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563 바이트 추가됨 ,  2016년 7월 27일 (수) 17:53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
'''세르베르 제파로프'''(Server Djeparov, 1982년 10월 3일 ~ )는 우즈베키스탄 국적의 축구선수로 2010년부터 [[K리그]]에서 활동한 [[공격형 미드필더]].
+
[[파일:제파로프.jpg|300픽셀|섬네일|<center>울산 시절 제파로프</center>]]
 +
'''세르베르 제파로프''' (Server Djeparov, 1982년 10월 3일 ~ )는 우즈베키스탄 국적의 축구선수로 2010년부터 2015년까지 [[K리그]]에서 활동하였던 [[공격형 미드필더]]이다.
      6번째 줄: 7번째 줄:  
{{col-begin}}
 
{{col-begin}}
 
{{col-3}}
 
{{col-3}}
* 이름 : '''세르베르 레샤토비치 제파로프'''(Server Resatovich Djeparov)
+
* 이름 : '''세르베르 레샤토비치 제파로프''' (Server Resatovich Djeparov)
    
* [[K리그 등록명|등록명]] : 제파로프
 
* [[K리그 등록명|등록명]] : 제파로프
    
* 국적 : {{국기그림|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 국적 : {{국기그림|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
* 출생지 : {{국기그림|소련}}→{{국기그림|우즈베키스탄}} 치르치크(Chirchiq)
      
* 출생일 : 1982년 10월 3일  
 
* 출생일 : 1982년 10월 3일  
19번째 줄: 18번째 줄:     
* 포지션 : [[공격형 미드필더]]
 
* 포지션 : [[공격형 미드필더]]
 +
 +
* 수상 경력
 +
: 2008년, 2011년 [[아시아 올해의 축구 선수]]
    
* 국가대표 경력
 
* 국가대표 경력
27번째 줄: 29번째 줄:  
: [[2014년 FIFA 브라질 월드컵]] 아시아예선 대표
 
: [[2014년 FIFA 브라질 월드컵]] 아시아예선 대표
 
: 2002년 ~ 현재 :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
 
: 2002년 ~ 현재 :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
: '''(통산 A매치 113경기 출장 23골)'''
+
: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 통산 [[A매치]] 117경기 출전 24득점)'''
 
  −
* 수상 경력
  −
: 2008년, 2011년 [[아시아 올해의 축구 선수]]
     −
* 현 소속팀 :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FK
+
* 현 소속팀 : {{국기그림|우즈베키스탄}}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FK
   −
* [[등번호]] : -
+
* [[등번호]] : 8
 
{{col-3}}
 
{{col-3}}
 
* K리그 기록
 
* K리그 기록
41번째 줄: 40번째 줄:  
! 연도 !! 소속팀 !! 리그 !! 출장 !! 교체 !! 득점 !! 도움 !! 경고 !! 퇴장  
 
! 연도 !! 소속팀 !! 리그 !! 출장 !! 교체 !! 득점 !! 도움 !! 경고 !! 퇴장  
 
|-
 
|-
| 2010 || {{팀/GS|1|연속=2}} || rowspan="2"| 클래식 || 18 ||7 || 1||7 ||4 ||0   
+
| 2010 || rowspan=2 {{팀/GS|1}} || rowspan="2"| K리그 || 18 ||7 || 1||7 ||4 ||0   
 
|-
 
|-
 
| 2011 ||15||5 || 0||1 ||2 ||0   
 
| 2011 ||15||5 || 0||1 ||2 ||0   
53번째 줄: 52번째 줄:  
! 통산 ||colspan="2"| 클래식 ||110|| 50 || 20||16||17||0
 
! 통산 ||colspan="2"| 클래식 ||110|| 50 || 20||16||17||0
 
|}
 
|}
:[[K리그]] 통산기록은 [[리그컵]]기록 포함. 2016년 1월 1일 시점 기준.
+
:[[K리그]] 통산기록은 [[리그컵]]기록 포함. 2016년 3월 1일 시점 기준.
 
