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169 바이트 추가됨 ,  2017년 4월 27일 (목) 18:27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
'''현풍고등학교'''(玄風高等學校)는 1954년에 설립된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성하리 497번지에 위치해 있는 일반계 사립 고등학교이다. 2009년 [[대구 FC]]의 U-18 고등부 유스 클럽으로 축구부가 재창단되었다. 현재 [[K리그 주니어]]에 '''대구 FC U-18'''로 참가중이다.
+
'''현풍고등학교'''(玄風高等學校)는 1954년에 설립된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성하리 497번지에 위치해 있는 일반계 사립 고등학교이다.  
 +
 
 +
축구위키인 풋케위키에서 현풍고등학교는 2009년 [[대구 FC]]의 U-18 고등부 유스 클럽으로 재창단된 현풍고 축구부를 위주로 설명한다. 현재 현풍고 축구부는 [[K리그 주니어]]에 '''대구 FC U-18'''로 참가 중이다.
      9번째 줄: 11번째 줄:  
'''현풍고등학교 축구부'''는 1971년 창단하여 1975년까지 존속하였다가 해체, 2009년 재창단한 [[대구 FC]]의 U-18 유스팀인 축구부이다.  
 
'''현풍고등학교 축구부'''는 1971년 창단하여 1975년까지 존속하였다가 해체, 2009년 재창단한 [[대구 FC]]의 U-18 유스팀인 축구부이다.  
   −
=== 1970년대 현풍고 축구부 ===
+
 
 +
=== 현풍고 축구부 (1971 ~ 1975) ===
 
1971년<ref>[http://www.xportsnews.com/tabid/92/rTId/86/EntryID/85978/PageIndex/54/TCategory/PRI055/language/ko-KR/Default.aspx 대구 FC, U-18팀 현풍고등학교로 결정 《엑스포츠뉴스》]에 따르면 1965년 창단되었다고 하나 네이버 옛날신문 등의 자료를 보면 양재휘 교장에 의해 1971년 창단되었다고 한다. 양재휘가 경북고 재임시절 야구부 해체 10년만에 재창단(1965년)했다는 얘기와 혼선이 있는 듯</ref> 축구부가 창단되었는데 [[금성방직]],[[쌍용양회]]에서 축구부를 운영했던 경험이 있던 [[쌍용그룹]]이 모재단이었던 만큼 축구부에 대한 지원이 빵빵하였다고 전한다.<ref>당시 축구부 예산이 240만원에 달해 타 지방학교 축구부의 10배에 달했다는 카더라 통신이 있다.</ref> 당시 대구, 경북 지역에 축구부가 존재하지 않다가 처음으로 생겼는데<ref>하지만 현풍고 창단 이듬해부터 [[청구고]](72년),[[대륜고]](73년), [[계성고]](73년), [[협성고]](74년)까지 현풍고의 뒤를 이어 대구 지역에 고교 축구부가 생기게 된다.</ref> 2학년생 4명 외에는 전원 1학년 생으로 전국대회에 출전하기도 했는데 72년에는 당시 고교축구 내 강호였던 [[한양공고]]를 꺽는 파란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이 때 현풍고에서 뛰던 [[박용주]]가 스트라이커로 이름을 날려 청소년대표에 선발되기도 했을 정도.. 하지만 박용주 선수가 현풍고 졸업한 이후로는 74년 급격히 부진을 거듭하다가 75년 4월 7일 선수수급<ref>대구에 1970년대 초반에만 4개의 축구부 창단되었으니 대구 시내에 있던 다른 학교 축구부에 비해 당연히 선수 수급 경쟁에서 밀릴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ref> 및 재정적인 이유를 들어 창단 4년만에 축구부를 해체하였다.  
 
