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832 바이트 추가됨 ,  2018년 1월 7일 (일) 23:58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
[[File:고차원.jpg|240픽셀|섬네일|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득점에 성공한 고차원]]
+
[[File:고차원.jpg|220픽셀|섬네일|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헤딩골을 넣은 고차원]]
'''고차원'''(1986년 4월 30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선수로, 2009년부터 [[K리그]]에서 활동 중인 [[미드필더]].
+
'''고차원''' (1986년 4월 30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선수로, 2009년부터 [[K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는 [[측면 미드필더]]이다.
 +
 
 +
 
 +
 
      15번째 줄: 18번째 줄:  
* 국적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 국적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
* 생년월일 : 1986년 4월 30일  
+
* 출생일 : 1986년 4월 30일  
   −
* 유스클럽 : [[아주대학교]] 졸업  
+
* 학력 : [[아주대학교]] 졸업  
    
* 신체 : 169m / 69kg  
 
* 신체 : 169m / 69kg  
   −
* 포지션 : [[사이드 미드필더]], [[공격형 미드필더]]
+
* 포지션 : [[측면 미드필더]][[공격형 미드필더]]
    
* 국가대표 경력  
 
* 국가대표 경력  
 
: 2003년 러시아 U-17 국제친선대회 선발
 
: 2003년 러시아 U-17 국제친선대회 선발
 
: 2007년 제4회 [[덴소컵]] 선발  
 
: 2007년 제4회 [[덴소컵]] 선발  
:'''([[대한민국 U-17 국가대표]] 5경기 출장)'''
+
:'''([[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 5경기 출전)'''
    
* 특이 기록
 
* 특이 기록
 
: [[수원 삼성 블루윙즈]] 창단 1000호골 기록
 
: [[수원 삼성 블루윙즈]] 창단 1000호골 기록
   −
* 현 소속팀 : {{팀/수원}}
+
* 현 소속팀 : {{팀|서울E|2018}}
   −
* [[등번호]] : 12
+
* [[등번호]] :  
 
{{col-3}}
 
{{col-3}}
 
* K리그 기록
 
* K리그 기록
40번째 줄: 43번째 줄:  
! 연도 !! 소속팀 !! 리그 !! 출장 !! 교체 !! 득점 !! 도움 !! 경고 !! 퇴장
 
! 연도 !! 소속팀 !! 리그 !! 출장 !! 교체 !! 득점 !! 도움 !! 경고 !! 퇴장
 
|-
 
|-
| 2009 || {{팀/전남|1|연속=2}} || rowspan="4"| K리그|| 22 ||14|| 2||2 ||3 ||0
+
| 2009 || {{왼}} rowspan=2| {{팀|전남|2010}} || rowspan="4"| K리그|| 22 ||14|| 2||2 ||3 ||0
 
|-
 
|-
| 2010 ||9 ||8|| 0||1 ||0||0
+
| 2010 ||9 ||8|| 0||1 ||0||0
 
|-
 
|-
| 2011 || {{팀/상주|1|연속=2}} ||33 ||22|| 4||1||2 ||0
+
| 2011 || {{왼}} rowspan=2| {{팀|상주|2012}} ||33 ||22|| 4||1||2 ||0
 
|-
 
|-
| 2012 ||22 || 18|| 5||1 ||2 ||0
+
| 2012 ||22 || 18|| 5||1 ||2 ||0
 
|-
 
|-
| rowspan=2|2013 || {{팀/전남|1}} || rowspan="5"| 클래식|| 0 ||0|| 0||0||0 ||0
+
| rowspan=2|2013 || {{왼}}|{{팀|전남|2013}} || rowspan="6"| 클래식|| 0 ||0|| 0||0||0 ||0
 
|-
 
|-
| {{팀/수원|1|연속=4}} ||1 ||1|| 0||0||0 ||0
+
| {{왼}} rowspan=5 | {{팀|수원|2017}} ||1 ||1|| 0||0||0 ||0
 
|-
 
|-
| 2014 ||26 ||21|| 3||1||1 ||0
+
| 2014 ||26 ||21|| 3||1||1 ||0
 
|-
 
|-
| 2015 ||25 ||16 || 0|| 0||2||0
+
| 2015 ||25 ||16 || 0|| 0||2||0
 
|-
 
|-
| 2016 || 0 || 0 || 0 || 0 || 0 || 0
+
| 2016 || 0 || 0 || 0 || 0 || 0 || 0
 +
|-
 +
| 2017 || 0 || 0 || 0 || 0 || 0 || 0
 +
|-
 +
| 2018 || {{왼}} | {{팀|서울E|2018}} || 챌린지 || 0 || 0 || 0 || 0 || 0 || 0
 
|- style="background:#C0C0C0"
 
|- style="background:#C0C0C0"
 
