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237 바이트 추가됨 ,  2014년 11월 28일 (금) 17:06
편집 요약 없음
10번째 줄: 10번째 줄:     
하지만 경남은 이 경기에서 승리하였지만 챔피언십 진출에 실패한 반면, 부산은 챔피언십 진출 명단에 당당히 이름을 올리며 축구 명가의 자존심을 회복할 발판을 삼게 되었다. 또한, 호니는 이 경기에서 득점한 이후 공식 경기 득점 기록이 없고, 2012시즌에는 아예 방출 위기까지 갔다가 2군에서 올라오지 못하고 있으며, 2011시즌 [[김주영2|김주영]]의 공백을 안정적으로 메워 준 [[이경렬]]은 [[안익수]] 감독 눈 밖에 난 [[유호준]]과 트레이드되며 부산으로 이적, 2012시즌 주전 수비수들의 줄부상을 틈타 주전으로 도약, 좋은 활약을 펼쳐 주고 있다.<ref>혹자는 이를 두고 밸런스 패치라고 한다. 경남의 압도적인 상대 전적과 부산의 결과를 비교하는 것.</ref> 경기 수로 꼭 20번째 더비 경기가 되는 2012년 2번째 맞대결을 앞둔 상황에서 부산은 상위 [[스플릿]]에 자력으로 진출해서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으며, 경남은 상위 스플릿 진출을 위해 남은 2경기<ref>8월 22일 부산, 8월 26일 광주</ref> 모두 잡겠다는 의지로 경기에 임할 것으로 보인다. 경남이 2:0으로 깔끔하게 승리를 거두었는데, 후반 초반 경남의 주장 [[강승조]]가 부산의 [[이종원]]과 볼 경합할 때 발이 높았고, 그에 격분한 [[김한윤]]이 강승조를 밀치면서 둘이 난투극을 벌이기 직전까지 일이 벌어졌다. 다행히도 다른 선수들이 적극적으로 말려서 물리력의 행사는 일어나지 않았지만 팀 최고참으로서의 김한윤의 위치를 생각해 보면 좀 아쉬운 대응. 또한 [[수비형 미드필더]]로 상대를 적극적으로 막으며 예봉을 꺾어 줄 사람이 있어야 하는데 그러한 사람이 없었으므로 부산의 중원은 더 힘들어 질 수 밖에 없었다. 반면, 후반이 끝나가는 시점에서 골킥을 준비하던 [[전상욱]]이 [[A보드]]를 발로 걷어차며 화를 내는 등 상당히 양팀이 예민한 분위기였다. 결국 경남이 승리를 거두었고, 30라운드에서 상위 스플릿 진출 여부를 가리게 되었다. 경기 종료 후 김한윤때문에 흥분한듯한 일부 경남 팬들이 부산 팬들을 위협하는 듯 경기장 밖 분위기도 그렇게 좋지 않았다는 후문.
 
하지만 경남은 이 경기에서 승리하였지만 챔피언십 진출에 실패한 반면, 부산은 챔피언십 진출 명단에 당당히 이름을 올리며 축구 명가의 자존심을 회복할 발판을 삼게 되었다. 또한, 호니는 이 경기에서 득점한 이후 공식 경기 득점 기록이 없고, 2012시즌에는 아예 방출 위기까지 갔다가 2군에서 올라오지 못하고 있으며, 2011시즌 [[김주영2|김주영]]의 공백을 안정적으로 메워 준 [[이경렬]]은 [[안익수]] 감독 눈 밖에 난 [[유호준]]과 트레이드되며 부산으로 이적, 2012시즌 주전 수비수들의 줄부상을 틈타 주전으로 도약, 좋은 활약을 펼쳐 주고 있다.<ref>혹자는 이를 두고 밸런스 패치라고 한다. 경남의 압도적인 상대 전적과 부산의 결과를 비교하는 것.</ref> 경기 수로 꼭 20번째 더비 경기가 되는 2012년 2번째 맞대결을 앞둔 상황에서 부산은 상위 [[스플릿]]에 자력으로 진출해서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으며, 경남은 상위 스플릿 진출을 위해 남은 2경기<ref>8월 22일 부산, 8월 26일 광주</ref> 모두 잡겠다는 의지로 경기에 임할 것으로 보인다. 경남이 2:0으로 깔끔하게 승리를 거두었는데, 후반 초반 경남의 주장 [[강승조]]가 부산의 [[이종원]]과 볼 경합할 때 발이 높았고, 그에 격분한 [[김한윤]]이 강승조를 밀치면서 둘이 난투극을 벌이기 직전까지 일이 벌어졌다. 다행히도 다른 선수들이 적극적으로 말려서 물리력의 행사는 일어나지 않았지만 팀 최고참으로서의 김한윤의 위치를 생각해 보면 좀 아쉬운 대응. 또한 [[수비형 미드필더]]로 상대를 적극적으로 막으며 예봉을 꺾어 줄 사람이 있어야 하는데 그러한 사람이 없었으므로 부산의 중원은 더 힘들어 질 수 밖에 없었다. 반면, 후반이 끝나가는 시점에서 골킥을 준비하던 [[전상욱]]이 [[A보드]]를 발로 걷어차며 화를 내는 등 상당히 양팀이 예민한 분위기였다. 결국 경남이 승리를 거두었고, 30라운드에서 상위 스플릿 진출 여부를 가리게 되었다. 경기 종료 후 김한윤때문에 흥분한듯한 일부 경남 팬들이 부산 팬들을 위협하는 듯 경기장 밖 분위기도 그렇게 좋지 않았다는 후문.
  −
참고로, 서로의 리그 순위는 언제나 비슷하다. <del>2014년 8월 현재 경남이 리그 최하위로 쳐지자 부산도 경남의 바로 윗 순위인 11위를 기록하고있다.</del>  <del>우리가 남이가!</del>
      
