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무부대'''는 군의 정보와 방첩(防諜)에 관한 일 및 그에 따른 범죄 수사를 맡아보던 군의 특수 부대로 현재의 국군기무사령부(DSC)이다. 1948년 5월 27일 창설된 육군정보국 정보처 특별조사과가 모체로, 1950년 육군직할의 특무부대가 창설되었다. 친일파로 일제시대 만주 관동군에서 정치 공작을 담당하다가 해방후 군에 투신해 온갖 조작사건을 일으킨 것으로 유명한 김창룡이 4대 특무부대장이었다.<ref>김창룡은 김구 암살의 배후로 지명되기도 했다. 김창룡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위키백과를 참고하세요.[http://ko.wikipedia.org/wiki/%EA%B9%80%EC%B0%BD%EB%A3%A1 위키백과:김창룡]</ref> 1960년 '''방첩부대'''로 개칭되었다가 1968년 '''육군보안사령부'''로 개칭되었다. 1977년에 이르러서는 1953년에 해군 방첩대(보안부대), 1954년 창설된 공군 특별수사대(보안부대)를 통합하여 '''국군보안사령부'''가 되었다. 국군보안사령관이던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의 정권 장악 의도에 따라, 보안사는 1979년 12.12 군사 쿠데타, 1980년 5.17 비상계엄 전국확대 등에 관여 하였다. 쿠데타를 위해 방해되는 인물들(노무현, 이해찬, 문익환 목사 등)을 미리 감시하는 민간사찰(청명계획)을 계속 해왔으며, 결국 윤석양 이병이 보안사의 민간인 사찰을 고발하는 양심선언을 한 이후 1991년 '''국군기무사령부'''로 개칭되고 역할이 축소되었다. | '''특무부대'''는 군의 정보와 방첩(防諜)에 관한 일 및 그에 따른 범죄 수사를 맡아보던 군의 특수 부대로 현재의 국군기무사령부(DSC)이다. 1948년 5월 27일 창설된 육군정보국 정보처 특별조사과가 모체로, 1950년 육군직할의 특무부대가 창설되었다. 친일파로 일제시대 만주 관동군에서 정치 공작을 담당하다가 해방후 군에 투신해 온갖 조작사건을 일으킨 것으로 유명한 김창룡이 4대 특무부대장이었다.<ref>김창룡은 김구 암살의 배후로 지명되기도 했다. 김창룡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위키백과를 참고하세요.[http://ko.wikipedia.org/wiki/%EA%B9%80%EC%B0%BD%EB%A3%A1 위키백과:김창룡]</ref> 1960년 '''방첩부대'''로 개칭되었다가 1968년 '''육군보안사령부'''로 개칭되었다. 1977년에 이르러서는 1953년에 해군 방첩대(보안부대), 1954년 창설된 공군 특별수사대(보안부대)를 통합하여 '''국군보안사령부'''가 되었다. 국군보안사령관이던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의 정권 장악 의도에 따라, 보안사는 1979년 12.12 군사 쿠데타, 1980년 5.17 비상계엄 전국확대 등에 관여 하였다. 쿠데타를 위해 방해되는 인물들(노무현, 이해찬, 문익환 목사 등)을 미리 감시하는 민간사찰(청명계획)을 계속 해왔으며, 결국 윤석양 이병이 보안사의 민간인 사찰을 고발하는 양심선언을 한 이후 1991년 '''국군기무사령부'''로 개칭되고 역할이 축소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