! rowspan=2|통산 ||colspan=2| [[K리그 클래식]] || 138||109|| 14||6||10 ||0
 
! rowspan=2|통산 ||colspan=2| [[K리그 클래식]] || 138||109|| 14||6||10 ||0
 +
|- style="background:#C0C0C0"
 +
! colspan=2| [[K리그 챌린지]] || 0 || 0 || 0 || 0 || 0 || 0
 
|}
 
|}
:[[K리그]] 통산 기록은 [[리그컵]] 기록 포함. 2016년 1월 1일 기준
+
:[[K리그]] 통산 기록은 [[리그컵]] 기록 포함. 2018년 3월 1일 기준
 
:{{연맹선수기록|ID=20090092}}
 
:{{연맹선수기록|ID=20090092}}
 
{{col-end}}
 
{{col-end}}
79번째 줄: 88번째 줄:     
=== 수원 삼성 블루윙즈 시절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시절 ===
[[상주 상무]]에서 좋은 활약을 했었던 고차원은 원소속팀인 [[전남 드래곤즈]]로 복귀하였고, 2012시즌 잔여 4경기를 치루면서 2득점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2013년에는 명단에 계속 제외되었고, 전남에서 전반기 내내 모습을 보이지 못하다가 여름 중간 이적시장에서, [[임경현]]과 트레이드되어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이적하였다.
+
[[상주 상무]]에서 좋은 활약을 했었던 고차원은 원소속팀인 [[전남 드래곤즈]]로 복귀하였고, 2012시즌 잔여 4경기를 치루면서 2득점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2013년에는 명단에 계속 제외되었고, 전남에서 전반기 내내 모습을 보이지 못하다가 여름 중간 이적시장에서, [[임경현]]과 트레이드 되어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이적하였다.
      −
* '''고차원 ({{팀/전남}}) ↔ [[임경현]] ({{팀/수원}})'''
+
* '''고차원 ([[전남 드래곤즈]]) ↔ [[임경현]]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수원팬들은 임경현이 나가서 좋지만(..) 전남에서도 주전 못뛰던 선수를 데려와서 뭐 어쩌자는거냐는 반응을 보였고, 수원팬들의 우려대로 고차원 선수는 1경기 교체 출장에 그친채 2군에만 머물렀다. 13시즌 종료 후, 고차원 선수의 입지는 매우 불안한듯 보였다. 하지만 14시즌에도 수원과 함께하는데 성공한 고차원 선수는 2014년 3월 22일, 포항 스틸러스와의 경기에서 전반 4분만에 골을 터뜨리며 [[서정원]] 감독의 믿음에 보답하였다. 여기에 이 골로 '수원 삼성 블루윙즈 팀 통산 1천호골' 주인공에도 선정되는 겹경사를 누렸다. 이후 고차원은 서 감독의 전력 구상에서 사이드에서 많은 활동량을 요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성실한 플레이와 수비가담과 공격 또한 평균 이상은 해주는 모습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시즌을 종료하였다.<ref>[[서정원]] 감독이 고차원을 중용하는데에는 고차원의 적극적인 플레이가 한 몫 했다고 한다. 서 감독은 고차원을 '수원의 [[박지성]]'으로 평가하면서 번거로운 팀을 상대할 때 풀백의 수비부담을 줄여주기 위하여 고차원을 자주 투입했었다고 한다.</ref>
+
