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편집 요약 없음
'''축국'''(蹴鞠)은 중국에서 기원한 고대의 공놀이로 한국, 일본, 베트남 등 한자문화권에서 유행한 놀이이다. 축국은 찰'''축'''(蹴), 가죽공'''국'''(鞠)으로 가죽공을 차다라는 뜻. 중국에서는 '''추쥐'''(蹴鞠,cùjū)라고 부르며 일본에서는 '''케마리(けまり)''' 혹은 '''슈키쿠'''(蹴鞠,しゅうきく)라 부른다.
'''축국'''(蹴鞠)은 중국에서 기원한 고대의 공놀이로 중국 뿐만 아니라 한국, 일본, 베트남 등 한자문화권에서 유행한 놀이이다.
= 의미 =
축국은 찰'''축'''(蹴), 가죽공'''국'''(鞠)으로 가죽공을 차다라는 뜻. 중국에서는 '''추쥐'''(蹴鞠,cùjū)라고 부르며 일본에서는 '''케마리(けまり)''' 혹은 '''슈키쿠'''(蹴鞠,しゅうきく)라 부른다.
= 각국의 축국 =
== 중국(추쥐) ==
역사적으로는 한나라 시대부터 cùjū에 관한 기록이 남아있다고 한다. 이후 송ㆍ명대에 크게 성행하였는데, 이는 수호전의 주 악역으로 나오는 고구가 cùjū의 명인으로 송 휘종의 총애를 받는 장면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 각국의 축국 ==
== 한국(축국) ==
=== 중국(추쥐) ===
축국은 중국 cùjū가 전파되어 발달하였으며, 삼국시대 부터 성행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김춘추와 김유신 간의 축국 이야기는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오늘날까지 전해질 정도..
== 일본(케마리) ==
중국의 cùjū가 7C 무렵 전파되면서 일본 내에서 시작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헤이안 시대 때 귀족들을 중심으로 대대적으로 유행하였다고 한다. 때문에 현재에도 케마리 전승자들은 헤이안 시대 무렵의 귀족 복제를 입고 케마리를 진행하고 있다.
=== 한국(축국)
= 의의 =
2004년에는 [[FIFA]]가 축구의 발상지(The Cradle of Football)는 중국이라고 공인해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Ref>[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tg=news&mod=read&office_id=020&article_id=0000268646 FIFA 축구의 발상지는 중국 - 동아일보]</ref>
= 참고 =
<References/>
<References/>
[[분류:풋볼]]
[[분류:풋볼]]
[[분류:중국]]
[[분류: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