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번째 줄: |
1번째 줄: |
| | [[File:홍순학.jpg|200픽셀|섬네일|오스트리아 시절의 홍순학]] | | [[File:홍순학.jpg|200픽셀|섬네일|오스트리아 시절의 홍순학]] |
| − | '''홍순학'''(洪淳學, 1980년 9월 19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선수로, 2003년부터 [[K리그]]에서 활약 중인 [[미드필더]]이다. | + | '''홍순학'''(洪淳學, 1980년 9월 19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선수로, 2003년부터 2015년까지 [[K리그]]에서 활약한 [[수비형 미드필더]]이다. |
| | | | |
| | | |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 * 신체 : 178cm / 70kg | | * 신체 : 178cm / 70kg |
| | | | |
| − | * 유스클럽 : [[연세대학교]] 졸업 | + | * 학력 : [[연세대학교]] 졸업 |
| | | | |
| | * 포지션 : [[수비형 미드필더]], [[사이드 풀백]](좌-우) | | * 포지션 : [[수비형 미드필더]], [[사이드 풀백]](좌-우)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 * 국가대표 경력 | | * 국가대표 경력 |
| | : 2005년 [[동아시아연맹선수권]] 국가대표 | | : 2005년 [[동아시아연맹선수권]] 국가대표 |
| − |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 A매치 통산 1경기 출장)''' | + |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 [[A매치]] 통산 1경기 출전)''' |
| | | | |
| − | * 현 소속팀 : - | + | * 현 소속팀 : {{국기그림|인도네시아}} 페르시자 자카르타 |
| | | | |
| − | * [[등번호]] : - | + | * [[등번호]] : 22 |
| | {{col-3}} | | {{col-3}} |
| | * K리그 기록 | | * K리그 기록 |
| 62번째 줄: |
62번째 줄: |
| | | 2014 || 0 ||0 || 0||0||0||0 | | | 2014 || 0 ||0 || 0||0||0||0 |
| | |- | | |- |
| − | | 2015 || {{팀/고양|1}} || 챌린지 || 12 || 11 || 0 || 1 || 2 || 0 | + | | 2015 || {{팀|고양|2013}} || 챌린지 || 12 || 11 || 0 || 1 || 2 || 0 |
| | |- style="background:#C0C0C0" | | |- style="background:#C0C0C0" |
| | ! rowspan=2|통산 ||colspan=2| [[K리그 클래식]] || 166 ||70|| 5||17||32||1 | | ! rowspan=2|통산 ||colspan=2| [[K리그 클래식]] || 166 ||70|| 5||17||32||1 |
| 87번째 줄: |
87번째 줄: |
| | | | |
| | === 수원 시절 === | | === 수원 시절 === |
| − | 2007년 2월 K리그의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이적한 홍순학은 수원의 레귤러 멤버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오스트리아에서의 충격이 좀 컸던 탓인지 아직까지 수원에서 많은 어시스트는 기록하지 못하고 있다.<REF>2007년, 2009년 각각 1시즌 동안 1도움 만을 기록했고, 2013시즌에 들어서야 1시즌동안 2개 도움을 기록하였다.</REF> 이후 홍순학은 대구 시절과 같은 공격적인 성향을 버리고 홀딩 성향의 미드필더로 전환, 철벽방어를 보여주며 [[2008년 K리그]] 우승 등에 공헌하였다. [[윤성효]] 감독 부임 이후 부상이 겹치며 방출 리스트에 오를 뻔 하였으나 기사회생, 현재까지 수원 소속으로 활동하고 있다. 2010년 이후로는 포지션을 풀백으로 변경해 활동하고 있으며, 실제로 홍순학이 출전한 경기중 본래의 포지션인 수비형 미드필더로 출전한 경기보다 풀백으로서 출전한 경기가 더 많다. 