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360 바이트 추가됨 ,  2016년 12월 18일 (일) 20:21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
[[File:정대세.jpg|300픽셀|섬네일|<center>수원 시절의 정대세</center>]]
+
[[File:정대세.jpg|280픽셀|섬네일|<center>수원 시절의 정대세</center>]]
'''정대세''' (鄭大世, 1984년 3월 2일 ~ )는 [[대한민국]]과 [[북한]] 국적의 [[재일교포]] 3세 축구선수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K리그]]에서 활동하였던 [[스트라이커]]이다.
+
'''정대세''' (鄭大世, 1984년 3월 2일 ~ )는 [[대한민국]]과 [[북한]] 국적의 [[재일교포]] 3세 축구 선수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K리그]]에서 활동하였던 [[스트라이커]]이다.
      23번째 줄: 23번째 줄:     
* 포지션 : [[스트라이커]]
 
* 포지션 : [[스트라이커]]
 +
 +
* 수상 경력
 +
: 2016년 [[J2리그]] 득점상
    
* 국가대표 경력  
 
* 국가대표 경력  
 
:2008년 [[EAFF 동아시안컵]] 본선 대표  
 
:2008년 [[EAFF 동아시안컵]] 본선 대표  
 
:2010년 [[FIFA 남아프리카공화국 월드컵]] 본선 대표
 
:2010년 [[FIFA 남아프리카공화국 월드컵]] 본선 대표
: '''(북한 축구 [[국가대표]] [[A매치]] 통산 28경기 출전 15득점)'''                   
+
: '''(북한 축구 [[국가대표]] 통산 [[A매치]] 28경기 출전 15득점)'''                   
 
   
 
   
 
* 현 소속팀 : {{국기그림|일본}} 시미즈 에스펄스
 
* 현 소속팀 : {{국기그림|일본}} 시미즈 에스펄스
46번째 줄: 49번째 줄:  
! 통산 ||colspan=2| [[K리그 클래식]] || 72 || 36 || 23 || 8 || 10 || 0  
 
! 통산 ||colspan=2| [[K리그 클래식]] || 72 || 36 || 23 || 8 || 10 || 0  
 
|}
 
|}
:[[K리그]] 통산 기록은 [[리그컵]] 기록 포함. 2016년 3월 1일 기준
+
:[[K리그]] 통산 기록은 [[리그컵]] 기록 포함. 2017년 3월 1일 기준
 
:{{연맹선수기록|ID=20130107}}
 
:{{연맹선수기록|ID=20130107}}
 
{{col-end}}
 
{{col-end}}
78번째 줄: 81번째 줄:     
=== 시미즈 에스펄스 시절 ===
 
=== 시미즈 에스펄스 시절 ===
전반기 최악의 부진을 겪은 시미즈는 정대세와 이적료 약 4억 원 수준에 연봉 약 7억 원<ref>실질적으로 발표된 연봉은 약 6000만 엔으로 한화로 6억 원 수준으로 알려져 있으나 정대세 본인은 그보다 더 많이 받는다고 언급하였다고 한다.</ref>으로 3년 6개월 계약을 맺었다. 정대세는 수원 측에서 이적 동의서를 발급해주지 않아서 이적 후 시간이 지난 7월 25일 옛 친정팀 가와사키 프론탈레를 상대로 데뷔전을 가지게 되었으나 2-3으로 패하고 말았다. 이후 리그에서 대부분 선발 출전하였지만, 후반기 시미즈의 부진을 털어줄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하였고,<ref>후반기 시미즈의 공격진의 활약은 대부분 저조하였다. 오마에 겐키(大前 元紀, 1989.12.10 ~ )는 시즌 총 12골을 기록했지만 8월 중순 이후로 침묵하였고, 정대세 또한 이적 후 단 4골을 기록하였다. 그 외 공격수로 등록된 선수들은 모두 시즌 내내 1~2골을 기록한 것이 전부였고 나이지리아 국가대표 출신으로 기대를 모은 외국인 공격수 피터 우타카(Peter Utaka, 1984.02.12 ~ )는 시즌 총 9골을 기록했지만 위에 언급된 7월 25일 정대세 데뷔 경기에서 멀티골 이후로 시즌 종료까지 무득점 행진을 이어가 네임벨류에 비해 실망스러운 보였다.</ref> 13경기에 출전하여 단 4골에 그친 채 시미즈 팀 역사상 첫 [[J리그 디비전2]]로 강등을 막지 못하였다. 시즌 종료 후 정대세는 시미즈가 강등됐음에도 함께할 것을 밝혔고, [[J리그 디비전2]]에서 컨디션을 회복하여서 주포로 활약하고 있다.
+
전반기 최악의 부진을 겪은 시미즈는 정대세와 이적료 약 4억 원 수준에 연봉 약 7억 원<ref>실질적으로 발표된 연봉은 약 6000만 엔으로 한화로 6억 원 수준으로 알려져 있으나 정대세 본인은 그보다 더 많이 받는다고 언급하였다고 한다.</ref>으로 3년 6개월 계약을 맺었다. 정대세는 수원 측에서 이적 동의서를 발급해주지 않아서 이적 후 시간이 지난 7월 25일 옛 친정팀 가와사키 프론탈레를 상대로 데뷔전을 가지게 되었으나 2-3으로 패하고 말았다. 이후 리그에서 대부분 선발 출전하였지만, 후반기 시미즈의 부진을 털어줄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하였고,<ref>후반기 시미즈의 공격진의 활약은 대부분 저조하였다. 오마에 겐키(大前 元紀, 1989.12.10 ~ )는 시즌 총 12골을 기록했지만 8월 중순 이후로 침묵하였고, 정대세 또한 이적 후 단 4골을 기록하였다. 그 외 공격수로 등록된 선수들은 모두 시즌 내내 1~2골을 기록한 것이 전부였고 나이지리아 국가대표 출신으로 기대를 모은 외국인 공격수 피터 우타카(Peter Utaka, 1984.02.12 ~ )는 시즌 총 9골을 기록했지만 위에 언급된 7월 25일 정대세 데뷔 경기에서 멀티골 이후로 시즌 종료까지 무득점 행진을 이어가 네임벨류에 비해 실망스러운 보였다.</ref> 13경기에 출전하여 단 4골에 그친 채 시미즈 팀 역사상 첫 [[J2리그]]로 강등을 막지 못하였다. 시즌 종료 후 정대세는 시미즈가 강등됐음에도 함께할 것을 밝혔고, [[J2리그]]에서 컨디션을 회복하여서 주포로 활약하며 시즌 26득점으로 득점왕에 오르고 시미즈를 [[J1리그]]로 승격시켰다.
      90번째 줄: 93번째 줄:     
== 에피소드 ==
 
