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4 바이트 추가됨 ,  2010년 4월 7일 (수) 19:09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주심(1명), 부심(2명), 대기심(1명)으로 치뤄지는 [[4심제]]에 2명의 추가부심(Additional Assistant Referee) 을 더하여 총 6명의 심판을 투입하는 심판제도. 정식명칭은 아니다. 추가 부심은 페널티 지역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해 주심의 판정을 돕는 역할을 한다.  
 
주심(1명), 부심(2명), 대기심(1명)으로 치뤄지는 [[4심제]]에 2명의 추가부심(Additional Assistant Referee) 을 더하여 총 6명의 심판을 투입하는 심판제도. 정식명칭은 아니다. 추가 부심은 페널티 지역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해 주심의 판정을 돕는 역할을 한다.  
   −
현재의 4심제에서 주심의 대각선심판법(diagonal system of control)으로 커버하기 힘든 부심이 지키고 있는 터치라인(touchline) 반대편에서 생길 수 있는 오심을 방지하고자 추가부심 2명을 부심이 있는 터치라인 반대편 골라인에 배치하여 골라인 및 패널티지역의 상황을 판단하는데 도움을 주는 제도이다. [[국제축구평의회]](International Football Association Board, 이하 ‘IFAB’)의 결정에 따라 2009-2010 유럽축구연맹(UEFA) [[유로파 리그]] 그룹 예선에서 운영 중이며, 국제축구연맹(FIFA)과 UEFA도 테스트 중이다.  
+
현재의 4심제에서 주심의 [[대각선심판법]](diagonal system of control)으로 커버하기 힘든 부심이 지키고 있는 터치라인(touchline) 반대편에서 생길 수 있는 오심을 방지하고자 추가부심 2명을 부심이 있는 터치라인 반대편 골라인에 배치하여 골라인 및 패널티지역의 상황을 판단하는데 도움을 주는 제도이다. [[국제축구평의회]](International Football Association Board, 이하 ‘IFAB’)의 결정에 따라 2009-2010 유럽축구연맹(UEFA) [[유로파 리그]] 그룹 예선에서 운영 중이며, 국제축구연맹(FIFA)과 UEFA도 테스트 중이다.  
    
프로축구리그에서는 브라질축구 SerieA([[브라질레이랑]])에서 처음 적용되었다. K-리그에서는 2009 K-리그 쏘나타 [[챔피언십]] 플레이오프(2009/11/29)에서 처음으로 활용되었다.
 
프로축구리그에서는 브라질축구 SerieA([[브라질레이랑]])에서 처음 적용되었다. K-리그에서는 2009 K-리그 쏘나타 [[챔피언십]] 플레이오프(2009/11/29)에서 처음으로 활용되었다.
익명 사용자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