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시즌 초반, [[김한윤]]의 은퇴(후 이적) [[하대성]], [[한태유]], [[고명진]]등의 부상으로 시즌 초반부터 주전 자리를 꿰찼고, [[FC GS]]의 유일한 오른쪽 전문 수비수인 [[이규로]]와 보직을 변경한 [[김태환]]이 부진을 면치 못하자 오른쪽 윙백으로 뛰기도 했었다. 이후 [[하대성]], [[고명진]] 등의 복귀에도 아랑곳않는 부동의 주전으로 입지를 굳혔고, 외국인을 제외한 [[FC GS]]의 필드 플레이어중 가장 많은 경기에 출전할 정도로 두터운 입지를 굳혔다. [[아시아 챔피언스리그]] 3차전 [[나고야]] 원정에서 강력한 중거리 슛으로 프로 데뷔 골을 기록하였고(이 골은 [[아시아 챔피언스리그]] 이달의 골에 선정되었다), 후반기 [[울산]] 원정에서도 중거리 슛으로 골망을 가르며 리그 데뷔 골을 기록하였다. (아이러니하게도 홈에서의 중거리슛은 모두 슈퍼세이브에 막히거나 골대를 맞추고 원정에서만 득점을 넣는..) | 2011시즌 초반, [[김한윤]]의 은퇴(후 이적) [[하대성]], [[한태유]], [[고명진]]등의 부상으로 시즌 초반부터 주전 자리를 꿰찼고, [[FC GS]]의 유일한 오른쪽 전문 수비수인 [[이규로]]와 보직을 변경한 [[김태환]]이 부진을 면치 못하자 오른쪽 윙백으로 뛰기도 했었다. 이후 [[하대성]], [[고명진]] 등의 복귀에도 아랑곳않는 부동의 주전으로 입지를 굳혔고, 외국인을 제외한 [[FC GS]]의 필드 플레이어중 가장 많은 경기에 출전할 정도로 두터운 입지를 굳혔다. [[아시아 챔피언스리그]] 3차전 [[나고야]] 원정에서 강력한 중거리 슛으로 프로 데뷔 골을 기록하였고(이 골은 [[아시아 챔피언스리그]] 이달의 골에 선정되었다), 후반기 [[울산]] 원정에서도 중거리 슛으로 골망을 가르며 리그 데뷔 골을 기록하였다. (아이러니하게도 홈에서의 중거리슛은 모두 슈퍼세이브에 막히거나 골대를 맞추고 원정에서만 득점을 넣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