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전조선축구대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중학부) |
(→같이보기) |
||
149번째 줄: | 149번째 줄: | ||
}} | }} | ||
<br/> | <br/> | ||
+ | |||
+ | = 에피소드 = | ||
+ | * 대회 내내 비바람이 몰아치는 쌀쌀한 날씨가 계속되어 동남아 팀들이 제 기량을 발휘하지 못했다고 한다. 때문에 대회 흥미도가 반감되었다는 평인데, 특히 결승전에서는 2차례나 경기를 가졌지만,<ref>원래는 재경기 관련 규정 없이 전후반+연장전 만을 진행할 예정이었지만, 후반 20분께부터 우박과 폭우가 쏟아지자 후반 종료 후 주심이 서스펜디드 게임을 선언, 어쩔 수 없이 재경기를 갖게되었다고 한다.</ref> 모두 0:0 무득점 경기가 나와 아쉬웠다는 평을 받았다. | ||
+ | |||
+ | * 대회 개최를 기념하여, 기념 주화 및 우표도 발매되었다. | ||
+ | |||
== 같이보기 == | == 같이보기 == |
2017년 4월 15일 (토) 01:09 판
제1회 전조선축구대회 | |
---|---|
대회 개요 | |
개최지 | 경성시 |
개최기간 | 1921년 2월 11일 ~ 1921년 2월 13일 |
인접 대회 | |
이전 대회 ← 제2회 다음 대회
제4회 → |
개요
1921년 2월 11일부터 1921년 2월 13일까지 배재고보 운동장에서 개최되었으며 이 대회는 제2회 전국체전 축구종목으로도 기록된다.
경기결과
중학부
총 7개팀이 참가했다.
팀명 |
---|
오산고보 |
보성전문 |
배재고보 |
경신학교 |
휘문고보 |
중앙고보 |
청년회관 |
1차 예선
1921년 |
배재고보 | O 기권 X | 경신고보 | 배재고보 운동장 |
---|---|---|---|---|
[1] |
2차 예선
1921년 |
배재고보 | O 기권 X | 중앙고보 | 배재고보 운동장 |
---|---|---|---|---|
[2] |
1921년 |
배재고보 | O 기권 X | 경신고보 | 배재고보 운동장 |
---|---|---|---|---|
[3] |
청년부
총 3개팀이 참가했다.
팀명 |
---|
불교청년회 |
반도청년회 |
평양무오단 |
1회전
1922년 |
불교청년회 | 1 – 0 | 반도청년회 | 경성중학 운동장 |
---|---|---|---|---|
[4] |
결승
1922년 |
평양무오단 | 3 – 0 | 불교청년회 | 경성중학 운동장 |
---|---|---|---|---|
[5] |
에피소드
- 대회 내내 비바람이 몰아치는 쌀쌀한 날씨가 계속되어 동남아 팀들이 제 기량을 발휘하지 못했다고 한다. 때문에 대회 흥미도가 반감되었다는 평인데, 특히 결승전에서는 2차례나 경기를 가졌지만,[1] 모두 0:0 무득점 경기가 나와 아쉬웠다는 평을 받았다.
- 대회 개최를 기념하여, 기념 주화 및 우표도 발매되었다.
같이보기
참고
- ↑ 원래는 재경기 관련 규정 없이 전후반+연장전 만을 진행할 예정이었지만, 후반 20분께부터 우박과 폭우가 쏟아지자 후반 종료 후 주심이 서스펜디드 게임을 선언, 어쩔 수 없이 재경기를 갖게되었다고 한다.
|