:{{연맹선수기록|ID=20100279}}
 
:{{연맹선수기록|ID=20100279}}
 
{{col-end}}
 
{{col-end}}
67번째 줄: 66번째 줄:  
이후 2013년 [[성남 일화 천마]]와 전격 계약하면서 K리그 무대로 돌아왔다. 성남에서는 [[안익수]] 감독의 신뢰 속에 많은 출장을 기록하였고, 스탯상으로는 6골 2도움을 기록하며 밥값을 하는듯 보였지만.. 시즌이 진행될수록 슛을 난사하는 성향이 심해졌고, 다른 선수들과의 연계 플레이가 떨어지면서 찬스를 무산시키는 일이 잦다는 평을 들었다. 여기에 14시즌을 앞두고 성남 일화 천마가 [[성남 FC]]로 전환되고 [[박종환]] 감독이 부임하면서 제파로프의 연봉이 10억을 상회하는 사실이 대외적으로 알려졌고, 이후 고비용 저효율 외국인 선수로 낙인찍혀 이적 대상에 분류되었다. 하지만 이적협상이 잘 진행되지 않는 탓인지 제파로프는 2014시즌에도 여전히 성남에서 활동 하게 되는데.. 이대로 골칫거리로 전락하는듯 했던 제파로프는, 2014시즌 후반기 [[김학범]] 감독 부임을 전후로, 팀의 핵심 미드필더로 재거듭나며 성남 공격의 중심축을 잡아주기 시작했다. 결과적으로 제파로프의 부활과 끈끈한 팀 컬러의 구축으로 성남 FC는 2014년 FA컵 우승 컵을 들어올렸고, K리그 클래식 잔류에도 성공하였다.
 
이후 2013년 [[성남 일화 천마]]와 전격 계약하면서 K리그 무대로 돌아왔다. 성남에서는 [[안익수]] 감독의 신뢰 속에 많은 출장을 기록하였고, 스탯상으로는 6골 2도움을 기록하며 밥값을 하는듯 보였지만.. 시즌이 진행될수록 슛을 난사하는 성향이 심해졌고, 다른 선수들과의 연계 플레이가 떨어지면서 찬스를 무산시키는 일이 잦다는 평을 들었다. 여기에 14시즌을 앞두고 성남 일화 천마가 [[성남 FC]]로 전환되고 [[박종환]] 감독이 부임하면서 제파로프의 연봉이 10억을 상회하는 사실이 대외적으로 알려졌고, 이후 고비용 저효율 외국인 선수로 낙인찍혀 이적 대상에 분류되었다. 하지만 이적협상이 잘 진행되지 않는 탓인지 제파로프는 2014시즌에도 여전히 성남에서 활동 하게 되는데.. 이대로 골칫거리로 전락하는듯 했던 제파로프는, 2014시즌 후반기 [[김학범]] 감독 부임을 전후로, 팀의 핵심 미드필더로 재거듭나며 성남 공격의 중심축을 잡아주기 시작했다. 결과적으로 제파로프의 부활과 끈끈한 팀 컬러의 구축으로 성남 FC는 2014년 FA컵 우승 컵을 들어올렸고, K리그 클래식 잔류에도 성공하였다.
   −
성남에서 인상적인 활약을 보여준 제파로프는 이듬해 [[윤정환]] 신임 감독의 부름으로 [[울산 현대]]로 이적하였다. 이적 후 시즌 첫 경기 [[FC GS]]와 경기와 다음 경기인 [[포항 스틸러스]]와의 [[동해안 더비]]에서 두 경기 연속 득점을 성공하여 좋은 활약을 예고하였다. 그러나 제파로프는 7월까지 선발로 꾸준히 출전하였으나 8월부터는 점차 체력적인 한계를 보이며 서브로 밀려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결국 9월 23일 [[인천 유나이티드]]와 경기를 끝으로 출전하지 못하였다.
+
성남에서 인상적인 활약을 보여준 제파로프는 이듬해 [[윤정환]] 신임 감독의 부름으로 [[울산 현대]]로 이적하였다. 이적 후 시즌 첫 경기 [[FC GS]]와 경기와 다음 경기인 [[포항 스틸러스]]와의 [[동해안 더비]]에서 두 경기 연속 득점을 성공하여 좋은 활약을 예고하였다. 그러나 제파로프는 7월까지 선발로 꾸준히 출전하였으나 8월부터는 점차 체력적인 한계를 보이며 서브로 밀려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결국 9월 23일 [[인천 유나이티드]]와 경기를 끝으로 출전하지 못하였다. 2016년 1월 7일, 제파로프는 자국 리그의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FK로 이적하였다.
 
