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편집 요약 없음
[[파일:Ilija Petkovic.jpg|180픽셀|섬네일|페트코비치]]
'''일리야 페트코비치'''(1945년 9월 22일 ~ 현재)은 [[세르비아]] 국적의 [[미드필더]] 출신 [[지도자]]다.
== 선수 프로필 ==
{{col-begin}}
{{col-3}}
* 성명: '''일리야 페트코비치 (Ilija Petkovic)'''
* 국적 : {{국기그림|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 → {{국기그림|세르비아}} [[세르비아]]
* 출생일 : 1945년 9월 22일
* 출생지 : {{국기그림|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 크닌
* 포지션 : [[윙 포워드]] (오른쪽)
* 국가 대표팀 기록
: 1968년 유로 본선 대표
: [[1974년 FIFA 서독 월드컵]] 본선 대표
: 1968년 ~ 1974년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
: '''(통산 A매치 43경기 출장 6골)'''
* 현 소속 클럽 : 선수 생활 은퇴
{{col-3}}
* 프로 기록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8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style="background:#C0C0C0"
! 소속팀 !! 리그 !! 연도 !! 출장 !! 득점
|-
| OFK 베오그라드 || 유고슬라비아 최고리그 || 1964 ~ 1973 || 212경기 || 37골
|-
| 트루아 AC || 프랑스 1부리그 || 1973 ~ 1976 || 122경기 || 7골
|-
| OFK 베오그라드 || 유고슬라비아 최고리그 ||1979 ~ 1983 || 171경기 || 16골
|-
! 총합 || colspan="2"|- || 505경기 || 60골
|-
|}
{{col-end}}
== 지도자 프로필 ==
{{col-begin}}
{{col-3}}
* 성명: '''일리야 페트코비치''' (Ilija Petkovic)
* K리그 등록명: 페트코비치
* 국적 : {{국기그림|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 → {{국기그림|세르비아}} [[세르비아]]
* 출생일 : 1945년 9월 22일
* 출생지 : {{국기그림|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 크닌
* 지도자 자격 : [[UEFA]] 프로 라이센스
* 현 소속 클럽 : 무소속
* 직책 : [[감독]]
{{col-3}}
* K리그 감독 기록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8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style="background:#C0C0C0"
!소속팀 !! 대회 !! 연도 !! 승 !! 무 !! 패 !! 리그 순위 !! 컵대회 !! FA컵 !! ACL
|-
| rowspan="2"|{{팀|인천}}|| rowspan="2"| [[K리그]] || 2009 || 13 || 15 || 8 ||6위 || 5위 ||32강 ||rowspan="3"|자격<br/>없음
|-
| 2010 ||7 ||2 ||7 || colspan="3"|중도사임<ref>2010년 6월 8일 자진사임하였다.</ref>
|-
| {{팀|경남}}|| [[K리그 클래식|클래식]] || 2013 ||6 || 6||13 || 11위||미개최 ||8강
|-
! 통산 || colspan="2"| 클래식 || 26||23 || 28|| colspan="4"|-
|}
:[[K리그]] 통산 승무패 기록은 [[리그컵]] 기록을 포함합니다. 2013년 3월 1일 기준
{{col-end}}
== 프로 시절 ==
세르비아의 크닌(당시 유고슬라비아 연방)에서 태어난 페트코비치는 지역 클럽인 NK 디 나라에서 축구를 시작, 19세 되던 해 OFK 베오그라드로 이적하여 활약하였다. 오른쪽 윙 포워드로 빠른 스피드를 활용한 폭발적인 돌파가 주무기였다는듯.OFK 베오그라드에서 4번째 시즌인 1968년 유고 연방 대표팀에 선발된 페트코비치는 1968년 유럽 선수권 대회를 거쳐 프랑스 리그팀인 트루아 AC에서 활약하며<ref>당시 유고슬라비아는 28세가 넘어가면 해외 프로팀 진출이 가능했다.</ref> 1974년 월드컵 대표팀에 선발되었다. 74년 월드컵에서는 본선 무대에서 1골을 기록하며 조국을 위해 맹활약하였다. 1974년 6월 30일 폴란드와의 경기를 마지막으로 국가대표에서 은퇴한 그는 1979년 베오그라드로 돌아가 은퇴하는 1983년 7월 1일까지 171경기에 나서 16골을 기록하며 친정팀의 전설로 자리잡았다.