좌측이나 우측 가리지 않고 풀백으로 교체 투입되는 모습이 있으며 앞으로도 풀백 서브 자원으로 활약할 전망이다. 그렇게 홍순학은 2013년부터 지휘봉을 잡은 [[서정원]] 감독 지휘 아래에서도 과거와 같이 필요한 곳에 적시적소에 활용되었다. 그러나 노쇠화가 시작되어 2013년부터 점차 체력적인 한계를 보이는 모습. 결국 2014년에는 후보로 내려가 경기에 출전하지 못하였고 최고참 선수로 경기장 외적으로 젊은 선수들을 이끌어주는 역할을 하였다. | + | 2007년 3월 K리그의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이적한 홍순학은 수원의 레귤러 멤버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오스트리아에서의 충격이 좀 컸던 탓인지 아직까지 수원에서 많은 어시스트는 기록하지 못하고 있다.<REF>2007년, 2009년 각각 1시즌 동안 1도움 만을 기록했고, 2013시즌에 들어서야 1시즌동안 2개 도움을 기록하였다.</REF> 이후 홍순학은 대구 시절과 같은 공격적인 성향을 버리고 홀딩 성향의 미드필더로 전환, 철벽방어를 보여주며 [[2008년 K리그]] 우승 등에 공헌하였다. [[윤성효]] 감독 부임 이후 부상이 겹치며 방출 리스트에 오를 뻔 하였으나 기사회생, 현재까지 수원 소속으로 활동하고 있다. 2010년 이후로는 포지션을 풀백으로 변경해 활동하고 있으며, 실제로 홍순학이 출전한 경기중 본래의 포지션인 수비형 미드필더로 출전한 경기보다 풀백으로서 출전한 경기가 더 많다. 좌측이나 우측 가리지 않고 풀백으로 교체 투입되는 모습이 있으며 앞으로도 풀백 서브 자원으로 활약할 전망이다. 그렇게 홍순학은 2013년부터 지휘봉을 잡은 [[서정원]] 감독 지휘 아래에서도 과거와 같이 필요한 곳에 적시적소에 활용되었다. 그러나 노쇠화가 시작되어 2013년부터 점차 체력적인 한계를 보이는 모습. 결국 2014년에는 후보로 내려가 경기에 출전하지 못하였고 최고참 선수로 경기장 외적으로 젊은 선수들을 이끌어주는 역할을 하였다. |
| | | | |
| | | | |
| − | === 고양 시절 === | + | === 고양 시절과 그 이후 === |
| − | 수원에서 생활을 정리하고 [[K리그 챌린지]]의 [[고양 Hi FC]]로 이적하였다. 많은 경기에 출전하지 못하였으나 사이드나 중원을 번갈아가며 출전하였고 시즌 종료 후 고양에서 퇴단하였다. | + | 수원에서 생활을 정리하고 [[K리그 챌린지]]의 [[고양 Hi FC]]로 이적하였다. 많은 경기에 출전하지 못하였으나 사이드나 중원을 번갈아가며 출전하였고 시즌 종료 후 고양에서 퇴단하였다. 고양에서 퇴단 후 한동안 소식이 없자 황혼기에 접어든 홍 선수의 나이로 인해 은퇴를 결정하지 않았나 하는 추측들이 나오기도 했지만, 2016년 봄부터 인도네시아의 페르시자 자카르타에 입단해 선수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
| | | | |
| | | | |
| 103번째 줄: |
103번째 줄: |
| | * 2005년 8월 7일 [[동아시아 축구선수권대회]]에서 일본과의 경기로 A매치 데뷔전을 치러, 대구 FC가 배출해낸 첫 번째 국가대표 선수가 되었다. | | * 2005년 8월 7일 [[동아시아 축구선수권대회]]에서 일본과의 경기로 A매치 데뷔전을 치러, 대구 FC가 배출해낸 첫 번째 국가대표 선수가 되었다. |
| | | | |
| − | * 수원에서 8시즌 동안 궂은일을 도맡아 했었던 선수이다. 그런데 2014년을 끝으로 떠나는 홍순학에게 떠난다는 기사는 커녕 SNS에 소식하나 전하지 않았다. 이 일로 인하여 수원 구단이 보이지 않는 곳에서 헌신한 선수에 대하여 너무 소홀한 것이 아닌가하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 + | * 수원에서 8시즌 동안 궂은일을 도맡아 했었던 선수이다. 그런데 2014년을 끝으로 떠나는 홍순학에게 떠난다는 기사는 커녕 SNS에 소식하나 전하지 않았다. 이 일로 인하여 수원 구단이 보이지 않는 곳에서 헌신한 선수에 대하여 너무 소홀한 것이 아닌가하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ref>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팬 페이지에서는 2014년 팀을 떠날 당시와 인도네시아 슈퍼리그 진출 후 홍순학 선수가 직접 작성한 인사글을 두 차례 대신 올려주며 소식을 궁금해한 팬들에게 근황을 대신 전해주고 있었다.</ref> |