  −
2016년 1월 7일, 제파로프는 자국 리그의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FK(Lokomotiv Tashkent FK) 이적했다.
         
== 플레이 스타일 ==
 
== 플레이 스타일 ==
 +
안정적인 볼 배급과 번뜩이는 패스로 무장한 전형적인 공격형 미드필더이다. 거기에 경기를 운영하는 능력 또한 준수한 편이다. 그러나 템포 자체가 느린 면이 있고, 자신 위주로 경기를 풀지 않는 경우에는 활약도가 떨어지는 것이 단점.
      84번째 줄: 82번째 줄:  
! 시즌 !! 소속팀 !! 리그 !! 비고
 
! 시즌 !! 소속팀 !! 리그 !! 비고
 
|-
 
|-
| 2000 ~ 2001 || {{국기그림|우즈베키스탄}} Navbahor Namangan || Uzbek League ||
+
| 2000 ~ 2001 || {{국기그림|우즈베키스탄}} 나프바호르 나망간 || 우즈베키스탄 리그 ||
 
|-
 
|-
| 2002 ~ 2007 || {{국기그림|우즈베키스탄}} Pakhtakor Tashkent || Uzbek League ||
+
| 2002 ~ 2007 || {{국기그림|우즈베키스탄}}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 우즈베키스탄 리그 ||
 
|-
 
|-
| 2008 ~ 2010.07 || {{국기그림|우즈베키스탄}} Bunyodkor || Uzbek League ||  
+
| 2008.01 ~ 2010.07 || {{국기그림|우즈베키스탄}} FC 부뇨드코르 || 우즈베키스탄 리그 ||
 +
|-bgcolor=#f0fff0
 +
|  → 2010.07 ~ 2010.12 || {{팀/GS}} || [[K리그]] || 임대
 
|-
 
|-
| → 2010.07 || {{틀:팀/GS}} || [[K리그]] || 임대
+
| 2011.01 ~ 2011.07 || {{팀/GS}} || [[K리그]] ||  
 
|-
 
|-
| 2011 || {{틀:팀/GS}} || [[K리그]] ||  
+
| 2011.07 ~ 2012.12 || {{국기그림|사우디아라비아}} [[알 샤바브]] || 사우디 프리미어리그 ||  
 
|-
 
|-
| 2011.07 ~ 2012 || {{국기그림|사우디아라비아}} Al Shabab FC (Riyadh) || Saudi Professional League ||  
+
| 2013  || {{팀/성남일화}} || [[K리그 클래식]] ||
 
|-
 
|-
| 2013 ~ 2014 || {{틀:팀/성남일화}}<br/>→{{틀:팀/성남}} || [[K리그 클래식]] ||
+
| 2014 || {{팀/성남}} || [[K리그 클래식]] ||
 
|-
 
|-
| 2015 || {{틀:팀/울산}} || [[K리그 클래식]] ||
+
| 2015 || {{팀/울산}} || [[K리그 클래식]] ||
 
|-  
 
|-  
| 2016 || {{국기그림|우즈베키스탄}} Lokomotiv Tashkent FK || Uzbek League ||  
+
| 2016 || {{국기그림|우즈베키스탄}}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FK || 우즈베키스탄 리그 ||  
 
|}
 
|}
   112번째 줄: 112번째 줄:       −
[[분류:1982년생]][[분류:우즈베키스탄 국적의 선수]][[분류:성남 일화 천마의 선수]][[분류:성남 FC의 선수]][[분류:울산 현대의 선수]]
+
[[분류:1982년생]][[분류:우즈베키스탄 국적의 선수]][[분류:FC GS의 선수]][[분류:성남 일화 천마의 선수]][[분류:성남 FC의 선수]][[분류:울산 현대의 선수]]

편집

7,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