== 지도자 생활 ==
1990년 친정팀 OFK 베오그라드의 감독으로 데뷔한 페트코비치는 스위스의 세르베테를 거쳐 일본의 아비스파 후쿠오카, 중국의 상하이 선화 등 아시아 클럽 감독직을 역임하다, 2003년 여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부임하여 팀을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 무대에 올려놓는 수완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2006년 월드컵 본선을 앞두고 부상 당한 Mirko Vucinic를 대신해 자신의 아들인 Dušan Petković 를 대표팀 명단에 올렸다가 구설수에 올랐고, 우여곡절을 뒤로 하고 나선 월드컵 본선 무대에서는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에 0:6 대패를 당하는 등, 0승 0무 3패 2득 10실이라 처참한 성적을 거두고말아 이후 대표팀 감독에서도 물러나고 한동안 지도자 생활을 쉬어야만 했다.
그리고 월드컵으로부터 3년여간 지난 2009년, 당시 인천 유나이티드의 대표 이사 [[안종복]]과 연이 닿아 [[장외룡]]의 뒤를 이어 인천 유나이티드의 감독으로 취임하였다. 인천 감독 시절 부인의 건강 문제로 사임한 페트코비치는<ref>[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105075&thread=06r03 (아시아뉴스통신-박상현) 인천 페트코비치 감독 자진사퇴]</ref> 곧이어 알 아흘리 도하 감독으로 취임하며 아시아 축구계에서 경력을 쌓아 갔고, 2013년 5월 29일 성적 문제로 사임한 [[최진한]] 감독의 뒤를 이어 경남의 감독으로 취임하게 되었다. 임기는 1년 반 뒤인 2014년까지.<ref>[http://www.gyeongnamfc.com/board_/view.asp?f_gbn=sportalnews&idx_key=1946 (인터풋볼-한재현) '유고의 명장' 페트코비치, 경남 지휘봉 잡다]</ref> 하지만 2013시즌 후반기 이미 무너져있던 팀 분위기를 추스리는데 실패한 페트코비치 감독은 13시즌 K리그 클래식 11위를 기록하며 간신히 강등권에서 탈출하는 성적표를 남겼고, 결국 애초에 예정된 계약 기간을 다 채우지 못하고 경질되었다.<ref>이 때 경남 FC 팬들은 페트코비치 감독에게만 모든 책임을 전가하는 것은 지나친 처사라며 반발하기도 하였다.</ref>
== 감독 경력 ==
* {{국기그림|유고슬라비아}} OKF 베오그라드 (1990 ~ 1993)
* {{국기그림|스위스}} 세르베테 FC (1993 ~ 1995)
* {{국기그림|일본}} [[아비스파 후쿠오카]] (1998 ~ 1999)
* {{국기그림|그리스}} 아리스 테살로니키 (1999 ~ 2000)
* {{국기그림|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 (2000 ~ 2001)
* {{국기그림|중국}} [[상하이 선화]] (2001)
* {{국기그림|중국}} [[쓰촨 관청]] (2002)
* {{국기그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2003 ~ 2006)
* {{국기그림|대한민국}} [[인천 유나이티드]] (2009 ~ 2010)
* {{국기그림|카타르}} 알 아흘리 도하 (2010 ~ 2013)
* {{국기그림|대한민국}} [[경남 FC]] (2013)
== 에피소드 ==
== 같이 보기 ==
== 외부 링크 ==
== 참고 ==
<references />
{{경남 FC 역대 감독}}
[[분류:1945년생]][[분류:세르비아 국적의 지도자]][[분류:인천 유나이티드의 지도자]][[분류:경남 FC의 지도자]]
'''일리야 페트코비치'''(1945년 9월 22일 ~ 현재)은 [[세르비아]] 국적의 [[미드필더]] 출신 [[지도자]]다.
