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2 바이트 추가됨 ,  2017년 7월 19일 (수) 00:59
편집 요약 없음
23번째 줄: 23번째 줄:  
* 신체 : 192cm / 87kg  
 
* 신체 : 192cm / 87kg  
   −
* 국가 : {{국기그림|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
* 국가 : {{국기그림|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ㆍ{{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 국가대표 경력
 
* 국가대표 경력
130번째 줄: 130번째 줄:  
== 에피소드 ==  
 
== 에피소드 ==  
 
* 당시의 사리체프의 활약이 어떠했는지 다른 선수들의 증언을 들어보도록 하자.
 
* 당시의 사리체프의 활약이 어떠했는지 다른 선수들의 증언을 들어보도록 하자.
 +
    
{{인용문2|'''느낌상 분명 '골이다' 싶어 세리머니를 펼치려는 순간 손을 뻗어 막아냈다. '이번에는 정말 들어갔다' 싶어 동료들에게 뛰어가려는 순간 발을 뻗어 막아냈다. 정말 밉더라''' (by [[차상해]]. 참고로 1993년 득점왕이다.)}}
 
{{인용문2|'''느낌상 분명 '골이다' 싶어 세리머니를 펼치려는 순간 손을 뻗어 막아냈다. '이번에는 정말 들어갔다' 싶어 동료들에게 뛰어가려는 순간 발을 뻗어 막아냈다. 정말 밉더라''' (by [[차상해]]. 참고로 1993년 득점왕이다.)}}
 +
    
* 하지만 천하의 신의손도 두려워하던 공격수가 있었는데, 바로 [[포항 스틸러스]]에서 활약한 [[라데]]였다. 라데는 최전성기 신의손을 상대로 가장 많은 골을 뽑아낸 선수이기도 하다.  
 
* 하지만 천하의 신의손도 두려워하던 공격수가 있었는데, 바로 [[포항 스틸러스]]에서 활약한 [[라데]]였다. 라데는 최전성기 신의손을 상대로 가장 많은 골을 뽑아낸 선수이기도 하다.  
141번째 줄: 143번째 줄:  
* 리그 로컬룰까지 뜯어고칠 정도로 K리그에 거대한 족적을 남긴 선수였지만, 외국인 선수라는 이유만으로 [[K리그 시즌 MVP]]는 물론 K리그 공로상이나 특별상도 받은적이 없다. K리그의 폐쇄성을 보여주는 일화 중 하나라 할만할듯. (이는 [[라데]] 선수도 마찬가지로, 환상적인 활약에도 불구 K리그 시즌 MVP를 수상하지 못했다.)
 
* 리그 로컬룰까지 뜯어고칠 정도로 K리그에 거대한 족적을 남긴 선수였지만, 외국인 선수라는 이유만으로 [[K리그 시즌 MVP]]는 물론 K리그 공로상이나 특별상도 받은적이 없다. K리그의 폐쇄성을 보여주는 일화 중 하나라 할만할듯. (이는 [[라데]] 선수도 마찬가지로, 환상적인 활약에도 불구 K리그 시즌 MVP를 수상하지 못했다.)
   −
* 일화 천마 입단 당시, 러시아에서 가족들도 모두 데려와 한국에 정착했다. 문제는 아이들이 초등학생이라 한국 소재 외국인학교에 보내야했는데.. 외국인학교는 워낙 학비가 비쌋던 탓에 그냥 한국에 위치한 일반 초등학교에 입학시켜버렸다..; 한국어 하나 모르는 애들을 -0- .. 다행히 아이들은 쉽게 학교생활에 적응하여 지금은 한국어와 러시아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한다고 한다.<ref>물론 사리체프도 한국어와 러시아어를 모두 구사하며 의사소통에 전혀 지장이 없다.</ref> 다만 현재 사리체프 부인은 러시아로 돌아가고 자녀들은 각각 미국과 캐나다에 유학을 간 상태라고.<ref>참고기사 : 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_league&ctg=news&mod=read&office_id=076&article_id=0002170661&date=20111216&page=1</ref>
+
* 일화 천마 입단 당시, 러시아에서 가족들도 모두 데려와 한국에 정착했다. 문제는 아이들이 초등학생이라 한국 소재 외국인학교에 보내야했는데.. 외국인학교는 워낙 학비가 비쌋던 탓에 그냥 한국에 위치한 일반 초등학교에 입학시켜버렸다..; 한국어 하나 모르는 애들을 -0- .. 다행히 아이들은 쉽게 학교생활에 적응하여 지금은 한국어와 러시아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한다고 한다.<ref>물론 사리체프도 한국어와 러시아어를 모두 구사하며 의사소통에 전혀 지장이 없다.</ref> 다만 현재 사리체프 부인은 러시아로 돌아가고 자녀들은 각각 미국과 캐나다에 유학을 간 상태라고.<ref>참고 기사 : 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_league&ctg=news&mod=read&office_id=076&article_id=0002170661&date=20111216&page=1</ref>
     
익명 사용자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