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째 줄: |
1번째 줄: |
− |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Apertura and Clausura)는 [[라틴아메리카]]의 각국 [[축구]] [[리그]]에서 한해를 2개의 [[시즌]]으로 나누어 진행하는 [[2시즌제]]를 이른다.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는 [[스페인어]]로 각각 개막(開幕)과 폐막(閉幕)의 의미를 갖고 있으며,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아이티]]에서 우베튀르(Ouverture, 우브흐뛰흐[uvεʀtyːʀ]:시작,개시)와 페르머튀르(Fermeture, 페흐머뛰흐[fɛʁmǝtyʁ]:잠금,휴업)/클로튀르(Clôture, 클로뛰흐[klotyːʀ]:종결,마감)라는 명칭으로 2011년까지 실행되었다.<ref>2005/06년을 제외하고 2002년부터 2009년까지는 후기리그의 명칭은 페르머튀르였으나 2010년부터 클로튀르로 변경되었다.</ref> [[포르투칼어]]를 사용하는 국가([[브라질]])에서는 실시된 적이 없다. | + |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Apertura and Clausura)는 [[라틴아메리카]]의 각국 [[축구]] [[리그]]에서 한해를 2개의 [[시즌]]으로 나누어 진행하는 [[2시즌제]]를 이른다.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는 [[스페인어]]로 각각 개막(開幕)과 폐막(閉幕)의 의미를 갖고 있으며,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아이티]]에서 우베튀르(Ouverture, 시작,개시)와 페르머튀르(Fermeture, 잠금,휴업)/클로튀르(Clôture, 종결,마감)라는 명칭으로 2011년까지 실행되었다.<ref>2005/06년을 제외하고 2002년부터 2009년까지는 후기리그의 명칭은 페르머튀르였으나 2010년부터 클로튀르로 변경되었다.</ref> [[포르투칼어]]를 사용하는 국가([[브라질]])에서는 실시된 적이 없다. |
| | | |
|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방식은 크게 2시즌을 별도로 취급하는 국가와 2시즌을 치른후 통합챔피언을 결정하는 국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아페르투라의 시작시기에 따라 연 중간에 아페르투라를 시작하는 [[연년제|유럽식 시즌]]과 년초에 시작하는 [[단년제|아메리카식 시즌]]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 |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방식은 크게 2시즌을 별도로 취급하는 국가와 2시즌을 치른후 통합챔피언을 결정하는 국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아페르투라의 시작시기에 따라 연 중간에 아페르투라를 시작하는 [[연년제|유럽식 시즌]]과 년초에 시작하는 [[단년제|아메리카식 시즌]]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
| | | |
| == 개요 == | | == 개요 == |
− |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는 1990년대부터 [[라틴아메리카]]에서 실시되고 있는 [[2시즌제]] 축구 [[리그]]이다. [[남미]]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리그<ref>전세계적으로도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북아일랜드의 풋볼리그 등 [[영국]] 외에서 생겨난 첫번째 리그이다. 영국에서 시작된 근대축구의 해외진출 1호리그. </ref>인 [[아르헨티나 프리메리 디비시온]]이 1990/91시즌부터 실시한 이후 라틴아메리카의 스페인어 사용권에서 널리 퍼지게 된 리그 방식이다. 스페인어를 사용하지 않는 [[중남미]], [[캐러비안]] 국가중에서는 [[아이티]]가 유일하게 시행했던 국가이다. | + |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는 1990년대부터 [[라틴아메리카]]에서 실시되고 있는 [[2시즌제]] 축구 [[리그]]이다. [[남미]]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리그<ref>전세계적으로도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북아일랜드의 풋볼리그 등 [[영국]] 외에서 생겨난 첫번째 리그이다. 영국에서 시작된 근대축구의 해외진출 1호리그. </ref>인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이 1990/91시즌부터 실시한 이후 라틴아메리카의 스페인어 사용권에서 널리 퍼지게 된 리그 방식이다. 스페인어를 사용하지 않는 [[중남미]], [[캐러비안]] 국가중에서는 [[아이티]]가 유일하게 시행했던 국가이다. |