== 에피소드 ==
* 정대세의 이적과 관련되어 초반에는 논란보다는 재계약에 미온적인 태도와 이적 동의서를 늦게 발급해 주는 구단의 태도에 대하여 비판하는 목소리가 더 컸었다. 그러나 정대세가 이적 후 자신의 SNS에서의 언급<ref>사실, 정대세 이적과 관련되어 정대세의 판단 자체로는 논란의 소지가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몇 팬들은 2015년에 최고의 모습을 보여주는 상태에서 시즌 종료 후 FA 신분이 되어 시미즈로 이적할 당시보다 더 유리한 조건을 찾을 수 있는 정대세가 갑작스럽게 팀을 옮겨 간 후 점점 자신의 불만만 이야기하는 것에 대하여 반감이 생기게 되었다.</ref>과 스스로가 팀내 검은양임을 말하면서 여론이 나뉘게 되었다.<ref>본인 언급으로 술 먹고 숙소에서 난동을 피웠다는 소문이 있다. 그러한 이유로 서정원 감독도 처음으로 선수 개인에게 욕을 할 정도로 험악한 분위기가 연출됐었다고 한다.</ref>
+
* 정대세의 이적과 관련되어 초반에는 논란보다는 재계약에 미온적인 태도와 이적 동의서를 늦게 발급해 주는 구단의 태도에 대하여 비판하는 목소리가 더 컸었다. 그러나 정대세가 이적 후 자신의 SNS에서의 언급<ref>사실, 정대세 이적과 관련되어 정대세의 판단 자체로는 논란의 소지가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몇 팬들은 2015년에 최고의 모습을 보여주는 상태에서 시즌 종료 후 FA 신분이 되어 시미즈로 이적할 당시보다 더 유리한 조건을 찾을 수 있는 정대세가 갑작스럽게 팀을 옮겨 간 후 점점 자신의 불만만 이야기하는 것에 대하여 반감이 생기게 되었다.</ref>과 스스로가 팀내 검은양임을 말하면서 여론이 나뉘게 되었다.<ref>본인 언급으로 술 먹고 숙소에서 난동을 피웠다는 소문이 있다. 그러한 이유로 서정원 감독도 처음으로 선수 개인에게 욕을 할 정도로 험악한 분위기가 연출됐었다고 한다.</ref> 그러나 효율적인 운영 없이 예산만 줄이려고 방침을 세우다가 2016년 강등 위기까지 몰려 최악의 시즌을 보내온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행보를 볼 때 정대세의 지적 또한 틀린 말이 없다고 볼 수 있다.
    
* 2015년 전반기 동안 정대세가 도움에 눈을 뜬 비결(?)은 도움 수당이었다고 한다.
 
* 2015년 전반기 동안 정대세가 도움에 눈을 뜬 비결(?)은 도움 수당이었다고 한다.
102번째 줄: 105번째 줄:  
| 2006 ~ 2010 || {{국기그림|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 [[J리그 디비전1]] ||
 
| 2006 ~ 2010 || {{국기그림|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 [[J리그 디비전1]] ||
 
|-
 
|-
| 2010 ~ 2011 || {{국기그림|독일}} VfL Bochum || [[2. 분데스리가]] ||
+
| 2010 ~ 2011 || {{국기그림|독일}} VfL 보훔 || [[2. 분데스리가]] ||
 
|-
 
|-
| 2011 ~ 2012 || {{국기그림|독일}} 1. FC Köln || [[독일 분데스리가]] → [[2. 분데스리가]] ||
+
| 2011 ~ 2012 || {{국기그림|독일}} 1. FC 쾰른 || [[독일 분데스리가]] → [[2. 분데스리가]] ||
 
|-
 
|-
 
| 2013.01 ~ 2015.07 || {{팀/수원}} || [[K리그 클래식]] ||  
 
| 2013.01 ~ 2015.07 || {{팀/수원}} || [[K리그 클래식]] ||  
 
|-
 
|-
| 2015.07 ~ 현재 || {{국기그림|일본}} 시미즈 에스펄스 || [[J리그 디비전1]] [[J리그 디비전2]] ||
+
| 2015.07 ~ 현재 || {{국기그림|일본}} 시미즈 에스펄스 || [[J1리그]][[J2리그]] ||
 
|-
 
|-
 
|}
 
|}

편집

7,499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