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66 바이트 추가됨 ,  2014년 5월 12일 (월) 07:55
잔글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 유래 ==
 
== 유래 ==
리그컵은 1946/47시즌 [[스코틀랜드]]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클럽의 운영비가 증가함에 따라 각 클럽의 수익을 증대시킬 방안에 대한 고민이 커져가고 있었는데 1950년대 잉글랜드의 축구경기장에 [[나이터|야간 경기 시설]]이 설치되면서 주말 낮 뿐만 아니라 주중 저녁에도 경기를 가질 수 있게 됨에 따라 [[스코틀랜드 리그컵]]의 방식에 따라 1961년 [[풋볼 리그컵]]을 창설하게 되었다. <ref>스코틀랜드 리그컵은 2차대전 당시 [[스코틀랜드 풋볼 리그]]와 [[스코틀랜드컵]]이 중단되어 이를 대체하여 지역별로 치뤄지던 리그(서든 리그와 노쓰 이스턴 리그)와 컵대회(서든 리그컵)가 종전후 리그가 대시 재개됨에 따라 지역리그는 해체되고 컵대회는 리그컵의 형식으로 스코틀랜드 축구에 정식편입되면서 시작된 대회로 일반적인 리그컵의 창설과는 다른 이유였다.</ref> 이후 클럽 수익 증대를 위해 경기수를 늘리기 원했던 잉글랜드 이외의 유럽 여러 나라에도 도입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우승팀에 유로파 리그에 출전자격을 부여하는 등 하나의 양식으로 자리잡고 있다.  
+
리그컵은 1946/47시즌 [[스코틀랜드]]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클럽의 운영비가 증가함에 따라 각 클럽의 수익을 증대시킬 방안에 대한 고민이 커져가고 있었는데 1950년대 잉글랜드의 축구경기장에 [[나이터|야간 경기 시설]]이 설치되면서 주말 낮 뿐만 아니라 주중 저녁에도 경기를 가질 수 있게 됨에 따라 [[스코틀랜드 리그컵]]의 디비전에 상관없이 모든 프로리그 팀이 참여하는 방식에 따라 1961년 [[풋볼 리그컵]]을 창설하게 되었다. <ref>스코틀랜드 리그컵은 2차대전 당시 [[스코틀랜드 풋볼 리그]]와 [[스코틀랜드컵]]이 중단되어 이를 대체하여 지역별로 치뤄지던 리그(서든 리그와 노쓰 이스턴 리그)와 컵대회(서든 리그컵)가 종전후 리그가 대시 재개됨에 따라 지역리그는 해체되고 컵대회는 리그컵의 형식으로 스코틀랜드 축구에 정식편입되면서 시작된 대회로 일반적인 리그컵의 창설과는 다른 이유였다.</ref> 이후 클럽 수익 증대를 위해 경기수를 늘리기 원했던 잉글랜드 이외의 유럽 여러 나라에도 도입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우승팀에 유로파 리그에 출전자격을 부여하는 등 하나의 양식으로 자리잡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1991년 실업축구에서 리그컵의 성격을 가진 [[전국실업축구선수권대회]](현, [[내셔널축구선수권대회]])가 먼저 시작되었다.<ref>그러나 내셔널리그이전의 실업축구는 사실 메인대회라고 불릴만한 리그가 없이 춘계,추계 연맹전, 전국축구대회, 대통령배, 전국체전 등 리그컵을 여러 번 하는 수준이라 리그컵이라는 개념도 없었고 춘,추계실업축구연맹전과의 위상차이는 별로 없었다.</ref>그리고 다음해인 1992년 K리그에서도 유망주의 육성과 국가대표 소집으로 인한 경기 중단 기간 동안의 리그 경기 실시를 위해 [[K리그 컵대회]]라는 이름으로 처음 리그컵이 시작되었다.<ref>K리그는 경기수가 늘어난다고 해서 클럽 수입이 딱히 늘어난다고 보긴 어렵기 때문에 유망주 육성을 위한 [[2군리그]]가 1990년 실시되다가 흐지부지 되면서 그 대체에 대한 고민과 1991년 실업축구의 실시롤 참고하여 시작하게 되었다.</ref> 이 후 90년대 후반 4년간 리그컵이 2개가 되기도 했으며, [[2003년 K리그]]가 12개 팀이 더블 라운드 로빈을 더블로 돌리는 어마어마한 일정으로 인해 중단된 경우를 빼고는 꾸준히 개최되었다. 그러다 승강제를 앞두고 2012년 K리그에서 스플릿 시스템이 채용되면서 중단되고 있는 상황이다.       
 
[[대한민국]]에서는 1991년 실업축구에서 리그컵의 성격을 가진 [[전국실업축구선수권대회]](현, [[내셔널축구선수권대회]])가 먼저 시작되었다.<ref>그러나 내셔널리그이전의 실업축구는 사실 메인대회라고 불릴만한 리그가 없이 춘계,추계 연맹전, 전국축구대회, 대통령배, 전국체전 등 리그컵을 여러 번 하는 수준이라 리그컵이라는 개념도 없었고 춘,추계실업축구연맹전과의 위상차이는 별로 없었다.</ref>그리고 다음해인 1992년 K리그에서도 유망주의 육성과 국가대표 소집으로 인한 경기 중단 기간 동안의 리그 경기 실시를 위해 [[K리그 컵대회]]라는 이름으로 처음 리그컵이 시작되었다.<ref>K리그는 경기수가 늘어난다고 해서 클럽 수입이 딱히 늘어난다고 보긴 어렵기 때문에 유망주 육성을 위한 [[2군리그]]가 1990년 실시되다가 흐지부지 되면서 그 대체에 대한 고민과 1991년 실업축구의 실시롤 참고하여 시작하게 되었다.</ref> 이 후 90년대 후반 4년간 리그컵이 2개가 되기도 했으며, [[2003년 K리그]]가 12개 팀이 더블 라운드 로빈을 더블로 돌리는 어마어마한 일정으로 인해 중단된 경우를 빼고는 꾸준히 개최되었다. 그러다 승강제를 앞두고 2012년 K리그에서 스플릿 시스템이 채용되면서 중단되고 있는 상황이다.       

편집

4,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