== 선수 프로필 ==
{{col-begin}}
{{col-3}}
* 성명: '''일리야 페트코비치 (Ilija Petkovic)'''
* 국적 : {{국기그림|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 → {{국기그림|세르비아}} [[세르비아]]
* 출생일 : 1945년 9월 22일
* 출생지 : {{국기그림|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 크닌
* 포지션 : [[윙 포워드]] (오른쪽)
* 국가 대표팀 기록
: 1968년 유로 본선 대표
: [[1974년 FIFA 서독 월드컵]] 본선 대표
: 1968년 ~ 1974년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
: '''(통산 A매치 43경기 출장 6골)'''
* 현 소속 클럽 : 선수 생활 은퇴
{{col-3}}
* 프로 기록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8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style="background:#C0C0C0"
! 소속팀 !! 리그 !! 연도 !! 출장 !! 득점
|-
| OFK 베오그라드 || 유고슬라비아 최고리그 || 1964 ~ 1973 || 212경기 || 37골
|-
| 트루아 AC || 프랑스 1부리그 || 1973 ~ 1976 || 122경기 || 7골
|-
| OFK 베오그라드 || 유고슬라비아 최고리그 ||1979 ~ 1983 || 171경기 || 16골
|-
! 총합 || colspan="2"|- || 505경기 || 60골
|-
|}
{{col-end}}
== 지도자 프로필 ==
{{col-begin}}
{{col-3}}
* 성명: '''일리야 페트코비치''' (Ilija Petkovic)
* K리그 등록명: 페트코비치
* 국적 : {{국기그림|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 → {{국기그림|세르비아}} [[세르비아]]
* 출생일 : 1945년 9월 22일
* 출생지 : {{국기그림|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 크닌
* 지도자 자격 : [[UEFA]] 프로 라이센스
* 현 소속 클럽 : 무소속
* 직책 : [[감독]]
{{col-3}}
* K리그 감독 기록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8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style="background:#C0C0C0"
!소속팀 !! 대회 !! 연도 !! 승 !! 무 !! 패 !! 리그 순위 !! 컵대회 !! FA컵 !! ACL
|-
| rowspan="2"|{{팀|인천}}|| rowspan="2"| [[K리그]] || 2009 || 13 || 15 || 8 ||6위 || 5위 ||32강 ||rowspan="3"|자격<br/>없음
|-
| 2010 ||7 ||2 ||7 || colspan="3"|중도사임<ref>2010년 6월 8일 자진사임하였다.</ref>
|-
| {{팀|경남}}|| [[K리그 클래식|클래식]] || 2013 ||6 || 6||13 || 11위||미개최 ||8강
|-
! 통산 || colspan="2"| 클래식 || 26||23 || 28|| colspan="4"|-
|}
:[[K리그]] 통산 승무패 기록은 [[리그컵]] 기록을 포함합니다. 2013년 3월 1일 기준
{{col-end}}
== 프로 시절 ==
세르비아의 크닌(당시 유고슬라비아 연방)에서 태어난 페트코비치는 지역 클럽인 NK 디 나라에서 축구를 시작, 19세 되던 해 OFK 베오그라드로 이적하여 활약하였다. 오른쪽 윙 포워드로 빠른 스피드를 활용한 폭발적인 돌파가 주무기였다는듯.OFK 베오그라드에서 4번째 시즌인 1968년 유고 연방 대표팀에 선발된 페트코비치는 1968년 유럽 선수권 대회를 거쳐 프랑스 리그팀인 트루아 AC에서 활약하며<ref>당시 유고슬라비아는 28세가 넘어가면 해외 프로팀 진출이 가능했다.</ref> 1974년 월드컵 대표팀에 선발되었다. 74년 월드컵에서는 본선 무대에서 1골을 기록하며 조국을 위해 맹활약하였다. 1974년 6월 30일 폴란드와의 경기를 마지막으로 국가대표에서 은퇴한 그는 1979년 베오그라드로 돌아가 은퇴하는 1983년 7월 1일까지 171경기에 나서 16골을 기록하며 친정팀의 전설로 자리잡았다.
