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32 바이트 추가됨 ,  2011년 4월 6일 (수) 13:14
잔글
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6번째 줄:     
== 특무대 축구단 ==
 
== 특무대 축구단 ==
특무대 축구단은 한국전쟁이 교착상태에 빠져있던 1951년 10월 김창룡 당시 특무부대장의 주도로 창설되었다. 당시 김창룡의 나이가 35세에 불과했지만 이미 국군내에서 수사권을 독점하고 있였으며, 이승만과 직통 보고라인이 있는 실세였다. 이러한 김창룡의 권력을 바탕으로 전국에 있는 유명 선수들을 끌어모으면서 축구계를 호령하게 되었다<ref>당시는 전쟁상황이었으므로 축구선수들도 모두 징집된 상태였디. 전방에 끌려가는 것보다 정보부대의 특징상 후방에 있는 특무부대에 근무하는 것을 선호할 수 밖에 없는데다 축구까지 계속할 수 있으니 금상첨화. 그러나 무조건 이기지 않으면 죽음을 직면하게 된다는 사실은 몰랐을 듯..</ref>.
+
'''특무대 축구단'''은 한국전쟁이 교착상태에 빠져있던 1951년 10월 김창룡 당시 특무부대장의 주도로 창설되었다. 당시 김창룡의 나이가 35세에 불과했지만 이미 국군내에서 수사권을 독점하고 있였으며, 이승만과 직통 보고라인이 있는 실세였다. 이러한 김창룡의 권력을 바탕으로 전국에 있는 유명 선수들을 끌어모으면서 축구계를 호령하게 되었다<ref>당시는 전쟁상황이었으므로 축구선수들도 모두 징집된 상태였디. 전방에 끌려가는 것보다 정보부대의 특징상 후방에 있는 특무부대에 근무하는 것을 선호할 수 밖에 없는데다 축구까지 계속할 수 있으니 금상첨화. 그러나 무조건 이기지 않으면 죽음을 직면하게 된다는 사실은 몰랐을 듯..</ref>.
    
특무대 축구단은 경기를 지면 (또는 질거같으면) 벤치측에서 선수단을 불러 모아서 경기를 무효화시키는 것으로 유명했는데 압권은 1955년 [[전국축구선수권대회]]에서 벌어졌다. 당시 [[헌병감실]]과 특무대는 전국축구선수권 결승에서 1차전 0:0으로 승부가 나지 않자 재경기까지 벌이는 등 치열한 접전을 벌였는데 정규시간 동안에도 2:2로 승부를 가리지 못하자 연장전에 들어가게 된다. 연장전도 종료되기 3분전 헌병감실이 극적인 골을 성공시키며 앞서나가자 특무대 벤치측에서 특무대 선수들에게 퇴장 명령을 내린다. 특무대 선수들은 군소리 없이 퇴장해 순식간에 경기는 중단되었고, 주심은 이도저도 못하다 노게임을 선언하였다. 이 사건으로 [[현정주]] 당시 [[대한축구협회]] 회장은 사임하였으며 당시 헌병감실 vs 특무대 경기 주심이었던 [[김영근]]<ref>확실하진 않지만 [[김용식]] 옹과 함께 일제 치하당시 일본 베를린 올림픽대표로 발탁되었던 고 김영근 선생과 동일인인 것으로 보인다.</ref>씨는 다시는 심판직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처럼 각종 설화를 일으켰음에도 특무대 축구단은 황금다리 [[최정민]] 등 수많은 국가대표를 배출한 팀으로 1950년대 최강의 축구단으로 한국축구사에 한페이지를 장식하고 있다.  
 
특무대 축구단은 경기를 지면 (또는 질거같으면) 벤치측에서 선수단을 불러 모아서 경기를 무효화시키는 것으로 유명했는데 압권은 1955년 [[전국축구선수권대회]]에서 벌어졌다. 당시 [[헌병감실]]과 특무대는 전국축구선수권 결승에서 1차전 0:0으로 승부가 나지 않자 재경기까지 벌이는 등 치열한 접전을 벌였는데 정규시간 동안에도 2:2로 승부를 가리지 못하자 연장전에 들어가게 된다. 연장전도 종료되기 3분전 헌병감실이 극적인 골을 성공시키며 앞서나가자 특무대 벤치측에서 특무대 선수들에게 퇴장 명령을 내린다. 특무대 선수들은 군소리 없이 퇴장해 순식간에 경기는 중단되었고, 주심은 이도저도 못하다 노게임을 선언하였다. 이 사건으로 [[현정주]] 당시 [[대한축구협회]] 회장은 사임하였으며 당시 헌병감실 vs 특무대 경기 주심이었던 [[김영근]]<ref>확실하진 않지만 [[김용식]] 옹과 함께 일제 치하당시 일본 베를린 올림픽대표로 발탁되었던 고 김영근 선생과 동일인인 것으로 보인다.</ref>씨는 다시는 심판직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처럼 각종 설화를 일으켰음에도 특무대 축구단은 황금다리 [[최정민]] 등 수많은 국가대표를 배출한 팀으로 1950년대 최강의 축구단으로 한국축구사에 한페이지를 장식하고 있다.  
 +
 +
특무대 축구단은 특무부대의 명칭의 변경에 따라 여러 이름으로 바뀌었는데 '''CIC 축구단''', '''방첩부대 축구단''' 등으로 불리웠다.
    
한 때 전체 [[국가대표]] 선수중 절반을 전력으로 보유하면서 축구계를 호령하던 특무대 축구단은 1965년 예산문제 등 군부대 여건상 더 이상 축구팀을 유지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같은 해 4월 [[춘계실업축구연맹전]]을 마지막으로 6월 8일 축협에 해체를 통보해 역사속으로 사라지고 말았다.<ref>[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5061000209208005&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5-06-10&officeId=00020&pageNo=8&printNo=13425&publishType=00020 방첩부대축구팀 15년만에 해체 <동아일보> -1965년 6월 10일-]  </ref> 해체 후 선수들은 같이 해체된 [[헌병감실 축구단]]의 선수들과 [[공병단 축구단]]에 합류하여 육군대표라는 이름으로 경기에 출전하게 되었다.
 
한 때 전체 [[국가대표]] 선수중 절반을 전력으로 보유하면서 축구계를 호령하던 특무대 축구단은 1965년 예산문제 등 군부대 여건상 더 이상 축구팀을 유지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같은 해 4월 [[춘계실업축구연맹전]]을 마지막으로 6월 8일 축협에 해체를 통보해 역사속으로 사라지고 말았다.<ref>[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5061000209208005&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5-06-10&officeId=00020&pageNo=8&printNo=13425&publishType=00020 방첩부대축구팀 15년만에 해체 <동아일보> -1965년 6월 10일-]  </ref> 해체 후 선수들은 같이 해체된 [[헌병감실 축구단]]의 선수들과 [[공병단 축구단]]에 합류하여 육군대표라는 이름으로 경기에 출전하게 되었다.
   −
특무대 축구단, CIC 축구단, 방첩대 축구단 등 특무부대의 명칭의 변경에 따라 칭하는 명칭이 여러가지로 바뀌었다.
+
 
    
=== 성적 ===
 
=== 성적 ===

편집

4,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