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1,252 바이트 추가됨 ,  2017년 1월 31일 (화) 20:34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
[[파일:벨코스키.jpg|300픽셀|섬네일|<center>인천 유나이티드의 벨코스키</center>]]
+
[[파일:벨코스키.jpg|300픽셀|섬네일|<center>인천 유나이티드 시절 벨코스키</center>]]
'''크르스테 벨코스키''' (Krste Velkoski, 1988년 2월 20일 ~ )는 마케도니아 국적의 축구선수로, 2016년부터 [[K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는 [[윙 포워드]]이다.
+
'''크르스테 벨코스키''' (Krste Velkoski, 1988년 2월 20일 ~ )는 마케도니아 국적의 축구 선수로, 2016년 [[K리그]]에서 활동하였던 [[윙 포워드]]이다.
      24번째 줄: 24번째 줄:  
: '''(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 통산 [[A매치]] 9경기 출전)'''
 
: '''(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 통산 [[A매치]] 9경기 출전)'''
   −
* 현 소속팀 : {{팀/인천}}
+
* 현 소속팀 : {{국기그림|태국}} 나콘랏차시마 FC
   −
* [[등번호]] : 88
+
* [[등번호]] : 28
 
{{col-3}}
 
{{col-3}}
 
* K리그 기록
 
* K리그 기록
33번째 줄: 33번째 줄:  
! 연도 !! 소속팀 !! 리그 !! 출장 !! 교체 !! 득점 !! 도움 !! 경고 !! 퇴장
 
! 연도 !! 소속팀 !! 리그 !! 출장 !! 교체 !! 득점 !! 도움 !! 경고 !! 퇴장
 
|-
 
|-
| 2016 || {{팀/인천|1}} || 클래식 || 0 || 0 || 0 || 0 || 0 || 0  
+
| 2016 || {{왼}}|{{팀|인천|2016}} || 클래식 || 24 || 20 || 4 || 2 || 0 || 0  
 
|- style="background:#C0C0C0"
 
|- style="background:#C0C0C0"
! 통산 ||colspan=2| [[K리그 클래식]] || 0 || 0 || 0 || 0 || 0 || 0  
+
! 통산 ||colspan=2| [[K리그 클래식]] || 24 || 20 || 4 || 2 || 0 || 0  
 
|}
 
|}
:[[K리그]] 통산 기록은 [[리그컵]] 기록 포함. 2016년 3월 1일 기준
+
:[[K리그]] 통산 기록은 [[리그컵]] 기록 포함. 2017년 3월 1일 기준
 