== 지도자 생활 ==
1990년 친정팀 OFK 베오그라드의 감독으로 데뷔한 페트코비치는 스위스의 세르베테를 거쳐 일본의 아비스파 후쿠오카, 중국의 상하이 선화 등 아시아 클럽 감독직을 역임하다, 2003년 여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부임하여 팀을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 무대에 올려놓는 수완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2006년 월드컵 본선을 앞두고 부상 당한 Mirko Vucinic를 대신해 자신의 아들인 Dušan Petković 를 대표팀 명단에 올렸다가 구설수에 올랐고, 우여곡절을 뒤로 하고 나선 월드컵 본선 무대에서는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에 0:6 대패를 당하는 등, 0승 0무 3패 2득 10실이라 처참한 성적을 거두고말아 이후 대표팀 감독에서도 물러나고 한동안 지도자 생활을 쉬어야만 했다.
그리고 월드컵으로부터 3년여간 지난 2009년, 당시 인천 유나이티드의 대표 이사 [[안종복]]과 연이 닿아 [[장외룡]]의 뒤를 이어 인천 유나이티드의 감독으로 취임하였다. 인천 감독 시절 부인의 건강 문제로 사임한 페트코비치는<ref>[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105075&thread=06r03 (아시아뉴스통신-박상현) 인천 페트코비치 감독 자진사퇴]</ref> 곧이어 알 아흘리 도하 감독으로 취임하며 아시아 축구계에서 경력을 쌓아 갔고, 2013년 5월 29일 성적 문제로 사임한 [[최진한]] 감독의 뒤를 이어 경남의 감독으로 취임하게 되었다. 임기는 1년 반 뒤인 2014년까지.<ref>[http://www.gyeongnamfc.com/board_/view.asp?f_gbn=sportalnews&idx_key=1946 (인터풋볼-한재현) '유고의 명장' 페트코비치, 경남 지휘봉 잡다]</ref> 하지만 2013시즌 후반기 이미 무너져있던 팀 분위기를 추스리는데 실패한 페트코비치 감독은 13시즌 K리그 클래식 11위를 기록하며 간신히 강등권에서 탈출하는 성적표를 남겼고, 결국 애초에 예정된 계약 기간을 다 채우지 못하고 경질되었다.<ref>이 때 경남 FC 팬들은 페트코비치 감독에게만 모든 책임을 전가하는 것은 지나친 처사라며 반발하기도 하였다.</ref>
== 감독 경력 ==
* {{국기그림|유고슬라비아}} OKF 베오그라드 (1990 ~ 1993)
* {{국기그림|스위스}} 세르베테 FC (1993 ~ 1995)
* {{국기그림|일본}} [[아비스파 후쿠오카]] (1998 ~ 1999)
* {{국기그림|그리스}} 아리스 테살로니키 (1999 ~ 2000)
* {{국기그림|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 (2000 ~ 2001)
* {{국기그림|중국}} [[상하이 선화]] (2001)
* {{국기그림|중국}} [[쓰촨 관청]] (2002)
* {{국기그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2003 ~ 2006)
* {{국기그림|대한민국}} [[인천 유나이티드]] (2009 ~ 2010)
* {{국기그림|카타르}} 알 아흘리 도하 (2010 ~ 2013)
* {{국기그림|대한민국}} [[경남 FC]] (2013)
== 에피소드 ==
== 같이 보기 ==
== 외부 링크 ==
== 참고 ==
<references />
{{경남 FC 역대 감독}}
[[분류:1945년생]][[분류:세르비아 국적의 지도자]][[분류:인천 유나이티드의 지도자]][[분류:경남 FC의 지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