| | | | |
| | | | |
| 114번째 줄: |
114번째 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수상 == |
| | + | * 개인 |
| | + | ** [[2004년 K리그]] 도움왕 수상 |
| | + | |
| | + | |
| | + | * 클럽 |
| | + | ** {{팀/수원}} |
| | + | ** [[K리그]] 우승 1회 (2008년) |
| | + | ** [[FA컵]] 우승 2회 (2009년, 2010년) |
| | + | ** [[리그컵]] 우승 1회 (2008년) |
| | + | ** [[팬퍼시픽 챔피언십]] 우승 1회 (2009년) |
| | | | |
| | | | |
| 123번째 줄: |
136번째 줄: |
| | | 2003 ~ 2005 || {{팀/대구}} || [[K리그]] || | | | 2003 ~ 2005 || {{팀/대구}} || [[K리그]] || |
| | |- | | |- |
| − | | 2006 ~ 2007 || {{국기그림|오스트리아}} 그라츠 AK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 + | | 2006 ~ 2007 || {{국기그림|오스트리아}} 그라츠 AK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
| | |- | | |- |
| − | | 2007 ~ 2014 || {{팀/수원}} || [[K리그 클래식]] || | + | | 2007.03 ~ 2014.12 || {{팀/수원}} || [[K리그 클래식]] || |
| | |- | | |- |
| − | | 2015 || {{팀/고양}} || [[K리그 챌린지]] || | + | | 2015.02 ~ 2015.12 || {{팀|고양|2013}} || [[K리그 챌린지]] || |
| | + | |- |
| | + | | 2016.04 ~ 현재 || {{국기그림|인도네시아}} 페르시자 자카르타 || [[인도네시아 슈퍼리그]] || |
| | |} | | |} |
| − |
| |
| − |
| |
| − | == 수상 ==
| |
| − | * 개인
| |
| − | ** [[2004년 K리그]] 도움왕 수상
| |
| − |
| |
| − |
| |
| − | * 클럽
| |
| −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
| − | ** [[K리그]] 우승 1회 (2008년)
| |
| − | ** [[FA컵]] 우승 2회 (2009년, 2010년)
| |
| − | ** [[리그컵]] 우승 1회 (2008년)
| |
| − | ** [[팬퍼시픽 챔피언십]] 우승 1회 (2009년)
| |
| | | | |
| | | | |
| | == 참고 == | | == 참고 == |
| | <references/> | | <references/> |
| | + | |
| | | | |
| | {{K리그 도움왕}} | | {{K리그 도움왕}} |
| − |
| |
| | [[분류:1980년생]][[분류:배재고등학교의 선수]][[분류:연세대학교의 선수]][[분류:대구 FC의 선수]][[분류:해외진출 선수]][[분류: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선수]][[분류:고양 Hi FC의 선수]][[분류:K리그 도움왕]][[분류:홍이삭의 아이들]] | | [[분류:1980년생]][[분류:배재고등학교의 선수]][[분류:연세대학교의 선수]][[분류:대구 FC의 선수]][[분류:해외진출 선수]][[분류: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선수]][[분류:고양 Hi FC의 선수]][[분류:K리그 도움왕]][[분류:홍이삭의 아이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