1971년<ref>[http://www.xportsnews.com/tabid/92/rTId/86/EntryID/85978/PageIndex/54/TCategory/PRI055/language/ko-KR/Default.aspx 대구 FC, U-18팀 현풍고등학교로 결정 《엑스포츠뉴스》]에 따르면 1965년 창단되었다고 하나 네이버 옛날신문 등의 자료를 보면 양재휘 교장에 의해 1971년 창단되었다고 한다. 양재휘가 경북고 재임시절 야구부 해체 10년만에 재창단(1965년)했다는 얘기와 혼선이 있는 듯</ref> 축구부가 창단되었는데 [[금성방직]],[[쌍용양회]]에서 축구부를 운영했던 경험이 있던 [[쌍용그룹]]이 모재단이었던 만큼 축구부에 대한 지원이 빵빵하였다고 전한다.<ref>당시 축구부 예산이 240만원에 달해 타 지방학교 축구부의 10배에 달했다는 카더라 통신이 있다.</ref> 당시 대구, 경북 지역에 축구부가 존재하지 않다가 처음으로 생겼는데<ref>하지만 현풍고 창단 이듬해부터 [[청구고]](72년),[[대륜고]](73년), [[계성고]](73년), [[협성고]](74년)까지 현풍고의 뒤를 이어 대구 지역에 고교 축구부가 생기게 된다.</ref> 2학년생 4명 외에는 전원 1학년 생으로 전국대회에 출전하기도 했는데 72년에는 당시 고교축구 내 강호였던 [[한양공고]]를 꺽는 파란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이 때 현풍고에서 뛰던 [[박용주]]가 스트라이커로 이름을 날려 청소년대표에 선발되기도 했을 정도.. 하지만 박용주 선수가 현풍고 졸업한 이후로는 74년 급격히 부진을 거듭하다가 75년 4월 7일 선수수급<ref>대구에 1970년대 초반에만 4개의 축구부 창단되었으니 대구 시내에 있던 다른 학교 축구부에 비해 당연히 선수 수급 경쟁에서 밀릴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ref> 및 재정적인 이유를 들어 창단 4년만에 축구부를 해체하였다.  
 
    
 
    
 +
 
==== 주요 성적 ====
 
==== 주요 성적 ====
 
* 1973년 제2회 [[문교부장관기 고교축구대회]] 준우승
 
* 1973년 제2회 [[문교부장관기 고교축구대회]] 준우승
 +
    
==== 출신 선수 ====
 
==== 출신 선수 ====
* [[박용주]] - 1970년대 국가대표 스트라이커
+
* [[박용주]] - 1970년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 스트라이커
   −
=== 대구 FC U-18 ===
+
 
2009년 [[대구 FC]]의 U-18 유스팀으로 다시 축구부가 재창단되었다. 기존 대구의 고교 축구부중 선정하려 했으나 각 학교간의 알력다툼 및 특혜선정 가능성(당시 대구 FC의 감독 [[변병주]]는 [[청구고]] 출신)으로 인해 기존 고교 축구부는 배제하고 새로 창단할 팀을 모집했는데 현풍고등학교가 선정되었다. 감독은 [[대구 FC]]에서 은퇴한 [[김현수]]. 2009 [[고교클럽 챌린지리그|SBS 고교클럽 챌린지리그]]부터 참여했는데 축구부 대부분이 1학년생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성적은 B조 꼴찌를 기록했으나 이후 발전을 거듭, 드디어 2011년 8월 제52회 [[청룡기 전국 고교축구대회]]에서 [[중동고등학교]]를 물리치고 우승을 거두면서 재창단 후 첫번째 전국대회 우승을 거두게 되었다.
+
=== 대구 FC U-18 현풍고 (2009 ~ 현재) ===
 +
2009년 [[대구 FC]]의 U-18 유스팀으로 다시 축구부가 재창단되었다. 기존 대구의 고교 축구부중 선정하려 했으나 각 학교간의 알력다툼 및 특혜선정 가능성(당시 대구 FC의 감독 [[변병주]]는 [[청구고]] 출신)으로 인해 기존 고교 축구부는 배제하고 새로 창단할 팀을 모집했는데 현풍고등학교가 선정되었다. 감독은 [[대구 FC]]에서 은퇴한 [[김현수]]. 2009 [[고교클럽 챌린지리그|SBS 고교클럽 챌린지리그]]부터 참여했는데 축구부 대부분이 1학년생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성적은 B조 꼴찌를 기록했으나 이후 발전을 거듭, 드디어 2011년 8월 제52회 [[청룡기 전국고교축구대회]]에서 [[중동고등학교]]를 물리치고 우승을 거두면서 재창단 후 첫번째 전국대회 우승을 거두게 되었다.
      27번째 줄: 33번째 줄:  
* [[쌍용그룹]]
 
* [[쌍용그룹]]
 
** [[금성방직]]/[[쌍용양회]]
 
** [[금성방직]]/[[쌍용양회]]
 +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33번째 줄: 40번째 줄:       −
= 참고 사항 =
+
== 참고 사항 ==
 
<references/>
 
<references/>
  
익명 사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