:{{연맹선수기록|ID=20160244}}
 
:{{연맹선수기록|ID=20160244}}
 
{{col-end}}
 
{{col-end}}
44번째 줄: 44번째 줄:  
== 선수 생활 ==
 
== 선수 생활 ==
 
=== K리그 이전 ===
 
=== K리그 이전 ===
2006년 라보트니츠키에서 프로 선수로 데뷔하였다. 이후 2006-07 시즌부터 본격적인 주전 선수로 활약하였고, 그 시즌에 25경기에 출전하여서 7골을 넣어 가능성을 보였다. 2007-08 시즌에는 출전 경기 수는 줄어들었지만, 로테이션 멤버로 활약하면서 라보트니츠키의 마케도니아 리그와 컵 대회 우승 멤버로 이름을 올렸다. 그러나 2008-09 시즌부터 주전 전력에서 점차 밀려나는 모습으로 메탈루그 스코폐로 이적하게 되었는데, 부진에 빠지면서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고 말았다. 이후 2009-10 시즌 겨울 이적 시장에서 루마니아 1부리그의 체아흘라울 피아트라-네암트로 이적하여서 첫 해외진출을 시도하기도 했으나, 8경기에 1득점으로 그치게 되면서 반 시즌 만에 팀을 퇴단하게 되었고, 키프로스 1부리그의 에노시스 네온 파랄림니 FC로 이적하기도 했으나 11경기에 나서서 무득점에 그치고 말았다. 결국, 다시 마케도니아리그로 돌아온 벨코스키는 친정팀 라보트니츠키로 돌아왔고, 시즌 중에 입단했음에도 15경기에 6골을 넣는 활약으로 그동안의 부진을 씻어내게 되었다. 시련을 이겨낸 벨코스키는 친정팀으로 돌아온 이후 몰라보게 달라진 모습으로 팀 주축 선수로 성장하게 되었고, 2012-13 시즌 28경기 13골로 커리어 상 처음으로 두 자릿수 득점을 돌파하였다. 다음 시즌에도 활약은 이어져 전반기 동안 18경기에 14골을 넣는 놀라운 활약을 보이며 생애 첫 국가대표팀에 발탁되는 영광을 누리기도 하였다. 주가를 높인힌 벨코스키는 이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FK 사라예보로 이적하였다. 입단 후, 잔여 시즌에 동안 11경기 8골로 화려한 신고식을 했으며, 2014-15 시즌에는 [[UEFA 유로파 리그]]와 리그에 출전하여 인상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고, 사라예보를 리그 우승으로 이끌기도 하였다.
+
2006년 라보트니츠키에서 프로 선수로 데뷔하였다. 이후 2006-07시즌부터 본격적인 주전 선수로 활약하였고, 그 시즌에 25경기에 출전하여서 7골을 넣어 가능성을 보였다. 2007-08시즌에는 출전 경기 수는 줄어들었지만, 로테이션 멤버로 활약하면서 라보트니츠키의 마케도니아 리그와 컵 대회 우승 멤버로 이름을 올렸다. 그러나 2008-09시즌부터 주전 전력에서 점차 밀려나는 모습으로 메탈루그 스코폐로 이적하게 되었는데, 부진에 빠지면서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고 말았다. 이후 2009-10시즌 겨울 이적 시장에서 루마니아 1부 리그의 체아흘라울 피아트라-네암트로 이적하여서 첫 해외 진출을 시도하기도 했으나, 8경기에 1득점으로 그치게 되면서 반 시즌 만에 팀을 퇴단하게 되었고, 키프로스 1부리그의 에노시스 네온 파랄림니 FC로 이적했지만, 11경기에 나서서 무득점에 그쳐 슬럼프에 빠지고 말았다. 결국, 다시 마케도니아리그로 돌아온 벨코스키는 친정팀 라보트니츠키로 돌아왔고, 시즌 중에 입단했음에도 15경기에 6골을 넣는 활약으로 그동안의 부진을 씻어내게 되었다. 시련을 이겨낸 벨코스키는 친정팀으로 돌아온 이후 몰라보게 달라진 모습으로 팀 주축 선수로 성장하게 되었고, 2012-13시즌 28경기 13골로 커리어 상 처음으로 두 자릿수 득점을 돌파하였다. 다음 시즌에도 활약은 이어져 전반기 동안 18경기에 14골을 넣는 놀라운 활약을 보이며 생애 첫 국가대표팀에 발탁되는 영광을 누리기도 하였다. 주가를 높인 벨코스키는 이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FK 사라예보로 이적하였다. 입단 후, 잔여 시즌에 동안 11경기 8골로 화려한 신고식을 했으며, 2014-15시즌에는 [[UEFA 유로파 리그]]와 리그에서 주전으로 활동함과 동시에 리그에서 활약을 이어가 사라예보의 리그 우승 멤버로 이름을 올렸다.
       
=== 인천 유나이티드 시절 ===
 
=== 인천 유나이티드 시절 ===
상승세를 달리던 벨코스키는 2016년 3월 사라예보를 떠나 [[K리그 클래식]]의 [[인천 유나이티드]]에 입단하여서 처음으로 아시아 리그에 진출하였다.<ref>[http://interfootball.ytn.co.kr/news/articleView.html?idx=2016030411050714 인천, 마케도니아 FW 벨코스키 영입...측면 공격 강화]</ref> 입단 초반에는 리그 적응에 애를 먹는 모습을 보이며 측면에서 그다지 위협적인 모습을 보이지 못하기도 하면서 퇴출이 거론되기도 했으나, 2016년 6월부터 리그에 점차 적응을 마쳐가는 모습을 보였고, 스트라이커로 위치를 변경하여서 [[케빈2|케빈]]과 투톱으로 출전하게 되면서 활약이 좋아지고 있다.
+
상승세를 달리던 벨코스키는 2016년 3월 사라예보를 떠나 [[K리그 클래식]]의 [[인천 유나이티드]]에 입단하여서 처음으로 아시아 리그에 진출하였다.<ref>[http://interfootball.ytn.co.kr/news/articleView.html?idx=2016030411050714 인천, 마케도니아 FW 벨코스키 영입...측면 공격 강화]</ref> 입단 초반에는 리그 적응에 애를 먹는 모습을 보이며 측면에서 그다지 위협적인 모습을 보이지 못하기도 하면서 퇴출이 거론되기도 했으나, 2016년 6월부터 리그에 점차 적응을 마쳐가는 모습을 보였고, 스트라이커로 위치를 변경하여서 [[케빈2|케빈]]과 투톱으로 출전하게 되면서 준수한 활약을 펼쳤다. 그러나 여름이 지나고 [[김도훈1|김도훈]] 감독이 경질되고 [[이기형2|이기형]] 감독 대행 시절부터는 크게 힘을 못쓰는 모습이었다. 주요 전술도 [[케빈2|케빈]] 원톱 전술로 굳혀지는 모양세였고, 측면에서는 [[김대경2|김대경]], [[진성욱]] 등의 공격 자원 선수들이 쏠쏠한 활약을 보인 탓에 점차 전력 구상에서 제외되고 말았던 것. 하위 스플릿 라운드에는 [[수원 FC]]와 경기에 출전하기도 했으나, 부상으로 전력에서 이탈하게 되었으며, 시즌이 마무리 되기도 전에 이적설이 돌면서 인천 퇴단은 확실시 되었다.
 +
 