수원팬들은 임경현이 나가서 좋지만(..) 전남에서도 주전 못뛰던 선수를 데려와서 뭐 어쩌자는거냐는 반응을 보였고, 수원팬들의 우려대로 고차원 선수는 1경기 교체 출장에 그친채 2군에만 머물렀다. 이런 이유로 입단 반 시즌 만에 입지가 불안해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서정원]] 감독은 특유의 성실하고 많은 활동량을 보여주는 고차원을 한 시즌 더 믿기로 하였다. 이런 믿음에 보답하기도 하는지, 고차원은 시즌 초반인 2014년 3월 22일 [[포항 스틸러스]]와 경기에서 전반 4분 만에 팀 데뷔골을 넣었고, 이 득점으로 "[[수원 삼성 블루윙즈]] 팀 통산 1천호골"주인공으로 역사에 이름을 남겼다. 2013년 부침을 극복한 고차원은 이후 자신감이 붙었는지 측면에서 활발하게 움직여 궂은 일을 담당하는 역할을 수행하였고, 간간히 득점포도 올려 당당히 레귤러 멤버로 이름을 올렸다. 이는 2015년에도 이어졌다. 2015년에는 동 포지션의 [[레오7|레오]]의 존재로 험난한 주전 경쟁이 예고되기도 하였는데, 팀 플레이 부분에서 더 나은 고차원이 주전 경쟁에서 우위를 점쳤다.<ref>[[레오7|레오]]의 본 포지션은 스트라이커이다. 하지만, 당시 원톱을 활용하던 수원은 절정의 기량을 과시하던 [[정대세]]가 주전으로 출전하고 있었기에 고차원의 포지션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는 레오 입장에서는 그다지 좋지 못한 결과로 이어져 여름 이적 시장을 통해 임대 계약이 종료되고 말았다.</ref> 여기에 [[AFC 챔피언스리그]] 조별예선 [[우라와 레즈]]와 경기에서 [[염기훈]]의 크로스를 헤딩 골로 연결해 역전 승의 발판을 마련하면서 활약을 이어가는 듯 싶었다. 하지만 점차 시즌이 거듭할수록 투박하고 온더볼 상황에서의 불안한 움직임이 크게 부각되면서 팬들로부터 평가는 계속 떨어지고 말았다. 그리고 이런 문제는 2016년부터 2017년까지 계속 이어지고 말았으며, 총애하던 [[서정원]] 감독도 점차 스리백으로 전술을 수정하면서 고차원을 전력 구상에서 제외하는 일이 잦았다.
   −
2015년에도 고차원은 14시즌과 비슷한 전술적 움직임으로 기용될 것으로 보인다. 시즌 초반, 고차원은 서브 명단에 간간히 포함 될 뿐 경기에는 투입되지는 않았다. 이후 [[AFC 챔피언스리그]] 조별 예선 경기인 [[브리즈번 로어]]와의 경기에 전남 드래곤즈와 상주 상무에서 자주 뛰어본 포지션인 공격형 미드필더 자리에 투입되어 첫 경기를 소화했지만 썩 좋은 움직임은 아니였다. 이후 [[우라와 레드]]와의 경기에서는 교체 투입되어 약 3분뒤에 [[염기훈]]의 크로스를 받아 헤딩 동점골을 성공시켰다. 고차원은 리그 경기에서는 대부분 14시즌과 마찬가지로 [[서정진]], [[레오7|레오]]와 로테이션을 이루면서 우측 사이드 미드필더로 출전하고 있었는데, 평은 대부분이 작년만 못하다는 평가가 주를 이루었다.<ref>고차원이 평이 좋지 못하였음에도 마찬가지로 [[서정진]]과 [[레오7|레오]] 역시 신통치 않는 모습이었다. 특히 레오는 고차원하고 플레이 스타일까지 비슷한 유형이었다.</ref> 적극적인 수비 가담은 여전하지만 공격력에 있어서는 매우 무딘 모습으로 공격 템포를 끊거나 슈팅의 대부분이 공중으로 날리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고차원은 리그에서 0골 0어시라는 저조한 활약과 함께 15시즌을 마치게 됐으며 평가 또한 좋지 못하였다. 15시즌 고차원은 수비가담만 될 뿐 공격은 간간히 터지는 드리블을 제외하면 이도저도 아닌 모습을 종종 보여주었다.
+
 
 +
=== 서울 이랜드로 이적 ===
 +
2017년 [[슈퍼매치]]에서 [[데얀]]을 전방압박하는 임무로 깜짝 선발 출전한 것을 끝으로 시즌 1경기 출전에 그친 고차원은 시즌 종료와 함께 [[자유계약]] 신분이 되었고, [[서울 이랜드 FC]]에 입단하였다.
       
