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File:정대세.jpg|300픽셀|섬네일|<center>시미즈 에스펄스의 정대세</center>]] | + | [[File:정대세.jpg|300픽셀|섬네일|<center>수원 시절의 정대세</center>]] |
| − | '''정대세'''(鄭大世, 1984년 3월 2일 ~ )는 [[대한민국]]과 [[북한]] 국적의 [[재일교포]] 3세 축구선수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K리그]]에서 활동한 [[스트라이커]]이다. | + | '''정대세''' (鄭大世, 1984년 3월 2일 ~ )는 [[대한민국]]과 [[북한]] 국적의 [[재일교포]] 3세 축구선수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K리그]]에서 활동하였던 [[스트라이커]]이다. |
| | | | |
| | | |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 [[K리그 등록명|등록명]] : 정대세 | | * [[K리그 등록명|등록명]] : 정대세 |
| | | | |
| − | * 국적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국기그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한]] | + | * 국적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ㆍ{{국기그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한]] |
| | | | |
| | * 출생지 : {{국기그림|일본}} 아이치 현 나고야 시 | | * 출생지 : {{국기그림|일본}} 아이치 현 나고야 시 |
| 78번째 줄: |
78번째 줄: |
| | | | |
| | === 시미즈 에스펄스 시절 === | | === 시미즈 에스펄스 시절 === |
| − | 전반기 최악의 부진을 겪은 시미즈는 정대세와 이적료 약 4억 원 수준에 연봉 약 7억 원<ref>실질적으로 발표된 연봉은 약 6000만 엔으로 한화로 6억 원 수준으로 알려져 있으나 정대세 본인은 그보다 더 많이 받는다고 언급하였다고 한다.</ref>으로 3년 6개월 계약을 맺었다. 정대세는 수원 측에서 이적 동의서를 발급해주지 않아서 이적 후 시간이 지난 7월 25일 옛 친정팀 가와사키 프론탈레를 상대로 데뷔전을 가지게 되었으나 2-3으로 패하고 말았다. 이후 리그에서 대부분 선발 출전하였지만, 후반기 시미즈의 부진을 털어줄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하였고,<ref>후반기 시미즈의 공격진의 활약은 대부분 저조하였다. 오마에 겐키(大前 元紀, 1989.12.10 ~ )는 시즌 총 12골을 기록했지만 8월 중순 이후로 침묵하였고, 정대세 또한 이적 후 단 4골을 기록하였다. 그 외 공격수로 등록된 선수들은 모두 시즌 내내 1~2골을 기록한 것이 전부였고 나이지리아 국가대표 출신으로 기대를 모은 외국인 공격수 피터 우타카(Peter Utaka, 1984.02.12 ~ )는 시즌 총 9골을 기록했지만 위에 언급된 7월 25일 정대세 데뷔 경기에서 멀티골 이후로 시즌 종료까지 무득점 행진을 이어가 네임벨류에 비해 실망스러운 보였다.</ref> 13경기에 출전하여 단 4골에 그친 채 시미즈 팀 역사상 첫 [[J리그 디비전2]]로 강등을 막지 못하였다. 시즌 종료 후 정대세는 시미즈가 강등됐음에도 함께할 것을 밝혔다. | + | 전반기 최악의 부진을 겪은 시미즈는 정대세와 이적료 약 4억 원 수준에 연봉 약 7억 원<ref>실질적으로 발표된 연봉은 약 6000만 엔으로 한화로 6억 원 수준으로 알려져 있으나 정대세 본인은 그보다 더 많이 받는다고 언급하였다고 한다.</ref>으로 3년 6개월 계약을 맺었다. 정대세는 수원 측에서 이적 동의서를 발급해주지 않아서 이적 후 시간이 지난 7월 25일 옛 친정팀 가와사키 프론탈레를 상대로 데뷔전을 가지게 되었으나 2-3으로 패하고 말았다. 이후 리그에서 대부분 선발 출전하였지만, 후반기 시미즈의 부진을 털어줄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하였고,<ref>후반기 시미즈의 공격진의 활약은 대부분 저조하였다. 오마에 겐키(大前 元紀, 1989.12.10 ~ )는 시즌 총 12골을 기록했지만 8월 중순 이후로 침묵하였고, 정대세 또한 이적 후 단 4골을 기록하였다. 그 외 공격수로 등록된 선수들은 모두 시즌 내내 1~2골을 기록한 것이 전부였고 나이지리아 국가대표 출신으로 기대를 모은 외국인 공격수 피터 우타카(Peter Utaka, 1984.02.12 ~ )는 시즌 총 9골을 기록했지만 위에 언급된 7월 25일 정대세 데뷔 경기에서 멀티골 이후로 시즌 종료까지 무득점 행진을 이어가 네임벨류에 비해 실망스러운 보였다.</ref> 13경기에 출전하여 단 4골에 그친 채 시미즈 팀 역사상 첫 [[J리그 디비전2]]로 강등을 막지 못하였다. 시즌 종료 후 정대세는 시미즈가 강등됐음에도 함께할 것을 밝혔고, [[J리그 디비전2]]에서 컨디션을 회복하여서 주포로 활약하고 있다. |
| | | | |
| | | | |
| 100번째 줄: |
100번째 줄: |
| | ! 시즌 !! 소속팀 !! 리그 !! 비고 | | ! 시즌 !! 소속팀 !! 리그 !! 비고 |
| | |- | | |- |
| − | | 2006 ~ 2010 || {{국기그림|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 [[J리그]] || | + | | 2006 ~ 2010 || {{국기그림|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 [[J리그 디비전1]] || |
| | |- | | |- |
| | | 2010 ~ 2011 || {{국기그림|독일}} VfL Bochum || [[2. 분데스리가]] || | | | 2010 ~ 2011 || {{국기그림|독일}} VfL Bochum || [[2. 분데스리가]] || |
| 108번째 줄: |
108번째 줄: |
| | | 2013.01 ~ 2015.07 || {{팀/수원}} || [[K리그 클래식]] || | | | 2013.01 ~ 2015.07 || {{팀/수원}} || [[K리그 클래식]] || |
| | |- | | |- |
| − | | 2015.07 ~ 현재 || {{국기그림|일본}} 시미즈 에스펄스 || [[J리그]] → [[J2리그]] || | + | | 2015.07 ~ 현재 || {{국기그림|일본}} 시미즈 에스펄스 || [[J리그 디비전1]] → [[J리그 디비전2]] || |
| | |- | | |- |
| | |} | | |} |
| 115번째 줄: |
115번째 줄: |
| | == 같이 보기 == | | == 같이 보기 == |
| | * [[정이세]] | | * [[정이세]] |
| − |
| |
| − |
| |
| − | == 외부 링크 ==
| |
| | | | |
| | | | |
| 123번째 줄: |
120번째 줄: |
| | <references/> | | <references/> |
| | | | |
| − | [[분류:1984년생]][[분류:재일교포]][[분류: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선수]] | + | |
| | + | [[분류:1984년생]][[분류:재일교포]][[분류: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선수]][[분류:축구 패밀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