| | | |
| 리그의 명칭은 국가별로 다양한데 코스타리카를 제외하곤 대체로 시작과 끝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 | 리그의 명칭은 국가별로 다양한데 코스타리카를 제외하곤 대체로 시작과 끝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코스타리카 : 인비에르노(Invierno) / 베라노(Verano) - 겨울과 여름 | | * 코스타리카 : 인비에르노(Invierno) / 베라노(Verano) - 겨울과 여름 |
| * 아르헨티나 : 이니시알(Inicial) / 피날(Final) - 시작과 끝, 2012/13시즌부터 사용. | | * 아르헨티나 : 이니시알(Inicial) / 피날(Final) - 시작과 끝, 2012/13시즌부터 사용. |
− | * 아이티 : 우베튀르(Ouverture) / 페르머튀르(Fermeture), 클로튀르(Clôture) - 시작과 잠금, 종결 - 2009년까지는 페르머튀르, 2010년부터 2011년까지는 클로튀르를 사용 | + | * 아이티 : 우베튀르(Ouverture, 우브흐뛰흐[uvεʀtyːʀ]) / 페르머튀르(Fermeture, 페흐머뛰흐[fɛʁmǝtyʁ]), 클로튀르(Clôture, 클로뛰흐[klotyːʀ]) - 시작과 잠금, 종결 - 2009년까지는 페르머튀르, 2010년부터 2011년까지는 클로튀르를 사용 |
| | | |
| == 유래 == | | == 유래 == |
| {{참고|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 | {{참고|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
− | 아르헨티나는 [[남미]]에서 단순히 축구 잘하는 나라라는 이미지뿐만 아니라 남미 최초로 축구리그를 실시했으며,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라틴아메리카]] 국가들<ref>브라질을 제외한 라틴아메리카라는 것과 동일한 의미. 브라질이야 전국리그, 주리그, 리그컵, 주리그컵 등 을 한팀이 1년 내내 돌려야 하는 나라라서 다른 나라의 제도를 자국내에 적용시키기가 어렵기도 하거니와 아르헨티나와의 라이벌 의식 및 자국 축구에 대한 자존심 등으로 주변국의 영향을 잘 받지 않는다. </ref>의 축구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나라인데 남미 축구에 영향을 미친 대표적인 예가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라 할 수 있다. 아르헨티나의 [[2시즌제]]는 아르헨티나 축구역사의 특이성에서 출발한다. 아르헨티나는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로 리그를 진행하기 이전 이미 1967년부터 1985년까지 메트로폴리타노와 나시오날이라는 2개의 리그를 실시하는 [[2시즌제]] 방식을 시행했는데 이는 1967년 이전까지 아르헨티나 축구협회가 주관하는 아르헨티나 리그가 수도권팀에 한정된 팀들만의 리그<ref>메트로폴리타노라는 이름자체가 [[부에노스아이레스]]를 중심으로 한 광역도시권(Metropolitan)을 이르는 말이다.</ref>였기 때문에 이를 통합하는 과정에서 과도기적으로 나타나는 2시즌제라 할 수 있다. 토르네오 메트로폴리타노는 기존 수도권 중심의 리그가 그대로 승계된 리그이고 토르네오 나시오날은 기존 아르헨티나 축구협회 주관의 리그 상위 10여개 팀 외에 4개 지역 축구협회의 우승,준우승이 추가되어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출전할 진짜 아르헨티나 대표 클럽팀을 선발하는 리그로써 실시되었다.<ref>그 이전에는 아르헨티나 축구협회가 아르헨티나 전국을 커버하는 리그가 아니라 수도권만을 대표하는 축구협회였으나 아르헨티나를 대표하는 국제성을 띄는 수준이었다 할 수 있다. 한국에 대비하자면 대한축구협회가 서울 외의 타 시도는 별도의 축구협회가 존재하는 등 국내 전체를 아우르는 위상을 갖추지 못한 서울시축구협회이면서 해외에서는 대한축구협회라는 명의로 한국 축구 전체를 대표하는 형식. 한국도 실제 6~70년대에는 2~3팀을 제외하곤 전부 서울 연고의 축구팀이었으니 비슷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ref> 시간이 흐르면서 수도권과 4개지역 축구협회 소속 팀들이 합쳐지는 과정에서 토르네오 메트로폴리타노(Torneo Metropolitano)는 리그 우승팀과 강등팀을 결정하는 리그의 성격을 띄게 되었고, 토르네오 나시오날(Torneo Nacional)은 조별리그를 거쳐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출전하는 팀을 결정하는 성격을 띄게 되었다. 