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4 바이트 추가됨 ,  2011년 11월 29일 (화) 18:25
잔글
7번째 줄: 7번째 줄:     
=== 승강제 ===
 
=== 승강제 ===
1982년 이전까지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의 승강제는 다른 일반적인 축구리그와 마찬가지로 하위 2개팀이 강등되고 하부리그의 상위 2개팀이 승격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1981년 리그의 흥행에 중심이 되는 빅5(씽코 그란데스)중 한 팀인 [[산로렌소]]가 강등되면서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래서 1983년부터 빅클럽들의 강등 위험을 줄이기 위해 3개 시즌의 평균 승점(평균 승률) 하위 2개팀이 강등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이로 인해 1983년의 [[리버 플레이트]], 1984년의 [[보카 주니어스]]가 구제되기도 했으나 [[씽코 그란데스]] 중 한 팀인 [[라싱 클럽]]은 제도 시행 첫해인 1983년 강등되고 말았다.  
+
1982년 이전까지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의 승강제는 다른 일반적인 축구리그와 마찬가지로 하위 2개팀이 강등되고 하부리그의 상위 2개팀이 승격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1981년 리그의 흥행에 중심이 되는 빅5(씽코 그란데스)중 한 팀인 [[산 로렌소]]가 강등되면서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래서 1983년부터 빅클럽들의 강등 위험을 줄이기 위해 3개 시즌의 평균 승점(평균 승률) 하위 2개팀이 강등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이로 인해 1983년의 [[리베르 플라테]], 1984년의 [[보카 후니오르스]]가 구제되기도 했으나 [[씽코 그란데스]] 중 한 팀인 [[라싱 클럽]]은 제도 시행 첫해인 1983년 강등되고 말았다.  
    
20개팀 중 2개팀이 자동으로 강등되는 방식의 승강제가 계속 유지되다가 1999/2000시즌부터는 3년간의 통합승률 하위 2개팀은 자동 강등, 차상위 2개팀은 2부리그인 [[프리메라 B 나시오날]]의 3,4위 팀과 별도의 [[플레이 오프]]를 펼치는 일명 '''프로모시온'''(Promoción)의 경기 결과에 따라 강등팀이 2팀~4팀으로 유동적으로 변하게 되었다.  
 
20개팀 중 2개팀이 자동으로 강등되는 방식의 승강제가 계속 유지되다가 1999/2000시즌부터는 3년간의 통합승률 하위 2개팀은 자동 강등, 차상위 2개팀은 2부리그인 [[프리메라 B 나시오날]]의 3,4위 팀과 별도의 [[플레이 오프]]를 펼치는 일명 '''프로모시온'''(Promoción)의 경기 결과에 따라 강등팀이 2팀~4팀으로 유동적으로 변하게 되었다.  
   −
2010/11시즌부터는 3년간의 통합 승률 하위 1개팀만 자동 강등, 18위,19위는 추가 플레이오프를 통해 패한팀은 강등, 승리팀은 프리메라 B 나시오날의 3위팀과 프로모시온, 17위팀은 4위팀과의 프로모시온을 펼치게 되었다. 2010/11시즌 평균 승률 17위인 [[리버 플레이트]]가 [[프리메라 B 나시오날]] 4위팀과의 프로모시온에서 패배하여 팀 역사상 최초로 강등되기도 하였다.
+
2010/11시즌부터는 3년간의 통합 승률 하위 1개팀만 자동 강등, 18위,19위는 추가 플레이오프를 통해 패한팀은 강등, 승리팀은 프리메라 B 나시오날의 3위팀과 프로모시온, 17위팀은 4위팀과의 프로모시온을 펼치게 되었다. 2010/11시즌 평균 승률 17위인 [[리베르 플라테]]가 [[프리메라 B 나시오날]] 4위팀과의 프로모시온에서 패배하여 팀 역사상 최초로 강등되기도 하였다.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편집

3,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