== 양 팀에서 모두 뛰었던 선수 ==
 
== 양 팀에서 모두 뛰었던 선수 ==
457번째 줄: 455번째 줄:  
|관중수 = 7,608
 
|관중수 = 7,608
 
|심판 = [[최명용]]
 
|심판 = [[최명용]]
 +
}}
 +
 +
 +
{{footballbox
 +
|날짜 = 2014년 11월 22일
 +
|시간 = [[K리그 클래식]] 37R
 +
|팀1 = [[경남 FC]]
 +
|득점 = 0 - 1
 +
|리포트 = [http://kleague.com/kr/sub.asp?avan=1002010000&leagueMode=preview&meet_year=2014&meet_seq=1&game_id=220& 연맹 공식]
 +
|팀2 = [[부산 아이파크]]
 +
|골1 =
 +
|골2 = 63' [[닐손 주니어]]
 +
|경기장 = [[양산종합운동장]], [[양산]]
 +
|관중수 = 3,227
 +
|심판 = [[고형진]]
 
}}
 
}}
   467번째 줄: 480번째 줄:  
! 구분 !! 경기 수 !! 경남 승 !! 무승부 !! 부산 승 !! 경남 득점 !! 부산 득점
 
! 구분 !! 경기 수 !! 경남 승 !! 무승부 !! 부산 승 !! 경남 득점 !! 부산 득점
 
|-
 
|-
| 경남 홈 || 12 || 9 || 2 || 1 || 17 || 6
+
| 경남 홈 || 13 || 9 || 2 || 2 || 17 || 7
 
|-
 
|-
 
| 중립 || - || - || - || - || - || -
 
| 중립 || - || - || - || - || - || -
473번째 줄: 486번째 줄:  
| 부산 홈 || 15 || 5 || 2 || 8 || 15 || 24
 
| 부산 홈 || 15 || 5 || 2 || 8 || 15 || 24
 
|-
 
|-
! 통산 || 27 || 14 || 4 || 9 || 32 || 30
+
! 통산 || 28 || 14 || 4 || 10 || 32 || 31
 
|-
 
|-
 
|}
 
|}
484번째 줄: 497번째 줄:  
! 구분 !! 경기 수 !! 경남 승 !! 무승부 !! 부산 승 !! 경남 득점 !! 부산 득점
 
! 구분 !! 경기 수 !! 경남 승 !! 무승부 !! 부산 승 !! 경남 득점 !! 부산 득점
 
|-
 
|-
| 경남 홈 || 10 || 8 || 1 || 1 || 15 || 5
+
| 경남 홈 || 11 || 8 || 1 || 2 || 15 || 6
 
|-
 
|-
 
| 중립 || - || - || - || - || - || -
 
| 중립 || - || - || - || - || - || -
490번째 줄: 503번째 줄:  
| 부산 홈 || 11 || 4 || 2 || 5 || 13 || 19
 
| 부산 홈 || 11 || 4 || 2 || 5 || 13 || 19
 
|-
 
|-
! 통산 || 21 || 12 || 3 || 6 || 28 || 24
+
! 통산 || 22 || 12 || 3 || 7 || 28 || 25
 
|-
 
|-
 
|}
 
|}
644번째 줄: 657번째 줄:     
== 득점 순위 ==
 
== 득점 순위 ==
*2014년 10월 31일 기준.
+
*2014년 11월 28일 기준.
 
{{col-begin}}
 
{{col-begin}}
 
{{col-3}}
 
{{col-3}}
710번째 줄: 723번째 줄:  
| rowspan="1"| 3득점 || {{국기그림|대한민국}} [[한상운]]
 
| rowspan="1"| 3득점 || {{국기그림|대한민국}} [[한상운]]
 
|-
 
|-
| rowspan="1"| 2득점 || {{국기그림|대한민국}} [[양동현]], {{국기그림|대한민국}} [[박용지]]
+
| rowspan="1"| 2득점 || {{국기그림|대한민국}} [[양동현]], {{국기그림|대한민국}} [[박용지]], {{국기그림|브라질}} [[닐손 주니어]]
 
|-
 
|-
 
| rowspan="6"| 1득점 || {{국기그림|대한민국}} [[이정효]], {{국기그림|브라질}} [[소말리아]], {{국기그림|브라질}} [[뽀뽀]]
 
| rowspan="6"| 1득점 || {{국기그림|대한민국}} [[이정효]], {{국기그림|브라질}} [[소말리아]], {{국기그림|브라질}} [[뽀뽀]]

편집

6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