이러한 시도로 인해 80년대 중반에 이르러 협회 중앙(수도권) 소속팀과 지역축구협회 소속 팀간의 통합이 이루어져서 다시 단일 시즌으로 회귀하게 5시즌을 치루다가 | + | 아르헨티나는 [[남미]]에서 단순히 축구 잘하는 나라라는 이미지뿐만 아니라 남미 최초로 축구리그를 실시했으며,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축구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나라인데 남미 축구에 영향을 미친 대표적인 예가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라 할 수 있다. 아르헨티나의 [[2시즌제]]는 아르헨티나 축구역사의 특이성에서 출발한다. 아르헨티나는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로 리그를 진행하기 이전 이미 1967년부터 1985년까지 메트로폴리타노와 나시오날이라는 2개의 리그를 실시하는 [[2시즌제]] 방식을 시행했는데 이는 1967년 이전까지 아르헨티나 축구협회가 주관하는 아르헨티나 리그가 수도권팀에 한정된 팀들만의 리그<ref>메트로폴리타노라는 이름자체가 [[부에노스아이레스]]를 중심으로 한 광역도시권(Metropolitan)을 이르는 말이다.</ref>였기 때문에 이를 통합하는 과정에서 과도기적으로 나타나는 2시즌제라 할 수 있다. 토르네오 메트로폴리타노는 기존 수도권 중심의 리그가 그대로 승계된 리그이고 토르네오 나시오날은 기존 아르헨티나 축구협회 주관의 리그 상위 10여개 팀 외에 4개 지역 축구협회의 우승,준우승이 추가되어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출전할 진짜 아르헨티나 대표 클럽팀을 선발하는 리그로써 실시되었다.<ref>그 이전에는 아르헨티나 축구협회가 아르헨티나 전국을 커버하는 리그가 아니라 수도권만을 대표하는 축구협회였으나 아르헨티나를 대표하는 국제성을 띄는 수준이었다 할 수 있다. 한국에 대비하자면 대한축구협회가 서울 외의 타 시도는 별도의 축구협회가 존재하는 등 국내 전체를 아우르는 위상을 갖추지 못한 서울시축구협회이면서 해외에서는 대한축구협회라는 명의로 한국 축구 전체를 대표하는 형식. 한국에서 일제강점기인 1939년 실시되었던 [[경성실업축구리그]]과 해방후 1949년 대한축구협회 서울시지부 주최로 실시되었던 [[서울시실업축구연맹전]]과 비슷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실제 프로축구로 넘어가기전인 6~70년대까지도 2~3팀을 제외하곤 전부 서울 연고의 축구팀이었으니 한국도 이러한 상황이 오래 지속되었음을 알 수 있다.</ref> 시간이 흐르면서 수도권과 4개지역 축구협회 소속 팀들이 합쳐지는 과정에서 토르네오 메트로폴리타노(Torneo Metropolitano)는 리그 우승팀과 강등팀을 결정하는 리그의 성격을 띄게 되었고, 토르네오 나시오날(Torneo Nacional)은 조별리그를 거쳐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출전하는 팀을 결정하는 성격을 띄게 되었다. 이러한 시도로 인해 80년대에 이르러 협회 중앙(수도권) 소속팀과 지역축구협회 소속 팀간의 통합이 완성되었으며<ref>실제로는 현재까지도 부에노스아이레스팀들이 리그를 장악하고 있으며, 부에노스아이레스 이외의 우승팀인 [[뉴웰스 올드 보이스]](로사리오)나 [[에스투디안테스]](라플라타)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상당히 가까운 수도권이므로 현실은 여전히 메트로폴리타노 리그..</ref>, 1986년 FIFA 월드컵에서 아르헨티나를 우승으로 이끈 감독인 카를로스 살바도르 빌라르도의 제안에 따라 1985/86 시즌부터 유럽과 같은 [[연년제]] 단일리그로 경기가 진행되게 되었다. 85/86시즌부터 89/90시즌까지 단일리그로 진행되던 아르헨티나 리그는 90/91시즌부터 다시 2시즌제로 변경되었는데 이 때는 이미 수도권(메트로폴리타노)과 전국(나시오날)이 통합된 상태이므로 현재와 같은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가 |
| | | |
| 1990년 아르헨티나에서 실행된 이래 라틴아메리카의 여러 나라들이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를 도입했던 이유는 [[잉글랜드 FA컵|잉글랜드의 FA컵]]에 해당하는 대회가 없는 경우가 많아 대회수를 늘이는 방법으로 이용되었다. | | 1990년 아르헨티나에서 실행된 이래 라틴아메리카의 여러 나라들이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를 도입했던 이유는 [[잉글랜드 FA컵|잉글랜드의 FA컵]]에 해당하는 대회가 없는 경우가 많아 대회수를 늘이는 방법으로 이용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