== 플레이 스타일 ==
 
== 플레이 스타일 ==
스피드와 발재간을 동시에 갖추고 있으며 슈팅각도 나쁘지 않다. 다만 왜소한 체격 탓에 전남 특유의 미드필더부터 시작되는 전진 압박 전술에서는 활용하기 애매한 카드라고 보여져서 완벽한 주전으로 성장하지 못하였다. 이후 수원 삼성으로 이적한 후에는 사이드 미드필더로 출전하여 적극적인 수비가담과 우수한 활동량을 보여주었다. 공격 상황에서는 슈팅 타이밍을 반박자 빠르게 가져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컨디션이 떨어지는 날에는 수비가담 외의 특출난 것이 없는게 단점으로 지적된다.
+
* 본래 공격형 미드필더나 쉐도우 스트라이커로 활동하던 선수이다. 이 포지션에서 활동하던 시절에는 반 박자 빠른 슛 타이밍과 운동능력을 통해 공격 상황에서 예리한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는데, [[전남 드래곤즈]] 시절에는 왜소한 체격으로 특유의 미드필더부터 시작되는 전진 압밥 전술에서 활용도가 떨어지는 선수로 머무르고 말았다. [[수원 삼성 블루윙즈]] 이적 후에는 해당 포지션에 [[산토스3|산토스]]라는 특급 외국인 선수로 우측 미드필더로 정착하였다. 측면에서 활동하면서 특유의 성실함과 활동량, 수비가담 능력을 통해 [[서정원]] 감독으로부터 "수원의 [[박지성 (1981년)|박지성]]"으로 불리는 등 호평을 받은 바 있다.  
 +
 
 +
* 고차원의 특기 중 하나는 오프더볼 상황에서 움직임이 좋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런 장점을 한 번에 무너트리는 최대의 단점을 지녔다. 그것은 공을 잡는 상황, 즉 온더볼 상황에서 드리블에 자신이 없는지 공을 보면서 돌파를 시도하는 점이다. 이 문제로 완벽하게 공간을 만들고도 스스로 고립되거나 패스 템포를 놓치는 문제점을 자주 노출하였다. 그런 문제로 활동량과 성실함으로 짧은 주전 생활을 보낸 이유이다. 게다가 이 단점은 시간이 갈 수록 더욱 부각되었기에 말 그대로 계륵이 되었다.
      102번째 줄: 115번째 줄:  
! 시즌 !! 소속팀 !! 리그 !! 비고
 
! 시즌 !! 소속팀 !! 리그 !! 비고
 
|-  
 
|-  
| 2009 ~ 2013.06 || {{팀/전남}} || [[K리그 클래식]] ||
+
| 2009.01 ~ 2013.06 || {{팀|전남|2013}} || [[K리그 클래식]] ||
 
|-bgcolor=#F6FFCC
 
|-bgcolor=#F6FFCC
| → 2011 ~ 2012.10 || {{팀/상주}} || [[K리그]] || 군복무
+
| → 2011.01 ~ 2012.10 || {{팀|상주|2012}} || [[K리그]] || 군복무
 
|-
 
|-
| 2013.07 ~ 현재 || {{팀/수원}} || [[K리그 클래식]] ||
+
| 2013.07 ~ 2017.12 || {{팀|수원|2017}} || [[K리그 클래식]] ||
 +
|-
 +
| 2018.01 ~ 현재 || {{팀|서울E|2018}} || [[K리그 챌린지]] ||
 
|}
 
|}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
== 외부 링크 ==
        120번째 줄: 132번째 줄:       −
{{수원 삼성 블루윙즈 선수단}}
+
[[분류:1986년생]][[분류:서울체고의 선수]][[분류:아주대학교의 선수]][[분류:2009년 드래프트 지명자]][[분류:전남 드래곤즈의 선수]][[분류:상주 상무의 선수]][[분류: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선수]][[분류:서울 이랜드의 선수]]
 
  −
 
  −
[[분류:1986년생]][[분류:서울체고의 선수]][[분류:아주대학교의 선수]][[분류:2009년 드래프트 지명자]][[분류:전남 드래곤즈의 선수]][[분류:상주 상무의 선수]][[분류: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선수]]
 

편집

7,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