 +
 
 +
=== K리그 이후 ===
 +
2016년 외국인 선수 전원이 교체되는 와중에 이미 이적설이 돌았던 벨코스키 역시 [[인천 유나이티드]]를 퇴단하고 태국 1부 리그인 [[타이 리그]]의 나콘랏차사마 FC에 입단하였다.  
      56번째 줄: 60번째 줄:     
== 플레이 스타일 ==
 
== 플레이 스타일 ==
팀플레이에 강점을 보이는 선수로, 공격 지역에서 순도 높은 플레이를 보여주고 있다. 게다가 킥력 또한 준수한 편에다가 패싱 감각도 좋은 편으로 리그 적응을 완벽하게 마친다면 만능 활약을 보여줄 선수로 평가받고 있다.
+
팀플레이에 강점을 보이는 선수로, 공격 지역에서 순도 높은 플레이를 보여주고 있다. 게다가 킥력 또한 준수한 편에다가 패싱 감각도 좋은 편으로 리그 적응을 완벽하게 마친다면 만능 활약을 보여줄 선수로 평가받기도 했다. 그러나 팀 전술에 녹아들만 하니 감독 교체로 인하여 계륵화 되고 말았다.
      68번째 줄: 72번째 줄:  
! 시즌 !! 소속팀 !! 리그 !! 비고
 
! 시즌 !! 소속팀 !! 리그 !! 비고
 
|-  
 
|-  
|  2006 ~ 2008 || {{국기그림|마케도니아}} FK Rabotnički || 마케도니아 1. 리가 ||
+
|  2006 ~ 2008 || {{국기그림|마케도니아}} FK 라보트니치키 || 마케도니아 1. 리가 ||
 +
|-
 +
|  2009 || {{국기그림|마케도니아}} FK 메탈루르그 스코페 || 마케도니아 1. 리가 ||
 
|-
 
|-
2009 || {{국기그림|마케도니아}} FK Metalurg Skopje || 마케도니아 1. 리가 ||
+
2010 || {{국기그림|루마니아}} CSM 체아흘라울 피아트라-네암트 || 리가 I ||  
 
|-
 
|-
|  2010 || {{국기그림|루마니아}} CSM Ceahlăul Piatra Neamț || 리가 I ||  
+
|  2010 ~ 2011 || {{국기그림|키프로스}} 에노시스 네온 파랄림니 FC || 키프로스 1부 디비전 ||
 
|-
 
|-
2010 ~ 2011 || {{국기그림|키프로스}} Enosis Neon Paralimni FC || 키프로스 1부 디비전 ||
+
2011 ~ 2013 || {{국기그림|마케도니아}} FK 라보트니치키 || 마케도니아 1. 리가 ||
 
|-
 
|-
2011 ~ 2013 || {{국기그림|마케도니아}} FK Rabotnički || 마케도니아 1. 리가 ||
+
2014 ~ 2016 || {{국기그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FK 사라예보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프리미어리그 ||  
 
|-
 
|-
2014 ~ 2016 || {{국기그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FK Sarajevo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프리미어리그 ||  
+
2016.03 ~ 2016.12 || {{|인천|2016}} || [[K리그 클래식]] ||  
 
|-
 
|-
2016.03 ~ 현재 || {{팀/인천}} || [[K리그 클래식]] ||  
+
2017.01 ~ 현재 || {{국기그림|태국}} 나콘랏차사마 FC || [[타이 리그]] ||
 
|}
 
|}
  

편집

7,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