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3 바이트 추가됨 ,  2012년 2월 11일 (토) 13:45
잔글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 스포츠 ==
 
== 스포츠 ==
주장은 각종 [[스포츠]]마다 역할이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해당 팀의 선수 대표로서 선수들 사이의 위계질서를 관리하는 역할은 공통적이다. 보통 가장 실력아나 지도능력이 뛰어나거나 가장 연장자가 주장을 담당한다. [[축구]] 의 경우 선수로서의 활동기간이 가장 긴 [[골키퍼]]가 주장을 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주장의 명칭은 영어로 대체로 캡틴(Captain)을 사용하나, [[컬링]]에서는 ''스킵(Skip)''이라고 한다. [[북미]] [[아이스하키]] [[리그]]인 [[내셔널 하키 리그]](NHL)의 ''스티브 아이저먼(Steve Yzerman)''은 1986년부터 은퇴하는 2006년까지 ''디트로이트 레드윙즈''에서 21년간 주장을 맡기도 했다.  
+
주장은 각종 [[스포츠]]마다 역할이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해당 팀의 선수 대표로서 선수들 사이의 위계질서를 관리하는 역할은 공통적이다. 보통 가장 실력아나 지도능력이 뛰어나거나 가장 연장자가 주장을 담당한다. [[축구]]의 경우 선수로서의 활동기간이 가장 긴 [[골키퍼]]가 주장을 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주장의 명칭은 영어로 대체로 캡틴(Captain)을 사용하나, [[컬링]]에서는 ''스킵(Skip)''이라고 한다. [[북미]] [[아이스하키]] [[리그]]인 [[내셔널 하키 리그]](NHL)의 ''스티브 아이저먼(Steve Yzerman)''은 1986년부터 은퇴하는 2006년까지 ''디트로이트 레드윙즈''에서 21년간 주장을 맡기도 했다.  
    
== 축구 ==
 
== 축구 ==
10번째 줄: 10번째 줄:  
현대 [[축구]]에서는 주장은 한 팀의 멤버 중 대체로 경험이 많고 실력이 뛰어난 선수가 뽑힌다. 주장은 경기 시작 전에 공격 순서를 정하고 경기 도중 선수들의 움직임을 그라운드 안에서 조율하는 역할을 담당하기도 하는 등, 경기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축구 규칙]]상에 주장의 위상은 크지 않은데 경기 시작전 위치를 정하거나 [[승부차기]]시 골대를 정하는 [[동전 던지기]]를 하는 역할 외에는 별도의 권한이 축구 규칙에는 없다. 많은 이들이 착각하지만 경기중 선수들을 대표하여 심판에 대한 항의를 하는 권한 또한 없다.   
 
현대 [[축구]]에서는 주장은 한 팀의 멤버 중 대체로 경험이 많고 실력이 뛰어난 선수가 뽑힌다. 주장은 경기 시작 전에 공격 순서를 정하고 경기 도중 선수들의 움직임을 그라운드 안에서 조율하는 역할을 담당하기도 하는 등, 경기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축구 규칙]]상에 주장의 위상은 크지 않은데 경기 시작전 위치를 정하거나 [[승부차기]]시 골대를 정하는 [[동전 던지기]]를 하는 역할 외에는 별도의 권한이 축구 규칙에는 없다. 많은 이들이 착각하지만 경기중 선수들을 대표하여 심판에 대한 항의를 하는 권한 또한 없다.   
   −
주장은 팔의 완장으로 나타내는데 주장이 교체시 다른 이에게 완장을 물려주면 그 사람이 주장이 된다. 보통은 '''부주장'''(Vice-Captain)이 그 역할을 맡는다.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초대주장은 [[김두함]]이었는데 [[수원 삼성 블루윙즈 1996|1996년]] 출전한 경기가 교체 1경기 밖에 없기 때문에 경기중에는 부주장이던 윤성효가 그 역할을 대신하였는데 이로 인해 수원팬들중에 윤성효를 초대주장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
주장은 팔의 완장으로 나타내는데 주장이 교체시 다른 이에게 완장을 물려주면 그 사람이 주장이 된다. 보통은 '''부주장'''(Vice-Captain)이 그 역할을 맡는다.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초대주장은 [[김두함]]이었으나 [[수원 삼성 블루윙즈 1996|1996년]] 출전한 경기가 교체 1경기 밖에 없기 때문에 경기중에는 부주장이던 [[윤성효]]가 그 역할을 대신하였는데 이로 인해 수원팬들중에 윤성효를 초대주장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주장은 의례적으로 대회 우승 [[트로피]]를 가장 먼저 들 수 있다. 첫 [[FIFA 월드컵|월드컵]]에서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장이던 [[호세 나사시]]가 첫번째로 [[줄리메컵]]을 들 수 있기 때문에 첫번째 월드컵 우승을 기준으로 복싱타입의 비공식적인 타이틀 매치의 명칭이 [[나사시의 바통]]이 되었다. 월드컵 역사상 주장으로서 가장 긴 시간동안 그라운드를 누빈 선수는 아르헨티나의 디에고 마라도나이다.
 
주장은 의례적으로 대회 우승 [[트로피]]를 가장 먼저 들 수 있다. 첫 [[FIFA 월드컵|월드컵]]에서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장이던 [[호세 나사시]]가 첫번째로 [[줄리메컵]]을 들 수 있기 때문에 첫번째 월드컵 우승을 기준으로 복싱타입의 비공식적인 타이틀 매치의 명칭이 [[나사시의 바통]]이 되었다. 월드컵 역사상 주장으로서 가장 긴 시간동안 그라운드를 누빈 선수는 아르헨티나의 디에고 마라도나이다.

편집

4,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