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137 바이트 추가됨 ,  2017년 4월 4일 (화) 20:08
2번째 줄: 2번째 줄:     
== 조일양조 ==
 
== 조일양조 ==
'''조일양조'''는 1919년 10월 12일 [[인천]] 선화동에 조선에서 두번째로 설립된 기계식 양조회사였다.<ref>남한에서는 최초. 조선 최초의 양조회사는 1919년 6월 15일 평양 교구정에서 설립된 "조선소주"이다. 자본금 50만원에 사장은 일본인 사이토 히사타로(齋藤久太郎)였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양조회사는 1924년 평안남도 용강군에서 설립된 진천양조상회이다. 현, 진로.</ref> 일본인 구기모토 토지로(釘本藤次郞) 등이 자본금은 100만원으로 설립하였으며, 소주의 상표는 금강표(金鋼表)였다. 1928년 설립된 소주양조업자연합회의 회장사가 될 정도로 번성하였다. 1940년대 이후 일제가 전쟁으로 인해 곡물 소비를 통제하자 쇠퇴하기 시작했다. 해방 후 김기영이 인수하여 다시 공장이 가동되었으나, 결국 경영난을 이겨내지 못하고 세금 체납을 하게되어 공장이 차압되었으며, 1950년 6.25 사변을 전후하여 폐업하였다고 한다. 현재도 인천 선화동에 공장터가 남아있다.
+
'''조일양조'''는 1919년 10월 12일 [[인천]] 선화동에 조선에서 두번째로 설립된 기계식 양조회사였다.<ref>남한에서는 최초. 조선 최초의 양조회사는 1919년 6월 15일 평양 교구정에서 설립된 "조선소주"이다. 자본금 50만원에 사장은 일본인 사이토 히사타로(齋藤久太郎)였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양조회사는 1924년 평안남도 용강군에서 설립된 진천양조상회이다. 현, 진로.</ref> 일본인 구기모토 토지로(釘本藤次郞) 등이 자본금은 100만원으로 설립하였으며, 소주의 상표는 금강표(金鋼表)였다. 1928년 설립된 소주양조업자연합회의 회장사가 될 정도로 번성하였다. 1940년대 이후 일제가 전쟁으로 인해 곡물 소비를 통제하자 쇠퇴하기 시작했다. 해방 후 김기영이 인수하여 다시 공장이 가동되었으나, 결국 경영난을 이겨내지 못하고 세금 체납을 하게되어 공장이 차압되었으며, 1950년 6.25 사변을 전후하여 폐업하였다고 한다. 2012년까지 공장 잔존건물이 남아있었으나 철거하여 주차장이 조성되었고 지금은 그 자리에 조일양조 장터였음을 알려주는 표지석이 세워져 있다.
 
      
== 조일양조 축구단 ==
 
== 조일양조 축구단 ==
rollbacks, 관리자

편집

9,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