.</ref> =
= 선수단<ref>2012년 시즌종료 시점 명단. 즉 할렐루야가 [[내셔널리그]]에 마지막으로 참가하던 시점이다.</ref> =
파일:고양 Hi FC.png| 2013년 고양 Hi FC<br />
파일:고양 Hi FC.png| 2013년 고양 Hi FC<br />
</gallery>
</gallery>
== 홈구장 ==
== 홈구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